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자료
상부위장관출혈(UGI bleeding) 간호과정 [A+]
[간호학] 결장암(colon cancer with metastasis liver) 기초 분석 및 간호과정
식도정맥류 출혈의 임상적 관점 사례 연구를 통한 심층 분석과 간호 과정의 중요성
위장관 출혈(GIH) 관리에 대한 심층 분석 체액 부족과 영양 불균형 간호 과정의 체계적 접근
[간호과정][간호과정 단계][빈혈 간호과정][혈압측정 간호과정][피부계장애][산후출혈]간호과정의 단계, 빈혈 간호과정, 혈압측정 간호과정, 피부계장애 간호과정, 산후출혈 간호과정, 간호과정의 사례 분석
(고위험모아간호학2015) 고위험신생아의 고빌리루빈혈증에 대한 사정 (진단평가 및 임상증상)과 치료 및 간호, 다혜 탈수정도 판정, 24시간동안의 수분유지요구량 계산, 신체사정자료 임상증상, 간호진단 2가지 도출, 간호중재계획
위궤양 환자의 간호 관리 급성 통증, 체액 부족, 영양 불균형, 수면 박탈 및 불안 상태에 대한 통합적 접근
저혈량성 쇼크의 이해와 관리 저혈류량으로 인한 조직 관류 저하 사례 연구
위장 출혈 환자의 간호 접근 출혈 위험성과 체액 부족 및 통증 관리에 관한 연구
간호과정-성인간호학
소개글
[A+] 위장관출혈 체액부족(Deficient Fluid Volume) 간호과정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간호진단
2.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2) 객관적 자료
3. 간호목표
1) 장기
2) 단기
4. 간호계획
5. 간호수행
6. 이론적근거
7. 평가
1) 장기
2) 단기
8. 참고자료
본문내용
1. 간호진단
#1. 출혈과 관련된 체액부족(Deficient Fluid Volume)
혈관 내, 세포 내 또는 세포 간 체액의 감소로 나트륨의 손실이 없는 수분 손실, 탈수를 의미한다.
2. 간호사정
▷ 주관적 자료
(1) “화장실에서 피 섞인 대변이 많이 나왔어요. ”
(2) “좀 어지러운 것 같은데…왜 그렇죠? ”
(3) “목이 너무 말라요. ”
▷ 객관적 자료
(1) 위장관 출혈 진단받음.
(2) 혈변(Hematochezia) 증상 있음.
(3) Vital sign: BP 80/40㎜Hg- PR 92회/min- RR 18회/min- BT 36.5℃ :저혈압 측정됨.
(4) 대상자 질문 시 반응이 조금 느리며 졸려보임.
(5) 눈 밑이 어둡고 꺼져있으며, 피부 탄력성이 감소함.
(6) 입술이 거칠고 구강 점막이 말라있음.
(7) 요비중 검사 결과: 1.061▷소변 농축됨.
(8) 혈액 검사 결과: Hb 8.1g/㎗, Hct 32.2%▷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릿 수치 낮음.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상, 하(2018). 현문사. 황옥남 외
최신기본간호학 1, 2(2017). 수문사. 송경애 외
기본간호 중재와 술기(2017). 수문사. 송경애 외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수정판(2019). 현문사. Meg Gulanick 저. 박은영 역
근거중심 질환별 간호과정1: 호흡기, 순환기, 소화기 편(2016). 메디캠퍼스. 이노우에 도모코 외. 신은주 옮김
킴스온라인: https://www.kimsonline.co.kr
하고 싶은 말
참고 자료를 찾아가며 직접 작성했고 정말 열심히 했어요!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근거까지 항목 하나하나 신경써서
꼼꼼하고 자세하며 구체적으로 작성했어요.
분명히 도움됩니다. A+받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