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 프로이드의 정신분석 이론

 1  [심리학] 프로이드의 정신분석 이론-1
 2  [심리학] 프로이드의 정신분석 이론-2
 3  [심리학] 프로이드의 정신분석 이론-3
 4  [심리학] 프로이드의 정신분석 이론-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 레포트 > 기타
  • 2009.08.24
  • 4페이지 / hwp
  • 1,000원
  • 30원 (구매자료 3% 적립)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심리학] 프로이드의 정신분석 이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의식의 수준 
2) 성격의 구조
3) 방어기제 (Defense mechanism)
4) 성격발달의 단계
본문내용
프로이드의 정신분석 이론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에서는 인간을 비합리적이고, 결정론적인 존재로 가정하고 있다. 인간의 행동이란 기본적인 생물학적 충동과 본능을 만족시키려고 하는 욕망에 의하여 동기화 되는 것으로 본다. 또 개인은 출생에서부터 5세 사이의 어린시절에 경험한 무의식 속에 잠재되어 있는 심리. 성적인 사건들에 의하여 결정되어 있는 존재로 본다.
 
1) 의식의 수준
프로이드는 인간의 정신을 빙산(Eisberg)에 비유하여, 물 표면에 떠있는 작은 부분을 의식, 물 속에 잠겨 있는 큰 부분을 무의식, 그리고 파도에 의해서 물 표면으로 나타났다 잠겼다 하는 부분을 전의 식으로 보았다.
 
① 의식 - 한 개인이 감각기관을 통해서 인식하는 모든 행위와 감정들을 말한다.
② 전의식 - “이용 가능한 지식”이라고도 하고, 의식의 부분은 아니지만 주의를 집 중하면 의식으로 떠올릴 수 있는 생각이나 감정을 말한다.
③ 무의식 - 개인이 자신의 힘으로는 의식으로 떠올릴 수 없는 생각이나 감정들을 포함하여, 감각기 관으로 인식할 수 없는 마음 깊은 곳에 감추어져 있는 정신세계로 본능, 열정, 억압된 관념과 감 정 등이 잠재되어 있다.
프로이드는 모든 정신과정이 무의식으로부터 기원하기 때문에 무의식을 가장 중요한 의식수준이라 고 보았다.
 
2) 성격의 구조
프로이드는 인간의 성격구조를 의식구조와 같이 3단계로 설명하였다. 선천적. 본능적 충동의 덩어리 로 일차적 원시과정인 원본능(id), 원본능의 욕구를 충족, 통제하기 위해 발달된 인간의식의 일부로 현실적 이차과정인 자아(ego), 사회문화적 규범이 내면화 된 것으로서 외부의 영향을 많이 받는 양심 과 이상인 초자아(super ego)를 주장하였다. 이러한 인간의 의식구조와 성격구조가, 인간이 성장하면 서 각각 다른 영향을 주기 때문에 개개인의 성격이 다르다고 보았고, 인간발달의 5단계에 있어서 이 론의 뒷받침을 하게 되었다.
 
