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운에 반영된 어음변화 양상

 1  증운에 반영된 어음변화 양상-1
 2  증운에 반영된 어음변화 양상-2
 3  증운에 반영된 어음변화 양상-3
 4  증운에 반영된 어음변화 양상-4
 5  증운에 반영된 어음변화 양상-5
 6  증운에 반영된 어음변화 양상-6
 7  증운에 반영된 어음변화 양상-7
 8  증운에 반영된 어음변화 양상-8
 9  증운에 반영된 어음변화 양상-9
 10  증운에 반영된 어음변화 양상-10
 11  증운에 반영된 어음변화 양상-11
 12  증운에 반영된 어음변화 양상-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증운에 반영된 어음변화 양상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연구 목적
2. 增韻의 연원과 체제
2.1 增韻의 연원
2.2 增韻의 판본과 체제
2.3 增韻의 增修와 互注
3. 增入字에 반영된 어음변화
3.1 非母와 敷母의 합류
3.2 知租와 照組의 합류
3.3 照組와 日母의 혼절
3.4 예외의 처리
4. 결론
參考文獻

본문내용
󰡔增韻󰡕이 보여주는 어음변화 현상과 관련하여 고찰해 보아야 할 문제가 있다. 그것은 󰡔增韻󰡕 안에서 非母와 敷母가 합류하지 않은 채 남아있는 宥 願 吻 漾 東 鍾 腫 麌 送韻에 대한 설명, 또 知照 합류의 범주 안에 들어오지 않는 知照 대립 韻에 대한 설명, 日母의 변화의 범주에 들어오지 않는 字들에 대한 설명 등 어음변화에 대하여 예외로 처리될 수 있는 字 또는 韻에 대한 설명의 문제이다. 非敷 합류의 문제만 국한시켜 생각해보자. 젊은이 문법학파의 규칙성 가설에 의거한다면, 이들은 非敷 합류에 대한 예외적 현상이거나 내재된 어떤 또다른 규칙에 의해 움직이는 부류로 간주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은 󰡔中原音韻󰡕에 이르러 다른 韻들과 마찬가지로 非敷합류가 일어나서 거시적으로는 예외로 생각할 수 없으며 또한 이들만을 하나의 자연부류로 묶을 수 있는 자질을 찾기도 어렵다. 따라서 이 韻들은 어휘확산의 관점에서 바라보아야 한다. 非母와 敷母의 합류 추세를 보면, 宋初원본 󰡔禮部韻略󰡕의 일부에 적용되던 非母와 敷母의 합류는 南宋의 󰡔增韻󰡕에 이르러서는 그 범위가 상당히 확대되어 적용되고, 元代에 이르러 모든 韻에 적용된다. 이는 非敷 합류가 어떤 음성적/음운적 조건에 따라 일시적으로 모든 字에 적용되는 현상이 아니라, 일부 字에서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전체로 확대되어 나가는 현상임을 말한다. 따라서 위 韻들은 음운변화의 적용을 받지 않고 남아있는 잔여물(residue)로 봄이 타당하다. 그러면 어떤 동력에 의해 변화가 확산되어 가는가? 그것은 앞으로의 더 깊은 연구가 필요한 문제이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