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What exactly do we stand to lose when languages vanish? It has become a cliché to talk about a cure for cancer that may be found in the Amazon rain forest, perhaps from a medicinal plant known only to local shamans (Plotkin 1993).
- 언어가 사라질 때 우리는 정확히 무엇을 잃는가? 그것은 아마 현지의 주술사에게만 알려진 약용식물에서 나오는 아
■ 본 론
1. 자원식물의 관심분야
생약자원은 주로 본초(약용식물)를 말하며 식물자원과 한약재 두가지 개념을 가지고 있는데, 이용 및 유통분야에서는 한약재, 생약재(oriental medicines), 자원 및 생산측면에서는 약용작물(medicinal plants, herbs)로 용어가 쓰여지고 있다. 따라서 생약자원은 다양성과 기
medicines), 자원 및 생산측면에서는 약용작물(medicinal plants, herbs)로 용어가 쓰여지고 있다. 따라서 생약자원은 다양성과 기능성으로부터 생산성을 증대하고 이용성을 확대하여 상업성과 공익성을 추구하는 개념을 갖는다.
최근의 식물자원과 관련된 연구동향은 분자생물학적 연구, 신작물(new crop) 및
1. 가시오가피
Acanthopanax senticosus (Araliaceae : 두릅나무과)
구 소련의 우주비행사, 올림픽 선수들의 정신적∙육체적 능력 증강
주요 작용 : 항염증, 강장/강심, 성기능 강화, 혈당 강하, Adaptogen
WHO monographs on selected medicinal plants (2002)
산지 :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가시오가피의 성분과 효능
Ⅰ. 서 론
최근까지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전 세계적으로 가장 각광받고 있었던 유망한 업종은 인터넷을 포함한 정보통신 분야였다. 하지만 이러한 정보통신 분야의 차세대 주자로 최근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분야가 있는데 바로 `생명공학` 즉 Bio-tech 산업이다. 특히 얼마 전 인간 게놈지도의 해독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