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 론
요즘 2017년을 기점으로 한국뿐만 아이라 전세계인들에게 가장 많이 언급되고 있는 것이 제4차 산업 혁명인데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맞춰 유비쿼터스(Ubiquitous)란 말이 자주 오르내리고 있다. 이는 '편재한다'라는 의미의 라틴어에서 기원한 유비쿼터스라는 단어가 최근 신문이나 주요 언론
스마트공장 보급 확산 등을 포함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 대기업은 자사의 자금력과 기술력을 기반으로 스마트제조 기술을 일부 도입하여 적용하고 있으나, 중소 및 중견 제조기업의 경우 선진국에서 비하여 상대적으로 뒤처져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 주도로 제조업 현장의 지능화
공장이 해외로 이전하고, 저출산 고령화로 인해 숙련공들은 감소되나 기술을 전수받을 젊은이들이 많지 않고, 미국의 ICT 기업들이 급성장하면서 자국 기술 경쟁력이 떨어지고 있는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서 산업의 미래(산업협회, 정부, 노조의 합의기구)가 주최가 되어 2011년부터 스마트팩토리를 추진
1) 제 4차 산업혁명의 의의
제 4차 산업혁명은 2011년 독일 하노버 박람회에서 처음 용어가 등장하였다. 4차산업혁명은 스마트공장을 도입하여 제조업에서 가상세계와 물리적 세계가 유연한 방법으로 서로 협력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주문제작과 운영모델의 생성이 가능해진다.
- 중략 -
제조기술과 서비스 기술
핵심조직의 제조기술
001 전통적 생산방식
(Ford System)
002 스마트 공장
(Smart Factory)
004 카이젠 (Kaizen)
003 린 생산방식
(Lean production)
(Ford System)
전통적 생산방식
Detroit automation or Mass production system
생산의 표준화와 이동조립법
(moving assembly line) 기반 생산시스템
대량생산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