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관리] 석유 유통과정 분석

 1  [유통관리] 석유 유통과정 분석-1
 2  [유통관리] 석유 유통과정 분석-2
 3  [유통관리] 석유 유통과정 분석-3
 4  [유통관리] 석유 유통과정 분석-4
 5  [유통관리] 석유 유통과정 분석-5
 6  [유통관리] 석유 유통과정 분석-6
 7  [유통관리] 석유 유통과정 분석-7
 8  [유통관리] 석유 유통과정 분석-8
 9  [유통관리] 석유 유통과정 분석-9
 10  [유통관리] 석유 유통과정 분석-10
 11  [유통관리] 석유 유통과정 분석-11
 12  [유통관리] 석유 유통과정 분석-12
 13  [유통관리] 석유 유통과정 분석-13
 14  [유통관리] 석유 유통과정 분석-14
 15  [유통관리] 석유 유통과정 분석-15
 16  [유통관리] 석유 유통과정 분석-16
 17  [유통관리] 석유 유통과정 분석-17
 18  [유통관리] 석유 유통과정 분석-18
 19  [유통관리] 석유 유통과정 분석-19
 20  [유통관리] 석유 유통과정 분석-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유통관리] 석유 유통과정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석유제품의 유통구조
1) 석유제품 유통구조의 특성
2) 석유 유통기관의 공간적 분포

2. 석유의 정제

3. 석유제품의 종류
1) 휘발유(Gasoline)
2) 나프타(Naphtha)
3) 등유(Kerosene)
4) 경유(Diesel oil, Gas oil)
5) 중유(Fuel oil, Bunker oil)
6) 아스팔트(Asphalt)
7) 윤활유(Lubricating oil)
8) LPG
9) 그 외

4. 원유 생산량 및 수급현황

5. 원유의 수송
1) 원유의 구입
2) 원유의 도입
3) 석유제품 수송

6. 세계 석유 유통시장 구조 비교
1) 미국
2) EU
3) 일본

Ⅲ. 결론
석유제품의 유통구조

본문내용
2) 석유 유통기관의 공간적 분포

석유제품의 유통을 담당하고 있는 유통기관은 정유사, 대리점, 주유소로 대별하여 볼 수 있다. 석유제품의 유통을 담당하는 가장 기초가 되는 정유사는 원유를 수입하여 규격제품을 생산한 후 이를 대수요처에 직매하거나 대리점을 통하여 제품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우리나라의 상압정제시설을 기준으로 하여 본 정제능력은 1980년 640(천BPSD)에서 1990년 840(천BPSD)으로 약간 증가하였다. 그러나 석유제품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서 정제능력도 상당히 증가되어 2000년에는 2438(천BPSD)로 크게 늘어났으며, 현재 우리나라의 정제능력은 세계 5위를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 정유사는 SK(주), LG-Caltex(주), S-Oil(주), 현대정유(주), 인천(주)의 5개사가 있다. 원자재인 원유를 100% 수입해야 하고 또한 생산된 제품을 수출하거나 국내시장에 공급하기 위해서 정유공장들은 모두 항만에 위치하고 있다. 각 정유사들의 현재 일별 정제능력은 SK사가 810(천BPSD), LG-Caltex사 600(천BPSD), 그리고 S-Oil이 443(천BPSD), 현대정유사가 310(천BPSD), 그리고 인천 정유사가 275(천BPSD)를 점유하고 있다.
이들 정유사들의 소비시장 점유율을 보면 정제능력과 같은 순위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회사별로 정제능력 비중과 시장점유율을 비교해보면, SK와 LG-Caltex 정유사의 시장점유율은 정제능력 비중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나고 있다. 반면에 나머지 3개 정유사의 시장점유율은회사명
정제능력
(천BPSD; %)
소비시장점유율(%)
SK
810
33.2
37.1
LG-Caltex
600
24.6
30.3
S-Oil
443
18.2
13.4
현 대
310
12.7
12.3
인 천
275
11.3
6.9
정제능력 비중에 비해 다소 낮게 나타나고 있다.
석유대리점은 정유사로부터 공급받은 석유제품을 주유소, 부판점 및 실수요자에게 판매하는 도매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대리점은 크게 네 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첫째, 석유대리점은 주유소, 판매소, 중소수요처에 대한 시장관리 및 판매기능을 한다. 둘째, 정유사에서 현금 또는 외상으로 매입한 석유제품을 주유소, 판매소, 중소수요처에 외상으로 판매해주는 금융기능과 시설자금 지원 등의 위험 부담 기능을 한다. 셋째, 2차 수송기능과 자체 저장시설을 보유하여 위험을 분산시키고 수급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넷째, 규격 제품의 공급과 품질유지 및 통제를 통한 품질관리기능 및 교육지도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세 번째 기능 중 저유기능은 거의 담당하지 않고 있다. 이는 제품의 특성상 저장과정에서 많은 운영비가 소요되기 때문에 석유제품을 저장하지 않고 직접 저유소에서 주유소로 수송하고 있다.
석유대리점은 운영형태에 따라 정유사의 자본과 경영참여로 운영되는 직영대리점과 일반 법인이 자기자본과 책임 하에 정유사의 석유제품을 공급받아 판매하는 일반대리점으로 구분되고 있다. 직영대리점은 정유사, 또는 정유사와 독립된 법인체가 자본참여와 경영참여를 통해 도매기능을 통합한 형태이다. 자영대리점은 자기 자본과 책임 하에 정유사로부터 석유제품을 공급받아 판매하므로 직영대리점과는 성격을 달리한다. 즉, 직영대리점이 정유사의 판매정책 수행에 목표를 두는 반면 자양대리점은 자사의 이윤추구에 목표를 둔다.
현재 전국의 대리점 수는 약 209개로 SK47개, LG 39개, S-Oil이 27개, 현대가 44개, 그리고 무폴 등이 52개이다. 정유사들은 석유시장의 대외 개방에 대비하고자 정유소와 주유소간의 직접 거래 허용조치를 기점으로 하여 다수의 직영 대리점들을 하나의 대형 석유 판매 회사로 개편하였으며, S-Oil의 경우 직영대리점을 본사에 흡수시켰다. 이에 따라 일반 자영대리점들은 그대로 존속되고 있으나, 정유사와 주유소와의 직거래로 인하여 경쟁력이 약화되고 있으며, 도매 기능이 크게 위축되고 있다.
대리점의 분포를 보면 서울과 6대 광역시에 우리나라 대리점의 절반 이상이 분포되어 있으며, 특히 부산에는 56개의 대리점이 분포되어 있다. 그리고 경남, 경기, 전남에 상대적으로 많은 대리점들이 분포하고 있는 반면에 강원, 경북, 제주도에는 5개 이하의 대리점이 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