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학] 안티조선

 1  [신문학] 안티조선-1
 2  [신문학] 안티조선-2
 3  [신문학] 안티조선-3
 4  [신문학] 안티조선-4
 5  [신문학] 안티조선-5
 6  [신문학] 안티조선-6
 7  [신문학] 안티조선-7
 8  [신문학] 안티조선-8
 9  [신문학] 안티조선-9
 10  [신문학] 안티조선-10
 11  [신문학] 안티조선-11
 12  [신문학] 안티조선-12
 13  [신문학] 안티조선-13
 14  [신문학] 안티조선-14
 15  [신문학] 안티조선-15
 16  [신문학] 안티조선-16
 17  [신문학] 안티조선-17
 18  [신문학] 안티조선-18
 19  [신문학] 안티조선-19
 20  [신문학] 안티조선-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신문학] 안티조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안티조선 등장
1. 안티조선운동의 생성 (여건, 배경)
2. 안티조선운동의 기폭제가 된 사건
1) 명예훼손 소송사건
2) 소설가 황석영의 '동인문학상' 심사대상 거부
3. 안티조선의 목적

Ⅱ. 안티조선 활동
1. 온라인 커뮤니티 중심 활동을 통한 조직화
2. 안티조선 온라인 홍보활동
3. 안티조선 오프라인 주요 활동 - HARD
1) 집회
2) 서명, 모금운동 , 전단배포
3) 기자회견
4) 1인시위
5) 시민강좌 및 토론회개최
4. 행사를 통한 안티조선활동 - SOFT
1) 옥천문화제
2) 조선일보 반대 시민 주간 문화행사
3) 조선일보반대마라톤대회
4) 그 밖의 활동
5. 안티조선의 전술적 전략

Ⅲ. 안티조선의 영향과 평가
1. 조선일보의 현황
1) 06년 신문별 가구 구독률
2) 대학생 조선일보 열독률 및 선호도 변화
3) 대학생 조선일보 신뢰도 변화
4) 기자들이 느끼는 조선일보의 영향력
5) 기자들이 느끼는 조선일보의 신뢰성
6) 군대 내 일간지 구독현황
7) 조선일보의 경영 현황
2. 조선일보의 현황에서 본 안티조선운동의 영향과 한계

Ⅳ. 현재상황 및 문제점
1. 안티조선의 현재 상황
2. 상황 SWOT 분석
3. 안티조선의 문제점
본문내용
Ⅰ. 안티조선 등장

1. 안티조선운동의 생성 (여건, 배경)

1) 시민언론운동의 인적자원 성장

1984 년부터 실시된 미디어 교육 (시민언론단체가 언론에 대한 문제가 야기되었을때 실질적으로 언론에 대응하기위한 인적자원의 확대를 위해 실시한 교육)
이러한 미디어교육을 통해 언론을 적극적이고 비판적으로 수용 할 수 있는 인적자원이 확대되었고 이러한 확대가 결국 시민언론운동을 규범적으로 허용하는 결과를 만들어냈다.

2) 정치 환경의 변화

김대중 정권의 등장으로 언론과 정권사이의 대립적 관계형성. 이전의 정치권력과 언론권력과의 공생관계에 마찰을 일으키는 정치적 지형이 형성됨으로서 이를 활용해서 안티조선운동이 활성화 될 수 있었다.

3) 지식인들의 비판적 활동

강준만 전북대 교수를 비롯하여 진중권, 홍세화 등 꾸준히 조선일보의 문제점을 저적해 온 지식인들의 비판적 활동으로 운동의 참여가능 세력의 성장에 기여했고 지식계 내에 조선일보에 대한 논의가 활성화 되는데 도움을 주었다. '조선일보 제몫 찾아주기' 가 슬로건이다. 1995년 창간된 ' 인물과 사상'을 통해 지속적으로 조선일보를 비판. 전체지면의 30% 이상을 일반독자에게 제공하여 조선일보에 대한 문제제기 즉 안티조선이라는 의제가 공론화 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