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론] 이청준의 `병신과 머저리` - 시대의 내면화와 자기성찰을 중심으로..

 1  [소설론] 이청준의 `병신과 머저리` - 시대의 내면화와 자기성찰을 중심으로..-1
 2  [소설론] 이청준의 `병신과 머저리` - 시대의 내면화와 자기성찰을 중심으로..-2
 3  [소설론] 이청준의 `병신과 머저리` - 시대의 내면화와 자기성찰을 중심으로..-3
 4  [소설론] 이청준의 `병신과 머저리` - 시대의 내면화와 자기성찰을 중심으로..-4
 5  [소설론] 이청준의 `병신과 머저리` - 시대의 내면화와 자기성찰을 중심으로..-5
 6  [소설론] 이청준의 `병신과 머저리` - 시대의 내면화와 자기성찰을 중심으로..-6
 7  [소설론] 이청준의 `병신과 머저리` - 시대의 내면화와 자기성찰을 중심으로..-7
 8  [소설론] 이청준의 `병신과 머저리` - 시대의 내면화와 자기성찰을 중심으로..-8
 9  [소설론] 이청준의 `병신과 머저리` - 시대의 내면화와 자기성찰을 중심으로..-9
 10  [소설론] 이청준의 `병신과 머저리` - 시대의 내면화와 자기성찰을 중심으로..-10
 11  [소설론] 이청준의 `병신과 머저리` - 시대의 내면화와 자기성찰을 중심으로..-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소설론] 이청준의 `병신과 머저리` - 시대의 내면화와 자기성찰을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본론
1) 시대 상황의 내면화와 자기성찰
- 형과 동생 인물 분석을 중심으로
2) 격자 구조의 역할
① 작가의 자기 성찰의 위한 액자소설
② 여러 시선의 공유를 통한 객관적
시선의 확립
3) 작품 속 사건 들여다보기
① 형은 왜 소설 속에서 오관모를 죽였을까?
② 동생은 왜 소설 속에서 김일병을 죽였을까?
③ 형은 왜 거지의 손을 밟았을까?
4. 나오며..
※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들어가며...
이청준은 1965년 사상계 신인 응모에 작품 이 당선되어 문단에 데뷔했다. 그는 1960년대를 대표하는 작가로 60년대 세대로서 자신들 세대의 새로움을 밝히고, 시대적 변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작가이다. 작가가 생존하며 현재에도 작품 활동을 하고 있다는 사실로 인해 그동안 이청준의 작품 세계는 본격적인 학문 연구의 대상으로 떠오르지 못했다. 그래서 이청준을 대상으로 한 학위 논문들은 그의 작품 세계를 총체적으로 파악하기보다는 부분적 측면의 해명으로 머무르고 있다.
이청준에 대한 기존의 연구 경향은 대략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하나는 작품의 독자적 의미를 중시하여 작품의 내용과 형식을 연구한 것이다. 작품의 내용 면에 있어서는 유년 시절 성장기에 생긴 정신적 상흔을 많이 언급한다. 김치수는 주인공들은 공포와 폭력의 세계에서 진술 욕구를 좌절당한 정신적 갈등을 갖고 있다고 하였고, 김현은 정신적 상흔이라는 원체험과 현실 원칙이 정면으로 대립하면서 개인의 다양한 욕망을 드러내고 반성하는 것으로 귀결된다고 하였다. 또한 작품 속 주인공의 장인 정신을 주로 다룬 연구도 있는데 이보영은 「병신과 머저리」를 기본적으로 예도의 소설로 파악하고, 절대적 리얼리티 즉 시원의 미에 집착하는 낭만적인 예술가로서 동생을 파악했고, 이상우 또한 같은 작품에서 동생의 고통을 예술가로서의 고통으로 다루었다. 작품의 형식면에 관한 연구는 주로 격자 소설의 형식을 언급한다. 그의 작품 구조는 단순 구조가 아니라 격자 구조, 이원적 구조, 중층구조, 중첩구조 등으로 불린다. 이러한 구조는 추리 소설적 화법을 통해 사건의 전개 과정을 보여주는데 문제의 결론을 내기보다는 독자와 함께 감추어진 세계를 찾아가는 열린 형식으로 평가받는다. 작가 자신도 '복합적인, 반성적인 시선의 필요성'으로 이 기법을 선택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다른 하나는 작품과 사회적 현실이 맺고 있는 관계를 중시하여 사회사적인 맥락에서 작가와 작품을 살펴 본 것이다. 먼저 김주연은 60년대의 진정한 의미는 개인 의식과 주체의 정립으로 보고 이청준의 문학은 '인간의 심정 깊숙이 자리잡고 있는 경험과 관념, 지속과 붕괴, 동화와 거부 같은 원초의식에 대한 내극성의 갈등'이 어떻게 '개인주의'를 만들어내는 가의 문제라고 했고, 정다비는 이청준의 문학을 4.19의 의의와 5.16의 좌절의 연장선에서 파악하였다.
참고문헌
김치수, 언어와 현실의 갈등, 박경리와 이청준, 민음사, 1982.
천이두 외, 이청준론, 은애출판사, 1979.
권오룡, 이청준 깊이 읽기, 문학과지성사. 1999
양진오, 전망의 발견, 실천문학사. 2003.
대담, 문학의 토양을 이룬 반성의 정신, 이청준론, 삼인행사, 1992.
김주연, 상황고 인간 중 새시대 문학의 성립 - 인식의 출발로서의 60년대, 박우사, 1969.
정다비, 자기 정립의 노력과 그 전망, 문학. 존재의 변증법, 문학과 지성사, 1985.
이형기, 「이중적 의식 구조」의 특성, 『지성』, 1971년 11월호
이상우, 죄의식의 표출과 예술가의 고통-이청준의 에 대하여, 국제어문학 회, 1989
김영희, 이청준 소설론 - 인물행위의 동기에 대하여, 경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4.
김영찬, 1960년대 한국 모더니즘 소설 연구(최인훈과 이청준을 중심으로), 성균관대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이인옥, 1960년대 이청준 소설 연구, 성균관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이청준, 작가의 작은 손, 열화당,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