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에서 정의적 영역에 주목하여 ‘언어인식’의 개념을 바탕으로 한 문법 교육의 태도 연구 담론
④ 인지적·정의적 특성을 바탕으로 한 문법 교육
③을 발전시켜 문법인식의 개념을 정립하고 문법교육에서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을 두루 아우르고자 하는 담론
▣ 더 알아보기 - ‘텍스트 중심
교육 과정을 개정하였다.
이 결과 80년 이전에는 문법중심 글쓰기에서 80년 이후에는 과정중심 글쓰기가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최근의 쓰기 지도에 대한 연구는 대체로 과정 중심 쓰기 지도와 전략 중심의 쓰기 지도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전통적인 쓰기 교육은 결과를 중시하여 텍스트의
문법』(김태엽)은 종결 어미에 대한 형태론적 층위의 분석적 방법을 적용하여 형태 구조를 제시하고 구체적인 형태 분석을 시도하고 있으며, 그러한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종결 어미의 문법적 기능을 밝히고 있다. ‘제1장 종결어미의 지위와 연구사, 제2장 종결어미의 형태, 제3장 종결어미의 기능’으
작문을 위한 문법 교육
* 문제의식
최초의 작문 이론이라 할 수 있는 ‘형식주의 작문 이론’은 이후에 인지주의 작문 이론이나 사회적 구성주의 작문 이론 등이 등장하면서 구시대적 유물로 전락하였다.
규범문법의 준수와 모범적 텍스트의 모방 등을 중시하는 형식주의 작문 이론은 결과 중심의 작문
교육과정에서는 모든 영역의 내용 체계에 대하여 제7차와는 완전히 다른 구성 원리를 적용하였다. 텍스트를 중심으로 유기적 관계 속에서 지식과 기능과 맥락을 연계한다는 것이 그것이다. 그러나 문법 영역의 내용 체계는 이와 같은 구성 원리로 쉽게 설명할 수 없다. 문법 영역의 내용이란, 단어나 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