인삼을 독점적으로 공급해 오던 공기업에서 출발하여 전국적으로 높은 가치를 지닌 부동산과 자산들을 보유한 전형적으로 안정적이라 할 수 있는 기업이 외국 자본, 그것도 국제적 기업사냥꾼이라 일컬어지는 아이칸 등에게 좌지우지되고 있는 것이다. 이 사례가 세간의 주목을 받는 이유도 날로 치열
인삼 진주 채취, 벌목 수령 등을 엄격히 금지시켰으며, 많은 금산(禁山)에 황제의 사냥터를 설치하여 다른 민족의 이주 정착을 허락하지 않았다.
그러나 그것은 뜻대로 되지 않고 조선왕조의 학정에 시달린 조선의 빈곤한 농민들은 사방을 떠돌아다니다가 그들 중의 일부는 생존을 위하여 죽음을 무릅
사냥을 맡은 응방의 페혜를 없애도록 간하자 이를 듣지 않고 도리어 원 황제의 신임을 받은 회회인들에게 응방을 관리토록 하여 재상들로 하여금 다시 말을 꺼내지 못하도록 하려 한 일도 있었다. 이러하므로 회회인 중에는 마음대로 돌아다니며 가축을 도살하는 등의 피해를 고려 백성들에게 입힌 자
인삼, 녹용 등이 모두 갖추어져 있기에 부유한 상인들이 모두 변방에 모여 시장이 끊이지 않기 때문이다. 벼가 귀하다하나 기장과 조가 많아 대신할 수 있고, 목면이 귀하다 하나 모시와 삼이 몇 배로 나온다. 북방의 풍속에 대한 기록에,
"날씨가 일찍 추워지므로 백성들은 대부분 산에 굴을 파서 살
사냥꾼에 잃은
마지막 한국 황새 관우도 이곳으로 날아와 서양 수컷들을 거부하고 혼자 수절하다
생을 마쳤다 박제를 보는 마음이 왠지 씁쓸했다.
95년. 천수만은 동북아 지역 최대의 철새 도래지로 확인됐다. 해마다 겨울이면 천수만에선 265종, 200여 만 마리의 겨울 철새가 관찰되는 것으로 알려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