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통민가의 평면유형 분류

 1  한국전통민가의 평면유형 분류-1
 2  한국전통민가의 평면유형 분류-2
 3  한국전통민가의 평면유형 분류-3
 4  한국전통민가의 평면유형 분류-4
 5  한국전통민가의 평면유형 분류-5
 6  한국전통민가의 평면유형 분류-6
 7  한국전통민가의 평면유형 분류-7
 8  한국전통민가의 평면유형 분류-8
 9  한국전통민가의 평면유형 분류-9
 10  한국전통민가의 평면유형 분류-10
 11  한국전통민가의 평면유형 분류-11
 12  한국전통민가의 평면유형 분류-12
 13  한국전통민가의 평면유형 분류-13
 14  한국전통민가의 평면유형 분류-14
 15  한국전통민가의 평면유형 분류-15
 16  한국전통민가의 평면유형 분류-16
 17  한국전통민가의 평면유형 분류-17
 18  한국전통민가의 평면유형 분류-18
 19  한국전통민가의 평면유형 분류-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전통민가의 평면유형 분류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전통민가의 뜻
2. 지역을 중심으로 구분한 민가형 분류
2.1. 이와스키의 분류
2.2. 노무라의 분류
2.3. 이영택의 분류
2.4. 장보웅의 구분류
3. 평면을 중심으로 구분한 민가형 분류
3.1. 주남철 교수에 의한 분류
3.2. 장보웅 교수에 의한 분류
3.3. 김홍식 교수에 의한 분류
4. 남부지방 전통주거의 평면유형
4.1. 일반형
4.2. 중앙부엌형
4.3. 남동해안형
5. 소 결
5.1. 시대성
5.2. 지역성
5.3. 계층성
본문내용
한국의 민가(전통 살림집)는 우리 조상들이 한반도에 오랫동안 거주하면서 우리에게 물려준 전통이 담겨진 민중의 주택을 의미한다. 민가를 잘 분석해 보면 우리 조상들이 한반도의 풍토를 어떻게 이해하였는가를 알 수 있으며 또한 우리 조상들이 장기간의 시행착오를 통해서 이 풍토에 잘 적응해서 살 수 있는 형태와 구조의 민가를 우리에게 물려주었음을 알 수 있다.
민가는 어느 지역에서 독립적으로 만들어진 경우보다는 민중문화의 확산 결과에 의해서 만들어진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민가를 통해서 그 확산 경로와 분포도를 파악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좁은 국토에 비해서 민가가 지역적으로 비교적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음은 한국의 반도적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민가는 민중의 건축 문화이며, 귀중한 문화유산의 하나이다.
전통민가를 연구함에 있어. 우선 그 뜻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민가의 민(民)은 을 일컫고, 가(家)는 을 말한다. 따라서 민가란 곧 을 말하며 이는 궁궐(宮闕), 관아(官衙), 사찰(寺刹) 등의 공적인 건축공간과는 다른 사적인 건축공간으로서 위로는 공경대부로부터 아래로는 천민에 이르기까지 을 뜻하였던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문헌에 라는 말은 고대 삼국시대부터 사용되어 온 것으로서, 이 말이 최초로 문헌상에 나타나는 것은 『三國史記』「百濟本記」5 법왕 때의 기록으로 추정되고 있다.
흔히들 민가라고 하면 초가삼간(草家三間)을 연상하게 되는데 이는 무척 막연한 의미이다. 또한 주거건축을 지칭하는 용어들은 즉 주택, 민가, 살림집, 주거, 가옥 등 막연히 여러 형태로 사용되고 있지만, 민가에 대한 정확한 정의가 아직 내려지지 않은 실정이다. 이와 같이 다면적인 측면에서 연구대상이 되고 있기 때문에 민가의 정의는 그 연구 목적에 따라, 연구자에 따라 약간씩 상이한 견해를 취하고 있다.
윤장섭 교수는 “민가는 한 나라와 민족의 사회대중에 속하는 농민층과 서민층의 주거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것이며, 그 나라 민족의 주거형태를 대표하는 것”이라고 했고, 김홍식 교수는 “민중들이 삶을 영위했던 주생활공간”으로 정의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