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개발의 기회와 대응

 1  북극개발의 기회와 대응-1
 2  북극개발의 기회와 대응-2
 3  북극개발의 기회와 대응-3
 4  북극개발의 기회와 대응-4
 5  북극개발의 기회와 대응-5
 6  북극개발의 기회와 대응-6
 7  북극개발의 기회와 대응-7
 8  북극개발의 기회와 대응-8
 9  북극개발의 기회와 대응-9
 10  북극개발의 기회와 대응-10
 11  북극개발의 기회와 대응-11
 12  북극개발의 기회와 대응-12
 13  북극개발의 기회와 대응-13
 14  북극개발의 기회와 대응-14
 15  북극개발의 기회와 대응-15
 16  북극개발의 기회와 대응-16
 17  북극개발의 기회와 대응-17
 18  북극개발의 기회와 대응-18
 19  북극개발의 기회와 대응-19
 20  북극개발의 기회와 대응-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북극개발의 기회와 대응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최근 북극 해빙의 급진전으로 북극개발이 현실화
북극의 빠른 해빙으로 항로와 자원 개발 가능성이 증대
북극 연안국과 글로벌기업들의 북극개발 각축전이 본격화
한국의 북극위원회 영구옵저버 승격이 임박
북극항로
북극항로는 한국의 조선·플랜트 산업에서 신규 수요를 창출
북극항로는 한국 항만산업의 성장을 촉진
북극항로의 최대 수혜자, 부산항
북극자원
북극지역 석유·가스 주요 매장량
자원개발 및 플랜트 분야에 한국기업의 진출이 본격화
북극개발의 네 가지 장애요인
영유권 분쟁: 빙하 냉전(Ice-Cold War)
러시아의 북극해저 국기 게양 사건
고비용: 기후 악조건에 따른 과도한 자원개발비용
환경문제: 환경보호에 대한 압력으로 자원개발사업 보류
신규 경쟁자원: 북극자원의 경쟁력 저하
보호와 활용의 '투트랙(Two-Track)' 전략을 전개
보호: 북극위원회 영구옵저버 역할을 강화하고 글로벌 거버넌스를 유도
활용: [북극항로] 컨트롤타워 설치, 허브 항구 경쟁력 강화
활용: [북극자원] 기술 선도, '先물류-後개발' 전략
본문내용
북극자원의 개발과 수송을 위한 극지 해저자원 개발용 플랜트와 극지운항 선박의 신규 수요가 늘어날 전망
- 북극의 해빙은 두 가지 면에서 북극자원 해상 수송량을 확대
ㆍ북극의 신흥 광구에서 생산된 자원의 수송량이 증가
ㆍ해빙으로 사라지고 있는 영구동토층 위에 설치된 기존의 지상파이프라인을 대체할 해상운송 물량이 증가
극지용 선박 제조 기술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가진 한국기업이 시장을선점할 수 있는 유리한 고지를 확보
- 영하 50℃의 혹한과 빙편과의 충돌 등 극한 조건에서도 운항이가능한 선박을 건조하기 위해서는 고도의 기술력이 필요
ㆍ한국 조선업체는 북극 운항용 쇄빙 유조선, 내빙 LNG선 등의 선박을러시아 및 북유럽 선사로부터 발주받아 건조
- 러시아는 2013년 발주 예정인 쇄빙 LNG선에 대한 입찰자격을 한국을비롯한 일부 국가의 조선소에만 부여
한국은 북극항로의 경로상에 위치한 유리한 입지를 바탕으로 동북아 해상물류의 중심 국가로 성장할 최적의 조건을 구비
- 러시아와 북유럽에서 생산된 자원의 아시아 수출과 동아시아 지역에서 생산된 석유화학 제품의 유럽 수출 경로상에 위치
ㆍ2012년 북극항로를 이용하여 가스 콘덴세이트 등의 자원이 동아시아로 수입되었고 항공유 등이 유럽으로 수출
- 부산항, 울산항, 여수항 등은 해상 물류의 중심이 되는 데 필요한 최적의 운항 지원 서비스를 구비
ㆍ연료유 및 선용품 공급, 선원 교체승선 등의 서비스를 제공
하고 싶은 말
2013년 5월에 열릴 북극위원회(Arctic Council) 각료회의에서 한국이세계에서 일곱 번째로 북극위원회 영구옵저버가 될 것이 확실시
- 한국정부의 지속적인 노력으로 북극위원회 8개국의 동의를 확보
ㆍ러시아, 그린란드(덴마크령), 노르웨이 등과의 연이은 정상회담을통해 우호적인 환경을 조성
한국은 비회원국으로서는 최대한의 권한을 행사할 수 있는 영구옵저버자격을 취득함으로써 향후 북극진출 가능성이 증대
- 영구옵저버는 북극위원회 정기회의 발언권 이외의 모든 권한을 행사
- 북극개발에 한국기업이 참여할 가능성이 커짐에 따라 자원, 플랜트,해상운송, 조선, 수산업 등 관련 산업에 상당한 파급효과를 기대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