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운동학] 관절의 생역학적 기본원리

 1  [임상운동학] 관절의 생역학적 기본원리-1
 2  [임상운동학] 관절의 생역학적 기본원리-2
 3  [임상운동학] 관절의 생역학적 기본원리-3
 4  [임상운동학] 관절의 생역학적 기본원리-4
 5  [임상운동학] 관절의 생역학적 기본원리-5
 6  [임상운동학] 관절의 생역학적 기본원리-6
 7  [임상운동학] 관절의 생역학적 기본원리-7
 8  [임상운동학] 관절의 생역학적 기본원리-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임상운동학] 관절의 생역학적 기본원리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인체골격의 관절들은 건축구조물, 가구, 기계에 이용되고 있는 관절과 흡사하다. 인체의 관절과 비 인체의 관절들은 기본적인 디자인이 비슷하며, 구조와 기능 사이에 존재하는 상호관계가 매우 크다. 기능은 구조를 설명하고 구조는 기능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만약, 어떤 사람이 가구 혹은 기계를 위해 관절을 설계했다면, 관절의 디자인이 기능을 위해 적절한지 알아야 한다. 그러므로 기능은 구조를 결정한다. 그러나 관절이 이미 만들어 졌다면 관절의 구조는 결정되어 있다. 인체의 관절은 이미 만들어져 인체의 관절구조는 기능이 결정되어 있다.

1. 관절의 종류(Joint Categories)

1) 비가동성 관절(Synarthroses)

(1) 섬유성관절(Fibrous Joint)
섬유성관절에서 섬유조직이 직접 뼈와 뼈를 결합시킨다. 인체에는 3가지 다른 섬유관절 형태가 있는데 그것은 봉합관절(suture), 못박이 관절(gomphosis), 그리고 인대결합관절(syndesmosis)이다. 두 개의 뼈로 구성된 관절은 밀집된 섬유조직의 엷은 막에 의해 결합되는데 이것은 봉합관절(suture joint)이다. 구성되는 뼈들의 끝이 얽히거나(interlock) 혹은 서로 중첩되는 형태이다. 이와 같은 관절의 형태는 두개골에서 볼 수 있으며 유아기에는 약간의 운동이 허용된다. 봉합관절에서 뼈의 융합은 살아있는 동안에 일어나며 골결합(synostosis)이라고 부르는 뼈 결합을 일으킨다.
참고문헌
Cynthia C. Norkin, Pamela K. Levangie, 「임상운동학」, 영문출판사, 1998


하고 싶은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