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상징철학] 한국의 전통적 문양과 색채

 1  [한국의 상징철학] 한국의 전통적 문양과 색채-1
 2  [한국의 상징철학] 한국의 전통적 문양과 색채-2
 3  [한국의 상징철학] 한국의 전통적 문양과 색채-3
 4  [한국의 상징철학] 한국의 전통적 문양과 색채-4
 5  [한국의 상징철학] 한국의 전통적 문양과 색채-5
 6  [한국의 상징철학] 한국의 전통적 문양과 색채-6
 7  [한국의 상징철학] 한국의 전통적 문양과 색채-7
 8  [한국의 상징철학] 한국의 전통적 문양과 색채-8
 9  [한국의 상징철학] 한국의 전통적 문양과 색채-9
 10  [한국의 상징철학] 한국의 전통적 문양과 색채-10
 11  [한국의 상징철학] 한국의 전통적 문양과 색채-11
 12  [한국의 상징철학] 한국의 전통적 문양과 색채-12
 13  [한국의 상징철학] 한국의 전통적 문양과 색채-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의 상징철학] 한국의 전통적 문양과 색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여는 글
2. 한국의 문양
2.1. 한국 문양의 시대별 특징
2.2. 한국 문양의 분류
3. 한국의 색채
3.1. 오방색의 개념
3.2. 오방색의 쓰임
4. 맺는 글
본문내용
1. 여는 글
인간은 살아가는데 있어 다양한 것에 의미를 부여하며, 이렇게 생성된 상징은 다양한 형태로 그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이러한 상징에 대해 매우 무관심한 태도를 취하기 마련이다. 이는 상징이 우리 주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기 때문이며, 우리 역시 그 익숙함으로 인해 상징의 가치를 제대로 인식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상징은 그 형태와 더불어 내면적인 뜻과 결합하여 그 가치를 증가시킨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여기서는 이러한 상징의 의미를 ‘문양과 색채’라는 주제를 통해 알아보기로 하겠다.

2. 한국의 문양
2.1. 한국 문양의 시대별 특징
2.1.1. 원시시대
한반도에서 생활용기에 의도적으로 나타낸 무늬가 나타나기 시작하는 것은 신석기 문화기에 들어서면서부터 이다. 신석기시대의 대표적인 유물인 빗살무늬토기는 입구가 넓고 바닥이 뾰족한 형태에 짧은 음각(陰刻)으로 새긴 기하학적인 줄무늬가 특색을 이룬다. 주둥이 부분 둘레에는 점(點) 또는 짤막한 빗금무늬를 띠 모양으로 몇 줄 돌렸고, 그 밑 넓은 공간은 우선 긴 빗금 띠를 가로줄 또는 세로줄로 정연하게 베푼 것이 일반적인 형태이다. 이러한 무늬는 간결하면서도 장식하겠다는 뚜렷한 의도가 보일 뿐 아니라, 그 정연하고 통일된 무늬의 내용이 지니고 있는 더 깊은 뜻을 암시하고 있다. 신석기 문화 후기에는 직선적인 무늬는 점차 쇠퇴하고 몸체에는 배경을 남겨둔 채 점열로 물결모양, 노끈모양, 산모양 등을 표현한 곡선무늬가 나타난다. 신석기 문화에 이러한 기하학적무늬가 나타나게 된 배경에는 초기(草器)의 사용을 들 수 있다. 초기(草器)는 나뭇가지나 대오리, 풀줄기 등을 엮거나 짜서 만든 용기로 신석기시대의 토기에 나타나는 무늬들은 초기의 짜임새를 닮아 있다. 처음에는 질그릇을 만드는 과정에서 무심히 무늬를 박아 내었지만, 점차 농경신앙이 싹트면서 의례적인 무늬로 그 성격이 변화하여 풍요와 수확을 상징하는 기호가 되었다. 따라서 빗살무늬토기는 실제 생활에 사용되었다기보다는 제기(祭器)의 성격으로 제작된 것으로 보아야 한다.

2.1.2. 삼국시대
삼국시대에는 중국문화권의 영향과 불교의 유입으로 인해 미술전반에 새로운 경향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삼국시대의 유물은 같은 문화권 안에 있기에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면서도 무늬의 소재나 표현방법에 있어 차이점을 보인다. 우선, 고구려 고분벽화에 그려진 사신도(四神圖)를 비롯하여 일(日)·월(月) 성숙도 등은 신라미술에서는 토기에 주로 새겨진 것을 볼 수 있다. 그밖에 신라의 선각무늬 토기와 인물, 동물형상 토우장식토기(土偶裝飾土器)들이 다양하게 발견되고 있는데 특히 천마총 출토 ‘천마도(天馬圖)’ 역시 고구려 고분벽화에 똑같은 모양으로 묘사되고 있는 등 고구려 고분벽화에서의 숭천사상(崇天思想)이 신라미술에서도 찾아볼 수 있어서 흥미롭다. 한편, 금속공예 장식법에서 투작기법(透作技法)은 삼국이 다 같이 유행을 했으나, 무늬의 소재나 표현방법이 다소 다르기 때문에 쉽게 지역적 특성을 알 수 있다. 같은 문화권 속에서 같은 시기에 나타나면서도 이렇듯 서로 다른 뉘앙스를 풍기게 된 것은 각기 다른 외래문화의 영향을 말해준다. 투작무늬의 기본 소재는 크게 식물무늬 계열과 동물무늬 계열, 그리고 추상적 무늬 계열로 구분된다. 식물무늬 양식은 주로 백제 금속공예장식의 특징으로 볼 수 있으며, 동물무늬의 소재는 신라 금속공예장식, 추상적인 표현은 고구려 금속공예미술에서 특성을 이루고 있다. 백제의 식물문양은 중국 불교의 영향을 받은 것이며 신라의 동물문양은 한식(漢式) 투조장식에서 영향 받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영기를 형상화 한 모습을 삼국의 여러 작품에서 확인할 수 있다.

2.1.3. 통일신라시대
7세기 중엽, 오랜 숙원인 삼국 통일을 이룩한 신라는 고구려, 백제가 지닌 문화적 특성과 언어, 습속 등을 본래 지니고 있는 신라 고유문화 속에 흡수하여 새로운 민족문
참고문헌
강우방, 「한국 미술의 탄생」, 솔출판사, 2007년 11월 6일
한국문화재보호협회, 「한국의 무늬」, 한국문화재보호재단, 1998년 7월 1일
http://www.mcst.go.kr/
http://www.pattern.go.kr/
http://www.koreacolor.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