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 - 포상기태 (Hydatidiform mole)

 1  간호학 - 포상기태 (Hydatidiform mole)-1
 2  간호학 - 포상기태 (Hydatidiform mole)-2
 3  간호학 - 포상기태 (Hydatidiform mole)-3
 4  간호학 - 포상기태 (Hydatidiform mole)-4
 5  간호학 - 포상기태 (Hydatidiform mole)-5
 6  간호학 - 포상기태 (Hydatidiform mole)-6
 7  간호학 - 포상기태 (Hydatidiform mole)-7
 8  간호학 - 포상기태 (Hydatidiform mole)-8
 9  간호학 - 포상기태 (Hydatidiform mole)-9
 10  간호학 - 포상기태 (Hydatidiform mole)-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간호학 - 포상기태 (Hydatidiform mole)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포상기태
(Hydatidiform mole)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포상기태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Ⅴ. 국시문제
Ⅰ. 서론
우리는 간호학 3-2-2- Apackage를 통해 임신 35주차 초임부인 고윤희(F/32)님을 알게 되었다. 고윤희님은 새벽부터 약간의 질출혈이 남아있어 외래를 통해 산과병동에 입원하였고, Twins Pregnancy로 진단을 받고 본원 산부인과 외래에서 산전관리를 받고 있다. 약간의 질출혈과 아랫배가 뭉쳐 불편하고 통증이 있어 겁이 나신다고 한다. 이로 인해 우리는 고윤희님에게 알맞은 간호를 수행하기위해 포상기태(Hydatidiform mole)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Ⅱ. 본론
1. 포상기태(Hydatidiform mole)
※ 임신성 영양막질환 (gestational trophoblastic disease, GTD)
: 영양막의 비정상적인 증식을 일으키는 질환
→ 포상기태(hydatidiform mole), 침윤성 기태(invasive mole), 융모상피암 (choriocarcinoma)
1) 정의
- 양성이며 융모막 융모가 어떤 원인에 의해 수포변성을 일으켜 작은 낭포를 형성
- 하얀 포도송이와 비슷하며 50~60%에서 융모상피암으로 악성화하므로 임상적으로 중요함
- 부분기태(partial mole)와 완전기태(complete mole) 2가지 형태가 있음
참고문헌
Ⅳ. 참고문헌
1. 이영숙 외(2014). 여성건강간호학2. 현문사
2.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편(2012).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3. 신경림(2009). 간호사 국가시험 대비 문제집 모성간호학. 대한간호협회
Ⅴ. 국시문제
1. 포상기태로 진단 받은 임부에게서 나타나는 증상은?
가. 임신 개월수에 비해 작은 자궁 크기
나. 임신 24주 이후 자간전증
다. 미약한 태아 심음
라. 심한 오심, 구토
① 가, 나, 다 ② 가, 다 ③ 나, 라
④ 라 ⑤ 가, 나, 다, 라
정답 : ④
해설 : 포상기태는 자궁 크기가 정상 임신 개월수에 비하여 과도하게 커서 불편감이 초래되며 심한 오심, 구토가 있다. 임신 초 간헐적 혹은 지속적으로 암적색의 분비물이나 포도상 기태가 배출되고 임신 12주 전에 자간전증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태아심음과 태동이 없고, 복벽상에 태아를 촉진할 수 없다.
2. 포상기태 임부의 혈액검사 소견으로 옳은 것은?
가. Hct 상승
나. Hb 상승
다. WBC 감소
라. ESR 상승
① 가, 나, 다 ② 가, 다 ③ 나, 라
④ 라 ⑤ 가, 나, 다, 라
정답 : ④
해설 : 포상기태 환자의 혈액검사 소견은 Hct, Hb, RBC는 감소하고, ESR과 WBC가 증가한다.
3. 임신 12주된 임부가 포상기태를 진단받았다. 적절한 치료방법은?
가. 옥시토신(oxytocin 투여)
나. 혈액형 검사 및 수혈
다. 소파수술(D&C)
라. Progesterone 투여
① 가, 나, 다 ② 가, 다 ③ 나, 라
④ 라 ⑤ 가, 나, 다, 라
정답 : ①
해설 : 임신 12주 이하인 포상기태 환자의 치료방법은 소파수술을 한 뒤 자궁수축제인 oxytocin을 투여하고, 실혈(blood loss)량에 따라 수혈을 하는 것이다. Progesterone 투여는 포상기태 환자의 치료로 적당하지 않다.
4. 포상기태 환자의 추후관리 중 상승여부를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하는 호르몬은?
① Progesterone
② hCG
③ Prolactin
④ Growth hormone
⑤ Estrogen
정답 : ②
해설 : 포상기태 제거 후 혈청 내 hCG가 자연적으로 떨어져야 하는데 hCG 수치가 떨어지지 않거나 계속 상승할 경우 융모상피암으로의 발전을 의미하므로 추후관리를 통해 hCG의 관찰이 필요하다.
5. 간호사가 포상기태 임부에게 퇴원 시 반드시 교육해야 할 내용으로 옳은 것은?
가. 주기적으로 hCG호르몬 수준을 검사하고 X-선 촬영을 한다.
나. 매일 같은 시각에 estrogen과 progesterone을 복용하도록 한다.
다. hCG호르몬 수준이 음성이 된 후에도 1년간 피임하도록 한다.
라. 가능한 활동을 제한하고 안정하도록 한다.
① 가, 나, 다 ② 가, 다 ③ 나, 라
④ 라 ⑤ 가, 나, 다, 라
답 : ②
해설 : 포상기태의 추후관리는 hCG 역가치가 음성으로 나올 때까지 1~2주 간격으로 혈청 hCG 호르몬치를 측정하며 그 후 6개월간은 매달, 다음 6개월 간은 2달 마다, 그 후에는 6개월 마다 1회씩 검사한다. 또한 폐는 융모상피암의 빈번한 전이장소이므로 hCG 역가치가 음성이 될 때까지 1개월마다 흉부 X-선 촬영을 하고, 그 후에는 2개월 간경으로 1년간 촬영한다. hCG 역가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음성이 된 후 1년 동안은 피임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