① 원초아(id)
라틴어의 'it'에서 유래된 말로 대개 이드라고 부른다. 원초아는 성격의 깊은, 접 근할 수 없는 부분 을 대표한다. 본능적으로 쾌락을 추구하고 불쾌함을 회피하는 부분이다. 태어날 때부터 존재하는 가장 기본적인 생물적 충동-예를 들자면 음식, 물, 배설 등의 욕구, 성적 인 욕구 및 공격적인 욕구 등-을 말한다. 이들 욕구는 맹목적이고 끈덕지며 강력하고 단 하나만의 원리에 의해 움직인다. 즉 쾌락의 원 리(pleasure principle)에 따라 욕구를 만족시키는 것이다. 쾌 락의 원리란 사람은 내적 자극이나 외적 자극 때문에 흥분 에너지가 쌓여 긴장하면 이드의 명령에 따 라 그것들을 곧장 외부로 방출하여 결과가 어떻게 되든지 간에 일단 즉각적으로 긴장을 해소하 려고 시도하는 것이다. 그래서 이드의 작용을 원시적이고 유치하다 고 말하기도 한다. 이렇게 즉각 적으로 긴장을 해소해 쾌락을 추구하는 원리를 프 로이드는 쾌락원리라고 불렀다. 원초아는 난로에 손이 닿으면 즉각 손을 떼듯이 반사적인 운동을 통해서 나타나기도 하고, 그런 반사적인 운동으로 욕구충족이 되 지 않을 경우엔 환상이나 백일몽과 같은 원시적 사고를 통해서 나타나기도 한다. 원초아는 결코 성숙하지 않는 인격의 망나니 같은 면으로, 대부분은 인식되지 않 으며 무의식의 영 역이다. 우리는 꿈의 분석을 통해서 그리고 신경증적인 다양한 형태들을 통해서 원초자아에 관해 알게 된다. 프로이드는 이드가 생물학적 과정과 가장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성격의 요소이며, 성격의 가장 깊숙한 핵심이라고 보았다. 이드를 그야말로 진정한 심리적 실체라고 보았던 것이다. 그것은 이드가 원초적인 주체이고 개인이 외부 세계를 경험하기 이전부터 존재하는 내부 세계이 기 때문이다. 이드는 유전되며 정신에너지의 원천인 본능이 자리하는 곳이기도 하 다. 또한 성격 구조 의 기초로써 전체 성격 구조에 에너지를 제공하기도 한다. 이 드는 외부 세계보다는 신체나 신체의 작용과 더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② 자아(ego)
자아는 현실이라는 외부세계와 접촉하여 성격을 지배하고 통제한다. 이러한 자아 는 원초아만 가지 고 있던 어린이가 외부현실의 벽에 부딪히면서 갖게 된다. 어린 이는 즉각적으로 욕구들을 충족시키고자 하지만 그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것을 경험한다. 배가 고프지만 즉각 우유병이 입에 물려지지 않으며, 배설은 변기 에 해야 하며, 성기를 만지작거리거나 다른 사람을 때리면 벌을 받기도 한다. 따 라서 어린이는 커가면서 원초아의 욕구들을 만족시키되 사회현실의 요구들을 고 려하여 현실 세계에 알맞은 행동을 통해서, 때로는 욕구충족을 참으면서 혹은 억 제하며, 욕구들을 어떤 방식으로 충족시킬 것인가를 결정하고 집행한다. 즉 고등 정신과정을 동원하여 현실적이고 논리적인 방식으로 사고하고 계획하여 집행한다. 우리 의식의 대부분은 자아가 차지하고 있다.
 
③ 초자아(superego)
성격의 판사와 같은 부분이다. 어떤 행위가 나쁜가 하는 선악을 구분하는 개인의 양심인 것이다. 초자아란 부모와 다른 사람들이 어린이에게 가르쳐준 사회의 가치 와 도덕의 내면화된 표상이므로, 그 사회의 전통적인 가치나 이상을 나타낸다. 처 음에 부모는 어린이들에게 보상과 처벌을 통해서 직접적으로 행동을 통제한다. 그 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린이들은 부모의 표준을 자신의 초자아에 통합시킴으 로써 스스로의 행동을 통제하게 된다. 그들의 초자아가 아동에게 말해주기 때문에 더 이상 어린이에게 남의 물건을 훔치는 일이 나쁘다고 말할 필요가 없게 되는 것이다. 초자아는 심리적인 보상과 처벌과 관계가 깊다. 초자아의 기준에 따라 행 동하게 되면 심리적인 보상으로는 자부심과 자기애를 얻을 수 있는 반면, 이에 반 했을 경우에는 죄책감과 열등감을 갖게 된다. 어린이의 경우에는 기준을 위반하려 고 할 때 부모의 사랑을 잃게 되는 불안을 야기 시킨다. 만일 부모의 기준들이 너 무 엄격하면, 그 사람은 죄의식에 사로잡히고 모든 공격적이거나 성적인 충동들을 억제할 수 있다. 원초아는 쾌락을 추구하고, 자아는 현실을 검증하고, 초자아는 완전을 추구한다. 초자아는 원초아의 충동을 억제하도록 하며, 자아가 현실적인 목표 대신 도덕적인 목표를 추구하도록 한다.
 
