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방의학] OECD 국가 자살률 변화의 결정 요인 분석

 1  [예방의학] OECD 국가 자살률 변화의 결정 요인 분석-1
 2  [예방의학] OECD 국가 자살률 변화의 결정 요인 분석-2
 3  [예방의학] OECD 국가 자살률 변화의 결정 요인 분석-3
 4  [예방의학] OECD 국가 자살률 변화의 결정 요인 분석-4
 5  [예방의학] OECD 국가 자살률 변화의 결정 요인 분석-5
 6  [예방의학] OECD 국가 자살률 변화의 결정 요인 분석-6
 7  [예방의학] OECD 국가 자살률 변화의 결정 요인 분석-7
 8  [예방의학] OECD 국가 자살률 변화의 결정 요인 분석-8
 9  [예방의학] OECD 국가 자살률 변화의 결정 요인 분석-9
 10  [예방의학] OECD 국가 자살률 변화의 결정 요인 분석-10
 11  [예방의학] OECD 국가 자살률 변화의 결정 요인 분석-11
 12  [예방의학] OECD 국가 자살률 변화의 결정 요인 분석-12
 13  [예방의학] OECD 국가 자살률 변화의 결정 요인 분석-13
 14  [예방의학] OECD 국가 자살률 변화의 결정 요인 분석-14
 15  [예방의학] OECD 국가 자살률 변화의 결정 요인 분석-15
 16  [예방의학] OECD 국가 자살률 변화의 결정 요인 분석-16
 17  [예방의학] OECD 국가 자살률 변화의 결정 요인 분석-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예방의학] OECD 국가 자살률 변화의 결정 요인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Abstract]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 목적

3. 가설

Methods & Materials

1. 연구의 변수 정의

2. 자료 처리 및 분석 방법

Results

1. 5년 주기의 자살률 변화 (1985년에서 2005년까지)

2. 2005년 OECD 29개국의 단면연구

3. 한국의 자살률 결정 요인 분석(1985년에서 2006년까지)

Conclusion

Discussion

Reference


본문내용
2. 자료 처리 및 분석 방법
결과 통계를 도출하기 위하여 총 3가지 모델을 채택하였다.
첫째, 5년 주기의 자살률 변화 결정요인 분석(1985~2005)
OECD 29개국의 최근 20년의 자료를 5년 주기로 나누어 자살률이 증가한 집단과 감소한 집단으로 구분하고, 위에서 선정한 여러 요인들이 증가한 집단과 감소한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자살률변화가 이러한 요인들의 증감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Chi-square test를 이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평가하였으며 상대위험도를 구하기 위하여 단변인 로지스틱 회귀분석(Un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를 시행하였다. 단변인 분석에서 유의한 관계를 갖는 요인들을 대상으로, 각각의 변화량과 자살률변화량의 관계를 단순 선형 회귀분석(Simple-linear regression analysis)을 시행하여 자살에 대한 위험요인을 파악하였다.
둘째, 2005년 OECD 29개국의 단면연구
자살률과 각 요인들에 대하여 통계가 잘 확인된 2005년 시점의 OECD 29개국의 자료의 기술통계량을 제시했다. 국가별 자살률과 선정 요인들 간의 상관 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통하여 통계적 유의성이 확인된 요인들을 대상으로 단순 선형 회귀분석을 시행하여 자살률에 미치는 정도를 수치화 하였다. 셋째, 한국의 자살률 변화 결정요인 분석(1985~2006)
최근 20여년간의 자살률 추이가 특이한 대한민국의 자살률 변화 결정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1985년부터 2006년까지의 한국의 자료를 토대로 추이를 알아보고자 각 요인에 대하여 산점도로 상관 정도를 파악하고 상관 분석을 통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자살률 변화에도 초점을 두었기 때문에, 각 자료들의 연간 변화량을 대상으로 상관 분석을 하여 유의한 요인들을 대상으로 추이를 파악하고, 단순 선형 회귀분석을 통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유경원, 노용환, “국가별 패널자료를 이용한 자살률 결정요인 분석,” 한국경제연구 Vol.18, 2007.
[2] Hamermesh, D., N. Soss, “An Economic Theory of Suicide,"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82(1): 83-98, 1974
[3] Durkheim E, “Le. Suicide. New York,” The Free Press 1951;27.
[4] Becker M., Brown L., Ochshorn E., Diamond R., “Risk for suicide among medicaid beneficiaries,” Suicide Life Threat Behav. 2009 Apr;39(2):172-81.
[5] 박유진, 김명희, “공공사회지출이 자살률에 미치는 영향,” 예방의학회지 제42권 제2호, 2009.
[6] Zimmerman S., “States' public welfare expenditures as predictors of state suicide rates,” Suicide Life Threat Behav 1987; 17(4): 271-287.
[7] Woo JM., Postolache TT., "The impact of work environment on mood disorders and suicide: Evidence and implications," Int J Disabil Hum Dev. 2008;7(2):185-200.
[8] Gerdtham UG., Johannesson M., “A note on the effect of unemployment on mortality,” J Health Econ. 2003 May;22(3):505-18.
[9] Razvodovsky YE, “Alcohol and suicide in Belarus,” Psychiatr Danub. 2009 Sep;21(3):290-6.
[10]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Health Data 2007,” Paris :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07
[11] United Nations., “World Urbanization Prospects : The 2007 Revision Population Database,” United Nations.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