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경영학, 미국경영학] 독일경영학과 미국경영학 비교

 1  [독일경영학, 미국경영학] 독일경영학과 미국경영학 비교-1
 2  [독일경영학, 미국경영학] 독일경영학과 미국경영학 비교-2
 3  [독일경영학, 미국경영학] 독일경영학과 미국경영학 비교-3
 4  [독일경영학, 미국경영학] 독일경영학과 미국경영학 비교-4
 5  [독일경영학, 미국경영학] 독일경영학과 미국경영학 비교-5
 6  [독일경영학, 미국경영학] 독일경영학과 미국경영학 비교-6
 7  [독일경영학, 미국경영학] 독일경영학과 미국경영학 비교-7
 8  [독일경영학, 미국경영학] 독일경영학과 미국경영학 비교-8
 9  [독일경영학, 미국경영학] 독일경영학과 미국경영학 비교-9
 10  [독일경영학, 미국경영학] 독일경영학과 미국경영학 비교-10
 11  [독일경영학, 미국경영학] 독일경영학과 미국경영학 비교-11
 12  [독일경영학, 미국경영학] 독일경영학과 미국경영학 비교-12
 13  [독일경영학, 미국경영학] 독일경영학과 미국경영학 비교-13
 14  [독일경영학, 미국경영학] 독일경영학과 미국경영학 비교-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독일경영학, 미국경영학] 독일경영학과 미국경영학 비교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상업학의 성립과 발전

3. 독일 경영학의 성립
(1) 곰베르그와 쉐어의 상업 경영학 제창
(2) 베이어만과 쉐니쯔의 과학적 사경제학 제창
(3) 슈말렌바하의 기술론으로서의 사경제학의 제창

4. 독일 경영학의 방법론
(1) 규범론적 방법
(2) 기술론적 방법
(3) 이론적 방법
(4) 비판적 방법

5. 독일 경영학의 발전
(1) 디트리히의 규범론
(2) 니클리슈의 노사동권적 노사협조학설
(3) 슈미트의 유기적 경영관
(4) 리이거를 중심으로 한 방법논쟁
(5) 구텐베르그의 문제의식
(6) 멜레로비쯔에 의한 비판

6. 독일 경영학의 신동향

7. 미국 경영학의 성립
(1)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법
(2) 페이욜의 관리과정론

8. 미국 경영학의 발전
(1) 인간관계론
(2) 행동과학의 전개
(3) 조직론

9. 미국 경영학의 동향 (컨턴전시이론)

10. 기타 국가의 경영학 발전
(1) 일본의 경영학
(2) 영국의 경영학
(3) 한국의 경영학

11. 현대 경영학의 조류 및 제학파
(1) 쿤쯔의 분류
(2) '경영관리론의 밀림'이후의 동향
(3) 직무활동학파의 전개
본문내용
경영학은 미국중심의 경영학과 독일중심의 경영학으로 대별된다. 미국경영학은 실용적, 실무가 중심적인데 반해, 독일경영학은 이론적, 방법론적, 학자위주로 발전하였으며 오랜 역사를 갖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영학은 일제하에서 독일의 영향을 받았으나, 해방이후 미군정의 영향을 받은 이후 거의 미국경영학에 영향을 받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는 경영학교재의 명칭이 "경영경제학"에서 "경영학"으로 변경한 것에서도 알 수 있다. 미국경영학과 독일경영학을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학문배경면에서 미국경영학은 테일러이후 약100년의 역사, 기사와 실무가에 의한 출발, 공업경영에서 시작한 반면, 독일경영학은 사바리 이후 400년 가까운 역사, 학자에 의해 기초가 이루어졌으며, 상업경영에서 출발하였다. 학문적 성격면에서는 미국경영학이 실천과학, 응용과학인데 반해, 독일경영학은 이론과학, 기초과학의 성격을 띄고 있다. 그래서 학문영역면에서도 미국경영학은 기업의 운영(경영관리)에 중점을 두는 반면, 독일경영학은 기업의 창설, 운영, 해체의 전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현재 경영학의 흐름은 미국을 중심으로 발전되고 있다. 테일러에 의해 창안된 과학적 관리법(scientifric management)은 근로자의 태업(soldiering)을 없애고 주먹구구식 관리방법을 과학적으로 바꿈으로써 생산면에서 효율을 높이고자 하였다. 그는 일을 조직화하고 운영하는데'과학적' 방법과 절차를 사용하였으며, 하나의 직무를 실행하기 위한 '최적의 방법'을 발견하기 위해 시간연구와 동작연구를 하였다. 과학적 관리란 작업자의 경험과 묵시적 기능을 공식화하여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지식을 만들려는 시도이다. 그러나 근로자들의 경험과 판단을 새로운 지식창출의 원천으로 생각하지 못함으로써 새로운 작업방법의 창출은 전적으로 관리자의 책임으로 돌아갔다. 과학적 관리법이 급속히 확산되면서, 관리에서 인적 요소를 중시여기는 간관계이론이 등장하였다. 1920년과 1930년대 메이요 교수가 이끄는 하바드대학의 연구팀은 서부전기회사의 호손공장에서 수차레 실험을 실시하였다. '호손실험'이라고 불리는 이 연구에서는 사기, 소속의식, 인간의 집단행위를 이해하려는 개인간의 기능 등의 사회적 요소들이 생산성 향상에 큰기여를 하고 있음이 밝혀졌다(Roethlisberger & Dicson, 1939).
이 결과를 기초로 메이요는 뢰들리스버거 등과 공동으로 '인간관계' 라는 새로운 관리이론을 개발하였다. 그들은 테이러의 관점이 근로자를 미립자처럼 경제적 인간(economic man)으로 보았다고 비판하면서, 인간 자체는사회적 동물로서 사회적 집단의 상황속에서 이해되고 다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메이요(1933)는 관리자란 '사회적 인간의 기능'을 개발하여 작업조직내 공식, 비공식집단에서 개인들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인간관계이론은 인간적 요소가 작업장내 근로자들이 갖고 있는 실질적 지식의 개선을 통해 생산성을 높이는데 큰 기여를 하였지만, 지나치게 인간적인 면을 강조하여 공식조직 등을 간과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하고 싶은 말
교수님을 만족시킨 A+ 레포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