3) 방어기제 (Defense mechanism)
방어기제는 불안, 죄책감, 갈등, 고민, 드러낼 수 없는 욕구들 등, 자기에 대한 여러 위협들에게서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마음의 반응 양식을 말한다. 방어기제는 병적행동이 아니고 정상적인 행동이다. 우리들 대부분은 스스로 의식 하지 못하는 사이에 어느 정도의 자아방어기제들을 사용하고 있다. 개인이 사용하 는 방어는 개인의 발달수준과 불안의 정도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방어기제를 적 절히 이용하는 것은 현실세계에 있어서 괴로운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준다. 단지 문제가 되는 경우는 문제에 대한 지배적 반응양식들로 되게 될 경우에만 성 격적인 부적응을 나타낸다. 신경증적인 사람들은 일반적인 사람보다 훨씬 더 빈번 히 사용하고, 때로는 어느 하나에만 초점을 두기도 한다. 그렇지만 단 하나만의 방어기제를 사용하는 일은 드물다. 방어기제들에는 두 가지 공통점이 있는데, 현 실을 왜곡시키며, 무의식의 수준에서 일어난다는 것이다.

① 억압(抑壓): 억압이란 수치스럽다고 느끼는 생각, 죄의식, 괴로운 경험 그리고 싫 증나는 일들을 의식에서 무의식으로 밀어내는 것을 말한다.
② 반동형성(反動形成): 자신이 가지고 있는 죄의식을 본래의 행동과 완전히 반대되 는 방향으로 바꾸는 것을 말한다.
예) 미혼모가 애를 가졌을 때 그 애에 대해서 익애하는 경우

③ 합리화(合理化): 정당하지 못한 자신의 행위에 대해 그럴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붙여 정당화 시키려 하는 것이다.
예) 이솝우화의 “신포도”

④ 투사(投射): 사회적으로 인정받지 못하거나, 부끄럽다고 느껴지는 자신의 행동과 생각을 그것과 관련된 상대방이 마치 그렇게 행동하고 생각하는 것처 럼 표현하는 것이다.
예) 자신이 화가 났는데 상대방이 자기에게 화를 낸다고 생각하는 것.

⑤ 퇴행(退行): 자신의 불안이나 욕구를 해소하기 위해 과거(발달의 초기단계)에 사 용했던 생각이나 감정 또는 행위를 통해 나타내는 것이다.
예) 손가락 빨기, 오줌 싸는 것.

⑥ 감정전이(感情轉移): 자신의 불안이나 분노의 감정을 그것과는 상관없는 다른 대 상에게 표출하는 것이다.

⑦ 억제(抑制): 해롭고 바람직하지 못한 생각과 충동에 대해서 의식적으로 통제하는 것을 말한다. 이 기제는 억압과 같은 목적을 가지고 있지만 개인의 의 식적 의도가 있다.

⑧ 보상(補償): 어떤 분야에서 탁월하게 능력을 발휘하여 인정을 받음으로써 다른 분야의 실패나 약점을 보충하여 자존심을 고양시키는 기제이다.

⑨ 치환(置換): 전혀 다른 대상에게 자신의 감정을 발산하는 것이다.
예) 동대문에서 뺨맞고 한강에서 화풀이 한다.

⑩ 승화(昇華): 억압된 충동이나 욕구의 발산방향을 완전히 사회적으로 인정되어 가 치 있는 목표로 옮겨지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