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학사] 제주도의 구비문학과 마한문학

 1  [한국문학사] 제주도의 구비문학과 마한문학-1
 2  [한국문학사] 제주도의 구비문학과 마한문학-2
 3  [한국문학사] 제주도의 구비문학과 마한문학-3
 4  [한국문학사] 제주도의 구비문학과 마한문학-4
 5  [한국문학사] 제주도의 구비문학과 마한문학-5
 6  [한국문학사] 제주도의 구비문학과 마한문학-6
 7  [한국문학사] 제주도의 구비문학과 마한문학-7
 8  [한국문학사] 제주도의 구비문학과 마한문학-8
 9  [한국문학사] 제주도의 구비문학과 마한문학-9
 10  [한국문학사] 제주도의 구비문학과 마한문학-10
 11  [한국문학사] 제주도의 구비문학과 마한문학-11
 12  [한국문학사] 제주도의 구비문학과 마한문학-12
 13  [한국문학사] 제주도의 구비문학과 마한문학-13
 14  [한국문학사] 제주도의 구비문학과 마한문학-14
 15  [한국문학사] 제주도의 구비문학과 마한문학-15
 16  [한국문학사] 제주도의 구비문학과 마한문학-16
 17  [한국문학사] 제주도의 구비문학과 마한문학-17
 18  [한국문학사] 제주도의 구비문학과 마한문학-18
 19  [한국문학사] 제주도의 구비문학과 마한문학-19
 20  [한국문학사] 제주도의 구비문학과 마한문학-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문학사] 제주도의 구비문학과 마한문학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호남문학의 배경
1. 호남의 지리- 개방적인 지형의 호남
2. 호남의 역사
3. 호남의 정신
4. 호남의 문화와 예술

Ⅱ. 마한 속으로
1. 마한의 문학
(1) 현재 속의 마한
(2) 역사 속의 마한
①남도의 역사에서의 마한의 의미
②‘마한’을 아시나요?
③호남속의 마한의 가치
④잃어버린 시간 -남도 그 첫걸음은 마한
⑤마한 신화인가 백제신화인가 - 무강왕신화(서동신화)의 형성배경
(3) 호남 속에서 숨쉬고 있는 마한
-마한문화에 대한 전망과 기대

Ⅲ. 신들의 섬, 제주도
서론 1. 제주도 문화/역사/지역소개

본론 2. 제주도 구비문학 소개
2-1 신화 [창세신화/ 시조신화 & 신화/본풀이]
-1-1. 제주 신화와 본풀이의 특징
-1-2. 제주도 신화 소개
-천지왕본풀이 -설문대 할망 -세경본풀이
-삼공본풀이 -삼승할망본풀이 -양씨아미본풀이

2-2 제주도 전설 [지명관련]
-김녕사굴 -아흔아홉골 -정서방과 말머리
-혼인지, -오백장군(영실기암) -산방산,
-백록담 -비양도 -용머리

2-3 제주 민요
-3-1.제주 민요 특징
-3-2.제주 민요 소개제주 민요 특징

결론 3 제주도 구비문학의 특이점
4 제주도 구비문학의 실용화 [ex-가문장 아기 연극]

별지 ◇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호남문학의 배경

1. 호남의 지리- 개방적인 지형의 호남

▷호남의 지리적 발전성 - 동북, 동남아시아의 교두보적 위치
호남의 지리적 위치는 여러 가지로 생각할 수 있다. 한반도를 대륙의 맨 끝 지역으로 본다면 호남은 한반도 중에서도 중앙부와 격리된 서남쪽의 변방에 자리잡고 있는 주변 변두리 지역으로 인식될 수 있다.
그러나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는 우리나라의 위치를 바다를 통해 다른 대륙으로 뻗어 나갈 수 있는 교두보적인 위치에 놓인 것으로 본다면, 호남은 한반도 안에서 다른 대륙과 통로역할을 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충지라고 할 수 있다.

▷대륙과 통로역할의 호남
이렇듯이 이 곳 호남의 지리적인 위치가 대외적인 개방성을 띠고 있기 때문에 이곳은 단순히 한반도뿐만 아니라 환태평양 문화의 중심이기도 했다. 곧 진도 같은 서남쪽 섬 지방의 가옥구조, 장례와 제사, 상속관계, 언어, 풍습 따위가 대만의 고산족이나 오끼나와 같은 서남 태평양권의 것과 비슷하다는 일례에서도 주변국에 영향을 끼쳤던 문화중심지로서의 호남지역의 역할을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2. 호남의 역사
▷호남의 최초 기록-마한
우리나라 역사의 기록에서 맨 처음으로 나타나는 이지역의 이름은 마한(馬韓)이다. 이 마한은 진한(辰韓), 변한(弁韓)과 함께 삼한시대를 이루었는데 대체로 기원전 일․이천 년 무렵에 본격적인 부족국가의 형태로 그 통치 체제가 이루어졌다고 보고 있다. 삼한은 북쪽의 고조선과는 한강을 경계로 하여 떨어져 있었고 북방민족의 영향권을 벗어나 바다를 통해 중국과 교류하면서 몇 백 년 동안에 걸쳐서 경기도,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일대에서 한민족의 고유한 문화권을 형성하면서 좋은 자연환경과 풍요로운 물산을 배경으로 독자적인 문화를 형성 발전시켰다.
참고문헌


나경수, 남도문화의 서막 마한신화 2004
나경수, 한국의 고대 신화와 역사, [설화와 역사], 집문당, 2000.
장선희 외, 「호남문학기행」 박이정 2005
최몽룡 외,「한성시대 백제와 마한」 주류성 2005
표인주,「남도설화문학연구」 민속원 2000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김재용「문학지리.한국인의 심상공간_국내편1」 "남국의 신화와 옹이 박이 박힌 토박이들의 삶 제주"
 「제주도 신화의 서사 구조에 대한 관계」
김헌선, 「제주의 구비문학과 문화 : 제4세계문학 범례로서의 제주구비문학연구」 한국언어문학회 한국언어문학(제29집), 2006
박종국(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제주도 설화에 나타난 거식성의 의미연구」 , 2002
심치열(성신여대) 「제주도 서사무가에 나타난 주인공의 연속적 서사진행과 그 의미」 , 한국언어문학회 한국언어문학(제59권), 2006
유달선, 「제두도 구비신화의 관련양상」 대구어문학회 대구어문논총(제14권), 1996
조동일, 「한국문학통사1」(제4판), 지식산업사, 2005




네이버백과사전
http://www.gjcity.net/phps/menu/menu.php?m=070102050000&l=KOR&d=000]
user.chollian.net/~kokuryu/han.html
www.kcdi.re.kr/upfile/board/seminar/11153628013071.pdf


http://www.jejugo.netian.com/jejudo/je11.htm
http://blog.naver.com/ararikim?Redirect=Log&logNo=70002332692
http://blog.naver.com/ararikim?Redirect=Log&logNo=70002333037
제주특별자치도 싸이트
(http://www.jeju.go.kr/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