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국어] `한글맞춤법`의 띄어쓰기 규정 요약 및 띄어쓰기가 잘못된 용례 파악 수정

 1  [대학국어] `한글맞춤법`의 띄어쓰기 규정 요약 및 띄어쓰기가 잘못된 용례 파악 수정-1
 2  [대학국어] `한글맞춤법`의 띄어쓰기 규정 요약 및 띄어쓰기가 잘못된 용례 파악 수정-2
 3  [대학국어] `한글맞춤법`의 띄어쓰기 규정 요약 및 띄어쓰기가 잘못된 용례 파악 수정-3
 4  [대학국어] `한글맞춤법`의 띄어쓰기 규정 요약 및 띄어쓰기가 잘못된 용례 파악 수정-4
 5  [대학국어] `한글맞춤법`의 띄어쓰기 규정 요약 및 띄어쓰기가 잘못된 용례 파악 수정-5
 6  [대학국어] `한글맞춤법`의 띄어쓰기 규정 요약 및 띄어쓰기가 잘못된 용례 파악 수정-6
 7  [대학국어] `한글맞춤법`의 띄어쓰기 규정 요약 및 띄어쓰기가 잘못된 용례 파악 수정-7
 8  [대학국어] `한글맞춤법`의 띄어쓰기 규정 요약 및 띄어쓰기가 잘못된 용례 파악 수정-8
 9  [대학국어] `한글맞춤법`의 띄어쓰기 규정 요약 및 띄어쓰기가 잘못된 용례 파악 수정-9
 10  [대학국어] `한글맞춤법`의 띄어쓰기 규정 요약 및 띄어쓰기가 잘못된 용례 파악 수정-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대학국어] `한글맞춤법`의 띄어쓰기 규정 요약 및 띄어쓰기가 잘못된 용례 파악 수정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머리말

2.띄어쓰기의 사전적 의미

3.띄어쓰기의 필요성

4.한글 맞춤법의 띄어쓰기 원리와 원칙규정

5.우리 주변에서 띄어쓰기 잘못된 용례
5-1.각종 출판물
5-2.방송자막
5-3.인테넷 신문

6.맺음말

본문내용
1. 머리말
한글 표기의 띄어쓰기 문제는 한글 맞춤법 영역에서 비중 있게 다루어 왔다. 이는 ‘한글 맞춤법 통일안’(1933)이 총 7개장 중에 제7장에서 띄어쓰기를 다루고, ‘한글 맞춤법’(1988)도 총 6개장 중에 제5장에서 이것을 다루는 데서도 드러난다.
이처럼 중요하게 다루어진 이유는 대중들의 띄어쓰기 실태가 매우 혼란스러워 띄어쓰기를 가장 어려워 하기 때문이다. ) 띄어쓰기 혼란의 실태 조사로 조문제(1976), 박홍길(1980)의 조사가 있다.

이익섭(1992:390-396)에서도 이러한 한글 띄어쓰기의 어려움을 지적하고 누구나 자신의 띄어쓰기에 대해 ‘자신 없어 한다’고 하면서 방금 쓴 ‘자신 없어 하다’조차 어떻게 띄거나 붙일지 기준이 없음을 언급하고 있다.
또한 ‘띄어쓰기’라는 단어는 단어로 보면서 ‘띄어 쓰다’는 단어로 보지 않아 띄어 쓰고 있는 이유를 대중이 이해하기란 쉽지 않고, 오히려 ‘띄어쓰기’를 단어로 본다면 ‘띄어쓰다’도 합성어로 붙여 써야 한다고 주장할 수도 있어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이러한 실태에 비추어 우리는 띄어쓰기의 변천사를 살펴 보면서 그 동안 나왔던 한글 띄어쓰기 규정들의 내용을 살펴보고 그 문제점과 앞으로의 방향을 가늠해 보고자 한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