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재판 농노제와 발생원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서론
II.본론
1.재판 농노제의 개념
2.재판 농노제의 발생원인-경제 원리에 따라
3.재판 농노제의 발생원인-계급간의 대립 과정에 따라
III.결론.
본문내용
I.서론
14~15세기에 나타난 ‘봉건제의 위기’는 서유럽 사회에 큰 변화를 야기했다. 특히 흑사병은 개발 한계 상태에 달한 토지 이용과 포화상태의 인구수로 인해 불안하던 당시 서유럽 사회에 결정적 타격을 가함으로써 중세의 봉건 질서를 해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줄어든 농민층으로 인해 농민의 가치가 상승하였고, 이에 따라 농민을 부림으로 해서 힘을 얻었던 봉건 영주의 힘이 약해졌으며, 특히 부르주아라 불리는 도시의 상공업 종사자들을 왕이 적절히 이용함으로써 절대왕정이 성립되었다는 것이 당시의 서유럽 사회를 보는 일반적인 관점이다. 서유럽은 이러한 과정을 통해 중세의 봉건 사회에서 벗어나 근대화를 이루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에 반해 동유럽에서는 15,16세기에 오히려 농민의 지위가 하락하는, 서유럽과는 정 반대의 현상이 발생한다. ‘재판 농노제’라 불리는 이러한 현상은 동유럽 사회가 근대화를 이루는데 있어 서유럽 사회보다 뒤처지는 상황을 야기했고, 서유럽 사회는 무역이라는 형태를 통하여 동유럽의 식량과 주요 원료를 공급받음으로써 보다 발전할 수 있었다. 본 발표문에서는 서유럽과 동유럽의 운명이 갈라지는 분기점이라 할 수 있는 ‘재판 농노제’에 대하여 간략하게 정리 한 후 ‘재판 농노제’의 원인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의견을 소개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1. 주경철. “재판농노제 연구”. 『서양사 연구 16』. (서울대학교 서양사연구회. 1994)
2. 한정숙. 역사학회편. “동유럽형 농노제-러시아를 중심으로”. 『노비․농노․노예-예속민의 비교사』. (서울:일조각, 1998)
3. 분더 하이데. 이연규 역. “독일의 동부와 서부에서의 농민조직과 계급갈등”. 『농업계급구조와 경제발전-브레너 논쟁』. (서울:집문당,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