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농림기상학회868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불확도 기반 밭토양 아산화질소 배출 저감 여부 판정
주옥정 ( Okjung Ju ) , 강남구 ( Namgoo Kang ) , 임갑준 ( Gapjune Lim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9] 제21권 제4호, 307~316페이지(총10페이지)
TAG Uncertainty, Nitrous Oxide, Mitigation, NBPT Fertilizer
초분광 영상을 이용한 의사결정 트리 기반 봄감자(Solanum tuberosum)의 염해 판별
강경석 ( Kyeong-suk Kang ) , 유찬석 ( Chan-seok Ryu ) , 장시형 ( Si-hyeong Jang ) , 강예성 ( Ye-seong Kang ) , 전새롬 ( Sae-rom Jun ) , 박준우 ( Jun-woo Park ) , 송혜영 ( Hye-young Song ) , 이수환 ( Su Hwan Lee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9] 제21권 제4호, 317~326페이지(총10페이지)
본 연구는 초분광 영상을 이용하여 간척지에서 주로 발생하는 염해 및 한해를 봄감자의 주요 생육단계에서 판별할 수 있는지를 검토하는 것이다. 영양생장기(VP), 괴경형성기(RFP) 및 괴경비대기(RGP)에 취득한 초분광 영상 내 봄감자 캐노피 영역의 반사율과반사율의 불균일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밴드 비로 변환하였다. 소형 다중분광 영상센서 개발을 고려하여 FWHM 5 nm의 단일 밴드를 상용화되어있는 밴드패스필터 기준으로 10 nm, 25 nm와 50 nm 평준화한 후 똑같이 밴드 비로 변화하였다. 의사결정트리법을 이용하여 각 FWHM에서 염해 판별에 유의한 단일 밴드 및 밴드 비를 추출하였고 그 분류 정확도는 OA와 KC로 나타내어졌다. 염해, 한해 및 정상 여부를 분류하기 위해 선택된 밴드는 최소 3개에서 최대 13개로 모든 FWHM에서 OA 66...
TAG Decision tree, Drought, Full width at half maximum, Hyperspectral imagery, Salinity, Spring potato
회전익 무인기에 탑재된 다중분광 센서를 이용한 콩의 생체중, 건물중, 엽면적 지수 추정
장시형 ( Si-hyeong Jang ) , 유찬석 ( Chan-seok Ryu ) , 강예성 ( Ye-seong Kang ) , 전새롬 ( Sae-rom Jun ) , 박준우 ( Jun-woo Park ) , 송혜영 ( Hye-young Song ) , 강경석 ( Kyeong-suk Kang ) , 강동우 ( Dong-woo Kang ) , 쩌우쿤옌 ( Kunyan Zou ) , 전태환 ( Tae-hwan Jun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9] 제21권 제4호, 327~336페이지(총10페이지)
콩은 식량작물 중 단백질 함량이 매우 높고 식생활에서 여러가지 형태로 소비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식량자원 중 하나이다. 콩은 일반적으로 노지에서 재배되기 때문에 콩의 생산량 및 품질은 갑작스런 기후변화에 큰 영향을 받는다. 최근 폭염 및 폭우 등과 같은 이상기후로 인해 콩의 생산량이 불안정해짐에 따라 콩의 생육을 실시간으로 추정하여 품질저하를 예방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회전익무인기에 장착된 다중분광 센서를 이용하여 콩 생육을 추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반사값을 이용하여 산출된 정규화 식생지수(NDVI, GNDVI)와 단순비 식생지수(RRVI, GRVI)와 콩 생육 데이터(생체중, 건물중, 엽 면적지수)로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생육 추정 모델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정규화 식생지수인 NDVI를 이용한 엽면적 지수 추정 모델(...
TAG Remote sensing, Unmanned Aerial Vehicle, Vegetation Indices, Soybean, Simple linear regression
GIS 기반의 토양 및 기후조건 통합 배 과수의 적지 평가
김호정 ( Hojung Kim ) , 심교문 ( Kyo-moon Shim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9] 제21권 제4호, 337~346페이지(총10페이지)
GIS 기술은 다기준(multiple-criteria) 의사결정 기반으로 작물의 적지 평가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남한지역을 대상으로 최대저해인자법(MLCM)과 분석적 계층화법(AHP)을 활용하여 배 과수의 적지를 평가하였다. 남한지역의 배 과수의 적지등급 결과는 두 방법간에 큰 차이를 나타냈는데, MLCM 기법에서는 남한 면적의 19.55%에서 적지 등급(S1, S2 및 S3)로 구분된 반면에 AHP기법에서는 99.08%에서 적지로 구분되었다. 즉, MLCM기법은 적지 등급 결정에 매우 엄격한 반면에, AHP기법은 상대적으로 관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어떤 행정구역(도)에서 적지 등급으로 구분된 면적이 많으면 많을수록 더 많은 과수가 재배될 것이라는 가정 하에, 두 가지 방법으로 구분된 적지면적의 비율...
