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윤리] 덕윤리 내에서의 내러티브 연구

 1  [기업윤리] 덕윤리 내에서의 내러티브 연구-1
 2  [기업윤리] 덕윤리 내에서의 내러티브 연구-2
 3  [기업윤리] 덕윤리 내에서의 내러티브 연구-3
 4  [기업윤리] 덕윤리 내에서의 내러티브 연구-4
 5  [기업윤리] 덕윤리 내에서의 내러티브 연구-5
 6  [기업윤리] 덕윤리 내에서의 내러티브 연구-6
 7  [기업윤리] 덕윤리 내에서의 내러티브 연구-7
 8  [기업윤리] 덕윤리 내에서의 내러티브 연구-8
 9  [기업윤리] 덕윤리 내에서의 내러티브 연구-9
 10  [기업윤리] 덕윤리 내에서의 내러티브 연구-10
 11  [기업윤리] 덕윤리 내에서의 내러티브 연구-11
 12  [기업윤리] 덕윤리 내에서의 내러티브 연구-12
 13  [기업윤리] 덕윤리 내에서의 내러티브 연구-13
 14  [기업윤리] 덕윤리 내에서의 내러티브 연구-14
 15  [기업윤리] 덕윤리 내에서의 내러티브 연구-15
 16  [기업윤리] 덕윤리 내에서의 내러티브 연구-16
 17  [기업윤리] 덕윤리 내에서의 내러티브 연구-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기업윤리] 덕윤리 내에서의 내러티브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장. 서론
1.1 논문의 배경

1.2 논문의 목적

1.3 논문의 의의

제 2장. 덕 윤리 복원과 한계
2.1 현대 사회에서 덕 윤리 부활의 의미

2.1.1 덕 윤리의 현대 윤리학 비판

2.1.2 행위 중심에서 행위자 중심으로의 전환

2.2 A. 맥킨타이어의 덕 윤리

2.2.1 근대 계몽주의 도덕 철학에 대한 평가

2.2.2 아리스토텔레스 윤리로의 회귀

2.2.3 덕의 특성 : 실천, 삶의 내러티브적인 통일성, 전통

2.3 A. 맥킨타이어의 몇 가지 난점

2.3.1 덕 윤리의 비자립성과 ‘원칙’의 문제

2.3.2 덕 윤리 수용과 사회구조의 문제

제 3장. 덕 윤리 내에서의 내러티브

3.1 내러티브의 개념

3.2 맥킨타이어의 내러티브 적용과 한계

제 4장. S.하우어워즈의 내러티브 윤리

4.1 전통적 덕 윤리에 대한 견해

4.1.1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윤리 평가

4.1.2 아퀴나스의 덕 윤리 평가

4.2 주요 개념 및 방법론적 특징

4.2.1 내러티브, 성품 , 공동체

4.2.2 기독교적으로 한정된 윤리

4.2.3 현실적실성 문제

4.3 덕과 내러티브의 관계

4.3.1 덕을 평가하는 내러티브

4.3.2 내러티브의 중요성

제 5장. S.하우어워즈의 내러티브 윤리평가

5.1 객관성과 주관성

5.1.1 내적 역사속에서의 내재적 내러티브

5.1.2 내재적 내러티브의 한계

5.1.3 외재적 내러티브의 필요성

5.2 내러티브의 진실성

5.2.1 객관적인 내러티브의 성립 가능성

5.2.2 제 1원리로서의 내러티브

5.2.3 S. 하우어워즈 내러티브 윤리의 장점 및 한계

제 6장. 결론
6.1 논문의 요약

6.2 남겨진 문제들


본문내용
2.2.2 아리스토텔레스 윤리로의 회귀
지금까지 맥킨타이어의 주장을 뒷받침시켜주는 이론들을 살펴보았는데, 이런 이론들을 바탕으로 등장한 맥킨타이어의 주장을 살펴보겠습니다. 맥킨타이어는 도덕체계를 ‘교육되지 않은 채 현존하고 있는 인간본성개념’과 ‘인간의 고유한 목적을 실현하면 획득할 수 있는 인간본성의 개념’ 그리고 윤리학이라는 삼중구조로 이루어져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 체계에서 보면 인간 본성은 두 가지로 나누어 짐을 알 수 있는데, 그것은 지금 현존하고 있는 인간의 모습과 인간의 본성을 완성한 모습입니다. 현존하고 있는 인간의 모습은, 현재 우리에게 드러나 있는 인간의 특성이고, 인간의 본성을 완성한 모습은,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목적을 성취했을 때 드러나는 인간의 모습입니다. 그리고 윤리학은 이러한 인간 모습간의 간격의 메우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본래적인 도덕 체계에서 보면, 근대 이후 도덕 철학자들이 왜 실패할 수 밖에 없는지가 드러나는데, 그 이유는 근대 이후 도덕 철학자들이 인간 삶에 대한 목적론적 체계를 거부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왜 근대 이후의 도덕철학은 이전 도덕의 목적론적 체계를 거부할 수 밖에 없었을까요? 맥킨타이어는 그 이유를 근대 이후에 나타난 새로운 이성 개념 때문이라고 지적하면서 현대 사회의 도덕적 분열을 극복하기 위해서 아리스토텔레스가 주장했던 목적론적인 윤리학이 다시 복원될 수 있는지에 대해 집중하였습니다.
맥킨타이어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선이란 모든 것이 목표로 하는 것”이라는 말에 동의하였고, 사람들이 추구하는 것이 다를 수 있는데, 이 경우 선이 될 수 있는 것은 단지 그런 것들 중에서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추구하는 것에 국한된다고 말하였습니다. 이 주장을 통하여 선이 공유적인 것이라면 어떤 것이 선이 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모든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추구하게 하는 공유의 기준이 존재해야 한다는 점, 그리고 공유의 기준은 사회적 역사적인 배경 속에서 근거 지워 지는 것입니다.

2.2.3 덕의 특성 : 실천, 삶의 내러티브적인 통일성, 전통
앞서 이야기한 것처럼, 덕의 특징 중 하나는 역사적으로 특수한 사회적 배경들 속에 제약되어 집니다. 맥킨타이어는 이러한 사회적 맥락을 실천이라는 개념으로 규정하였습니다. 또한 인간 삶에서 드러나는 내러티브적인 형식은 인간 개인의 삶에 통일성을 부여합니다. 인간 개개인들은 하나의 이야기 체계 속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발견하고, 행위하며 또 미래에는 그 이야기의 구성 부분으로 살아가게 됩니다. 개인의 삶이 하나의 탄생과 성숙 죽음으로 이어지는 이야기가 되며 그 이야기는 그로 하여금 자신의 삶을 하나의 통일성 속에서 바라 볼 수 있게 하는 시각을 제공합니다. 또한 이 형식은 인간 삶에서 필연적으로 드러나는 비극적 측면을 적절하게 의미규정을 하기도 합니다. 그런데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의 삶 속에서 부딪치는 상이한 선들 속에서 갈등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삶의 단절성과 갈등을 해결하는 방법은 자신이 현재 가지고 있는 선에 대한 대립을 자신의 삶의 하나의 내러티브적인 통일성의 맥락에서 이해하고 그렇게 살아가고자 하는 노력들 속에서 해명되고 의미 있게 되는 것입니다. 맥킨타이어의 내러티브적인 형식은 그 자체로 본다면 개인적인 삶의 경우에 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