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자 중심 평가모형

 1  참여자 중심 평가모형-1
 2  참여자 중심 평가모형-2
 3  참여자 중심 평가모형-3
 4  참여자 중심 평가모형-4
 5  참여자 중심 평가모형-5
 6  참여자 중심 평가모형-6
 7  참여자 중심 평가모형-7
 8  참여자 중심 평가모형-8
 9  참여자 중심 평가모형-9
 10  참여자 중심 평가모형-10
 11  참여자 중심 평가모형-11
 12  참여자 중심 평가모형-12
 13  참여자 중심 평가모형-13
 14  참여자 중심 평가모형-14
 15  참여자 중심 평가모형-15
 16  참여자 중심 평가모형-16
 17  참여자 중심 평가모형-17
 18  참여자 중심 평가모형-18
 19  참여자 중심 평가모형-19
 20  참여자 중심 평가모형-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참여자 중심 평가모형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참여자 중심
평가 모형
목차
1. Orienting Question 1, 2
2. Orienting Question 5
3. Orienting Question 3, 4
: 참여자 중심 평가모형 소개
: 반응적 평가모형&역량강화 평가모형
: 자연주의적 평가모형
4. Orienting Question 7&Application
Orienting Question 1
Question 1.
참여자 중심 평가 모형의
발달 배경은 무엇인가?
발달 배경
1967년 이후 교육 분야에서 기계적, 무감각적인 평가 모형의 지배에 대해 고민
평가자들이 교육현장에 직접 참여하지 않고 대규모 평가연구를 수행함을 비판
실제 현장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을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는지 의문 제기
일상 속의 사실성(reality),복합성(complexities), 인간적 요소(human element)등이 실종되고 있음을 지적
평가에 대한 새로운 방향성 제기
Orienting Question 1
발달 배경
평가에 있어 프로그램 참여자의 포함
프로그램 활동과 설정에 있어 직접적 경험의 강조
직관주의적-다원주의적 철학을 바탕으로 다양한 관심, 문제, 결과 등을 총체적으로 밝히는 일에 초점
연구 수행 방법으로 자연주의적 방법 선호, 평가 관련자들이 평가연구에 자연스럽게 참여하고 반응한다는 점을 중시
참여자 중심 평가 접근
(Participant-Oriented Evaluation Approach)
*
자연주의적 방법: 자연주의 철학에 입각하여 실상을 지나치게 이상화하지 않고 인간생활의 추악한 욕망을 있는 그대로 적나라하게 묘사함을 본지로 삼는 것이 자연주의 문학이듯이 현상 또는 사물의 실상과 성질을 자연주의 철학에 바탕을 두고 탐구하는 방식을 자연주의적 탐구라고 한다. 따라서, 평가 설계에 맞추어 인위적으로 조작하는 실험적인 장면보다 현장의 실제 상황에서 평가를 실시하고 사례 연구 형태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평가 결과를 되도록 수량화시키지 않고 질적으로 나타내는 것이 특징이다.
발달 과정
Stake의 논문(1967) “The Countenance of Education Evaluation ”이 기존 평가 개념을 전환시키는 개기 마련
Guba(1969)는 교육평가의 실패를 논하면서 전통적인 평가모형에 대해 대안 제시
Parlett 와 Hamilton(1976)는 기존의 “실험연구적 패러다임”이 혁신적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장애로 작용하고 있다고 주장, 그 대안으로 조명적 평가모형((illuminative evaluation) 제안
Rippey (1973)는 기존 평가모형이 평가대상 내에서 생기는 역할에 대하여 무감각하다는 것을 지적, 수행과정 평가(transactional evaluation) 를 제안
Orienting Question 1
*
발달 과정은 자세히 설명할 필요 없음.
발달 과정
MacDonald(1974, 1976)는 정치적 목적을 위한 평가 모형의 정보 남용을 염려하면서, 관련된 모든 공동체의 권리와 정보 요구를 보호하기 위해 도안된 민주적 평가(democratic evaluation) 제시
Guba와 Lincoln(1981)은 프로그램 평가에 사용되었던 주류 모형을 되살펴보고 Stake의 반응적 평가(responsive evaluation)모형만을 수용, 자연주의적 모형에 기초한 새로운 제4세대 평가 모형 제시
Bryk(1983)과 Mark와 Shotland(1985b)는 모든 합법적 그룹을 대표하는 선택된 제3자가 평가의 계획과 자료 해석 국면에 의견을 제시하는 제3자 중심 평가를 제안
Fetterman의 역량 강화 평가(empowerment evaluation)와 Mertns의 해방주의적 평가(emancipatory evaluation)는 그 연구결과를 이용함으로써 사회에서 가장 소외되고 억압 받는 혹은 약한 힘을 지닌 사람들을 자유롭게 하고 그들이 그들의 운명을 조정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할 것을 제안
*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