TAG Land suitability assessment, Pear, Maximum limiting characteristic method, AHP
고해상도 농업 기후 자료 처리를 위한 클라우드와 온프레미스 비교 분석
박주현 ( Joo Hyeon Park ) , 안문일 ( Mun Il Ahn ) , 강위수 ( Wee Soo Kang ) , 심교문 ( Kyo-moon Shim ) , 박은우 ( Eun Woo Park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9] 제21권 제4호, 347~357페이지(총11페이지)
GIS 기반의 농업 기후 자료의 처리 및 분석 체계의 유용성은 클라우드, 온프레미스, 하이브리드 구조와 같은 컴퓨팅 인프라의 신뢰성, 가용성에 영향을 받는다. 현재는 정보 기술 산업에서 클라우드 컴퓨팅의 시대라고 할 수 있을 만큼 클라우드와 관련된 기술이 확산되어 있으나, 장기간의 운영 경험으로 누적된 다양한 참조 사례를 볼 때 온프레미스 기술이 클라우드기술 보다 유리한 경우도 있다. 또한 클라우드 환경의 경우 초기 비용이 온프레미스와 비교하여 저렴하지만 사용 방법에 따라 매우 높은 비용이 부과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각 시스템의 특성에 맞는 적절한 구성법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 기후 자료처리 및 분석 체계에 이용가능한 일반적인 컴퓨팅 플랫폼 4개를 소개하고 대량의 자료 처리 및 저장의 특성을 갖는 응용 시스템을 적용하여 각 플랫...
TAG Agricultural climate data, Cloud, On-premises, Hybrid, Gluster file system
영농형 태양광 하부의 일사량 변화 분석을 위한 모의 차광 관측 실험
윤창용 ( Changyong Yoon ) , 최선웅 ( Seonwoong Choi ) , 안규남 ( Kyu-nam An ) , 류재현 ( Jae-hyun Ryu ) , 정회정 ( Hoejeong Jeong ) , 조재일 ( Jaeil Cho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9] 제21권 제4호, 358~365페이지(총8페이지)
영농형 태양광 발전은 기존 농지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여 농지 보존과 일정 수확량 유지를 전제로 전기 생산도 병행하는 시스템이다. 최근 태양광 부지 수요 충족 및 농촌 경쟁력 제고를 위한 방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본격적인 개발에 앞서 영농형 태양광 패널 하부에서의 경작지 차광 정도를 분석하는 것이 작물 생육·수확량 변동 예측에 반드시 필요할 것이다. 본 실험은 연구용 영농형 태양광 건설에 앞서, 영농형 태양광 시설 규격과 유사한 모의 차광 시설을 설치하고 하부의 광합성유효복사량 특성을 분석하였다. 차광막 하부와 외부의 광합성유효복사량 차이는 일사광에서 산란광 비율이 낮아질수록 증가하였는데, 최대 17.08 mol/m2/day (맑은 날), 최소 3.03 mol/m2/day(흐린 날)이었다. 이러한 광 조...
TAG Agrivoltaic Systems, Photovoltaic panels, Shading net, Photosynthetically Active Radiation, Diffuse irradiation, Rice tillering
PRISM과 개선된 상세 지형정보를 이용한 월별 북한지역 강수량 분포 추정
김대준 ( Dae-jun Kim ) , 김진희 ( Jin-hee Kim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9] 제21권 제4호, 366~372페이지(총7페이지)
북한 지역은 남한에 비해 기상관측 지점이 매우 적기 때문에 남한에서 강수 추정에 주로 이용되는 PRISM 모형을 그대로 적용하여 강수분포를 추정하기 는 어렵다. 이처럼 자료가 불충분한 지역의 강수분포를 추정하기 위하여, 저해상도 PRISM 모형 구동 결과에 강수-지형 관계에 근거한 보정 값을 적용해 강수분포를 추정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방식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북한지역의 고해상도 강수 분포도 추정 방식을 개선된 방법에 따라 1981-2010년 평년 기간의 적산 강수량 분포도를 제작하고자 하였다. 우선, 남한지역의 270m 해상도 DEM과 종관관측지점의 고도값으로부터 IDW한 가상지형간의 편차(고도편차)를 계산하였다. PRISM 모형을 이용하여 종관관측지점의 강수량을 기반으로 2,430m의 저해상도 가상강수 분포도를 제작한...
