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문학] STELLA 모형을 이용한 태백지역 광동댐 모의운영 및 향후 용수공급 안정성 전망

 1  [수문학] STELLA 모형을 이용한 태백지역 광동댐 모의운영 및 향후 용수공급 안정성 전망-1
 2  [수문학] STELLA 모형을 이용한 태백지역 광동댐 모의운영 및 향후 용수공급 안정성 전망-2
 3  [수문학] STELLA 모형을 이용한 태백지역 광동댐 모의운영 및 향후 용수공급 안정성 전망-3
 4  [수문학] STELLA 모형을 이용한 태백지역 광동댐 모의운영 및 향후 용수공급 안정성 전망-4
 5  [수문학] STELLA 모형을 이용한 태백지역 광동댐 모의운영 및 향후 용수공급 안정성 전망-5
 6  [수문학] STELLA 모형을 이용한 태백지역 광동댐 모의운영 및 향후 용수공급 안정성 전망-6
 7  [수문학] STELLA 모형을 이용한 태백지역 광동댐 모의운영 및 향후 용수공급 안정성 전망-7
 8  [수문학] STELLA 모형을 이용한 태백지역 광동댐 모의운영 및 향후 용수공급 안정성 전망-8
 9  [수문학] STELLA 모형을 이용한 태백지역 광동댐 모의운영 및 향후 용수공급 안정성 전망-9
 10  [수문학] STELLA 모형을 이용한 태백지역 광동댐 모의운영 및 향후 용수공급 안정성 전망-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수문학] STELLA 모형을 이용한 태백지역 광동댐 모의운영 및 향후 용수공급 안정성 전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STELLA를 이용한 댐 운영 모형 구축

2.1 대상지역 광동댐 정보

2.2 지배방정식 및 용수공급 모형

2.3 STELLA 모형 구축

3. 10년 후의 용수수요증가량 추정

4. STELLA를 이용한 용수공급 안정성 평가

5. 결론
본문내용
2. STELLA를 이용한 댐 운영 모형 구축

2.1 대상지역 광동댐 정보

광동댐은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 광동리에 위치(아래의 그림1)하고 있으며, 1985년 12월에 착공하여 1989년 9월에 완공되었고 현재 수자원공사에서 관할하고 있다. 댐의 목적은 태백시, 삼척시(도계), 정선군(고한, 사북, 남면), 영월군(상동) 4개 지역에 대한 생활용수 및 공업용수를 공급하는 것으로, 용수공급량은 일 70,000 이상이며 이는 약 15만명의 용수공급을 할 수 있다. 원래는 용수공급만이 목적이어서 홍수조절능력이 전혀 없었으나, 최근 2005년 등에 홍수피해가 잇따르면서 2007년에는 치수능력 증대사업을 실시하여 최대방류량을 1,190 CMS에서 2,140 CMS로 늘렸다. 댐 높이는 39.5m, 길이는 282m, 저수용량은 11백만 , 정상표고는 EL.678.6m이다. 기타 제반사항은 아래의 표와 같다.

하류의
하천
골지천
유역면적
125.00
(㎢)
저수면적
1.00 (㎢)
댐체적
616.00 (천㎥)
유역연평균강우량
- (mm)
계획홍수위
675.30 (EL.m)
상시만수위
672.00 (EL.m)
상시만수위용량
9.48 (백만㎥)
홍수기제한수위
672.00 (EL.m)
홍수조절용량
0.00 (백만㎥)
저수위
662.00 (EL.m)
저수위용량
2.28 (백만㎥)
용수공급가능수위
- (EL.m)
총저수용량
13.13 (백만㎥)
유효저수용량
9.48 (백만㎥)
사수용량
2.28 (백만㎥)
비상용수공급량
13.60 (백만㎥)
공급불가능용량
2.28 (백만㎥)
저수지길이
- (m)
설계홍수량
1,430 (㎥/초)
표 광동댐 제원(한국수자원종합정보(WAMIS))

그림 광동댐 및 수역 위치



2.2 지배방정식 및 용수공급 모형

댐 운영에 대한 기본적인 지배방정식은 유입-유출량 변화에 따른 저류량과 방류량간의 관계식으로 표현되며, 이는 아래와 같이 연속방정식의 형태로 나타난다.



스텔라 프로그램에서 구현될 운영모형에서는 용수 과부족량(Monthly Loss)이 월별단위로 계산되어 연 총부족량(Total Loss)으로 합산되어 구해진다. 또한 위의 지배방정식을 상태방정식(System Equation)으로 하며 제약조건은 저류량과 방류량의 최소최대 범위가 설정되는 형태로 구성하였다.


(여기서 는 수문방류량(즉 용수공급량), 는 용수수요량, 는 여수로 방류량(비상방류))

참고문헌
한국수자원공사(2005). 다목적댐 실무운영 편람.

김영오(1998). 「수자원관리를 위한 Object-Oriented Simulation Software들의 소개」, 한국수자원학회지, 31권 6호 , pp.21-25.

서용원, 이승현, 김영오, 이동률(2000). 「대청댐 운영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 평가」,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00(3), 427-430

김경남(2009). 「2009년 2월 강원도의 가뭄 실태 분석과 대책」, 강원발전연구원 연구보고서

이영수(2008), 「강원도 관광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 강원발전연구원 연구보고서

전만식, 한영한(2009). 「강원남부지역 물부족의 원인과 대책」. 강원발전연구원 수자원센터. 3.11 제3차 수자원포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