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부위장관출혈 간호진단: (저혈량성) 쇼크위험성(Risk for Shock) 간호과정 A+

 1  상부위장관출혈 간호진단: (저혈량성) 쇼크위험성(Risk for Shock) 간호과정 A+-1
 2  상부위장관출혈 간호진단: (저혈량성) 쇼크위험성(Risk for Shock) 간호과정 A+-2
 3  상부위장관출혈 간호진단: (저혈량성) 쇼크위험성(Risk for Shock) 간호과정 A+-3
 4  상부위장관출혈 간호진단: (저혈량성) 쇼크위험성(Risk for Shock) 간호과정 A+-4
 5  상부위장관출혈 간호진단: (저혈량성) 쇼크위험성(Risk for Shock) 간호과정 A+-5
 6  상부위장관출혈 간호진단: (저혈량성) 쇼크위험성(Risk for Shock) 간호과정 A+-6
 7  상부위장관출혈 간호진단: (저혈량성) 쇼크위험성(Risk for Shock) 간호과정 A+-7
 8  상부위장관출혈 간호진단: (저혈량성) 쇼크위험성(Risk for Shock) 간호과정 A+-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상부위장관출혈 간호진단: (저혈량성) 쇼크위험성(Risk for Shock) 간호과정 A+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저혈량성 쇼크(Hypovolemic shock)

2.『저혈량성 쇼크(Hypovolemic shock): 쇼크위험성(Risk for Shock)』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
3) 간호목표
4) 간호계획
5) 이론적근거
6) 간호수행
7) 간호평가

3. 참고자료
본문내용
1. 저혈량성 쇼크(Hypovolemic shock)

저혈량성 쇼크(Hypovolemic shock)는 순환혈량이 과다하게 감소하여 순환 기능 장애와 이로 인한 불충분한 조직 관류가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이 경우 조직과 세포가 대사에 요구되는 산소를 공급받지 못해 조직의 기능 장애 및 손상, 심할 경우 생명을 위협하는 응급상황으로 발전할 수 있다. 혈류량의 15-20% 소실 시 쇼크가 발생할 수 있으며 40% 이상의 경우 다발성 장기부전(Multiple organ dysfunction syndrome)과 같은 치명적인 결과가 초래되어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체액 소실의 원인은 주로 과도한 출혈, 설사, 구토 등이며 요붕증, 고혈당, 이뇨작용 증가, 화상 등에 의해 발생하기도 한다. 체액량이 감소하면 혈압이 떨어지고 체내에서 조직으로 혈액을 보내기 위한 보상 기전으로 맥박이 100회 이상 상승하는 빈맥, 20회 이상의 빈호흡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저체온, 핍뇨, 대사성 산증, 의식 수준의 변화나 불안감, 안절부절못하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피부와 말초로 가는 혈류는 감소하고 생명에 필수적인 장기로 가는 혈류는 증가하게 되어 피부가 창백하고 축축해진다.

저혈량성 쇼크가 발생했거나 쇼크의 위험이 있는 대상자는 지혈 등 순환혈량 감소의 주원인을 교정하는 처치를 시행하고 활력 징후와 의식 수준을 관찰하며 기도개방 유지, 산소요법, 산소화 모니터링, 보온, 시간당 30cc 이상의 소변량 유지, 수액 요법, 수혈, 승압제 투여 등과 같은 대상자의 상태가 안정될 때까지 적절한 산소화와 조직 관류를 유지하는 중재를 제공하여 더욱 심각한 상태로 악화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2.『저혈량성 쇼크(Hypovolemic shock): 쇼크위험성(Risk for Shock)』간호과정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2019). 현문사. 황옥남 외
최신기본간호학 (2020). 수문사. 송경애 외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2016). JMK
간호과정 실무지침: 개정판(2018).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서울대학교 간호본부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수정판(2019). 현문사. Meg Gulanick 저. 박은영 역
포널스 임상매뉴얼(2020). 포널스출판사. 대한남자간호학교수협의회 저.
논문: 『출혈성 쇼크의 병태생리』(2015). Journal of Acute Care Surgery. Vol. 6 No. 1. p2-6.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전남대학교병원 외상외과 강우성 외.
논문: 『소화성 궤양 출혈의 진단과 치료』(2015). 대한내과학회지. Vol. 88 No. 2. 충남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충남대학교병원 내과. 성재규
논문: 『Hypovolemic Shock』(2020). StatPearls. Treasure Island (FL): StatPearls Publishing. Harvard Medical School. Sharven Taghavi.
대한소화기학회: www.gastrokorea.org
서울아산병원: www.amc.seoul.kr
약학정보원: www.health.kr
하고 싶은 말
『저혈량성 쇼크(Hypovolemic shock): 쇼크위험성(Risk for Shock)』 간호과정입니다.

상부위장관 출혈(UGI Bleeding)이 있는 대상자의 간호과정이며
체액손실로 인한 저혈량성 쇼크의 위험이 있는 경우에 모두 다 참고하실 수 있는 내용이에요 ^^

자세하고 구체적이며, 꼼꼼하게 핵심을 잘 파악한 간호과정입니다!
진단적, 치료적, 교육적 내용을 모두 포함했구요,
간호과정에는 주관적 자료와 객관적 자료를 포함한 간호사정, 간호진단, 장기/단기 간호목표, 간호계획, 이론적근거, 간호수행, 간호평가, 참고문헌까지 모든 부분이 다 알차게 작성되었습니다. 참고로 간호중재는 모두 17개입니다.

참고자료를 찾아가며 제가 정말 열심히 직접 작성한 간호과정입니다.
제대로 된 정확한 자료로 분명히 도움됩니다!
꼭 A+받으세요! ^ ^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