TAG Precipitation, PRISM, North Korea, Hybrid, Geospatial information
적엽작업을 반영하기 위한 시설토마토 생육모형(GreenTom) 개선 및 검증
김연욱 ( Yean-uk Kim ) , 김진현 ( Jin Hyun Kim ) , 이변우 ( Byun-woo Lee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9] 제21권 제4호, 373~379페이지(총7페이지)
스마트팜은 원예작물의 생산성과 품질을 제고하기 위한 생력화 방법으로 최근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국내의 스마트팜은 단순한 환경 모니터링과 환경제어만 가능한 초기단계에 머물고 있으며, 작물 생육에 최적화된 환경을 모의하는 의사결정도구의 개발은 미흡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의사결정도구로써의 작물생육모형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국내에서 개발된 GreenTom모형의 품종모수를 추정하고 모형의 모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적엽은 시설토마토재배에서 흔히 행해지는 농작업이지만 기존 모형은 이를 모의하지 않아 지상부 생육 모의에 문제를 나타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적엽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기존 모형에 추가하고 모의 성능을 검증한 결과, 개선된 모형은 시설재배 토마토의 발달과 생육을 비교적 잘모의하여 본 모형이 의사결정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AG Tomato, Growth model, Defoliation, Smart-farm
농림생태계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농림기상학의 도전과 과제
김광수 ( Kwang Soo Kim ) , 문경환 ( Kyung Hwan Moon ) , 천정화 ( Junghwa Chun ) , 김준환 ( Junhwan Kim ) , 강민석 ( Minseok Kang ) , 김대준 ( Dae-jun Kim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9] 제21권 제3호, 117~120페이지(총4페이지)
스마트팜은 원예작물의 생산성과 품질을 제고하기 위한 생력화 방법으로 최근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국내의 스마트팜은 단순한 환경 모니터링과 환경제어만 가능한 초기단계에 머물고 있으며, 작물 생육에 최적화된 환경을 모의하는 의사결정도구의 개발은 미흡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의사결정도구로써의 작물생육모형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국내에서 개발된 GreenTom모형의 품종모수를 추정하고 모형의 모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적엽은 시설토마토재배에서 흔히 행해지는 농작업이지만 기존 모형은 이를 모의하지 않아 지상부 생육 모의에 문제를 나타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적엽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기존 모형에 추가하고 모의 성능을 검증한 결과, 개선된 모형은 시설재배 토마토의 발달과 생육을 비교적 잘모의하여 본 모형이 의사결정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국농림기상학회지 수록 논문에 기반한 산림기상 연구 추세와 전망
문나현 ( Na Hyun Moon ) , 신만용 ( Man Yong Shin ) , 문가현 ( Ga Hyun Moon ) , 천정화 ( Junghwa Chun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9] 제21권 제3호, 121~134페이지(총14페이지)
본 논문은 한국농림기상학회지 발간 20주년을 맞이하여 지난 20년 동안 학회지에 게재된 산림기상 관련 논문을 분석함으로써 그동안 수행된 산림기상 분야의 연구 추세를 진단함과 동시에, 앞으로의 산림기상 연구의 방향을 전망하고자 하였다. 산림기상 관련 논문은 총 220편으로 전체 게재된 논문의 35.5%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동안 구체적으로 어느 분야의 연구가 수행되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전체 220편의 산림기상 논문을 7개 영역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분류된 연구 주제는 산림기상과 산불, 산림기상과 수목생리, 산림기상과 산림보호, 산악지역 미기상, 기후와 산림 생장, 기후와 산림식생분포, 그리고 기후변화와 산림 생태계의 7개 영역이다. 게재된 220편의 산림기상 관련 논문은 앞에서 분류한 7개 영역에 복수로 포함될 수도 있는 주제를 다루고 있어...
TAG Forest meteorology, Forest climate, Research trends and prospects, Paper review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