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양 드리는 도구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우리의 심령을 더욱 하나님께 향할 수 있도록 고취 시켜주고, 주님의 사랑과 선하심과 지혜와 정의로우심을 생각게 함으로 우리에게 위로를 주는 것”이라고 말하였다. 최시원, “교회 음악에 대한 칼빈의 신학”, 교회 음악 (1983, 가을호): 24.
또한 이택희는 “
.
1.누가복음 1장에 나타난 찬양시들
1912년 “프린스톤 신학평론”에 신린 메이천의 첫 논문 제목은 “누가복음 1장에 나타난 찬양시들”이었다. 그는 누가복음의 첫 두장이 의식적으로 칠십인 역을 모방하여누가 자신이 직접 작성한 것이라고 말한 하르낙의 주장을 논리적으로 반박하고자 하였다.
본문내용
오늘의 교회가 세상과 사회와 사단에 대항하지 못하고 무기력한 이유는 교회와 지도자들이 너무도 분열되어 있고 자기중심적이기 때문일 것이다. 복음화의 중요한 전략은 목회자들과 영적 지도자들이 연합하여 정기적으로 기도하는 것이다. 목회자들로부터 그 도시와 지역의 영적 세력을
Ⅰ. 개혁신학(개혁주의신학)의 특징
1. 하나님의 주권과 통치
개혁교회의 신학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신학적 특징은 하나님의 주권과 통치에 대한 사상이다. 하나님은 창조주이시며 통치자이시며 역사와 자연의 주이시다. 역사와 자연의 주이신 하나님은 이 세상 속에서 자신의 뜻을 실현해
개혁신앙을 위한 교회는 총 5편의 소논문 형식으로 되어 있다.
조직신학자 박형룡박사의 신학과 사상
박형룡 박사의 신학은 구 프린스톤 신학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일제 하 식민지 통치하에서 한민족의 교육과 개화에 힘썼던 평양 숭실 전문학교에서 시작하여 중국의 금릉대학을 졸업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