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북부지방의 계급주의 시에 나타난 유가적 담론구성체에 대한 연구

 1  경북 북부지방의 계급주의 시에 나타난 유가적 담론구성체에 대한 연구-1
 2  경북 북부지방의 계급주의 시에 나타난 유가적 담론구성체에 대한 연구-2
 3  경북 북부지방의 계급주의 시에 나타난 유가적 담론구성체에 대한 연구-3
 4  경북 북부지방의 계급주의 시에 나타난 유가적 담론구성체에 대한 연구-4
 5  경북 북부지방의 계급주의 시에 나타난 유가적 담론구성체에 대한 연구-5
 6  경북 북부지방의 계급주의 시에 나타난 유가적 담론구성체에 대한 연구-6
 7  경북 북부지방의 계급주의 시에 나타난 유가적 담론구성체에 대한 연구-7
 8  경북 북부지방의 계급주의 시에 나타난 유가적 담론구성체에 대한 연구-8
 9  경북 북부지방의 계급주의 시에 나타난 유가적 담론구성체에 대한 연구-9
 10  경북 북부지방의 계급주의 시에 나타난 유가적 담론구성체에 대한 연구-10
 11  경북 북부지방의 계급주의 시에 나타난 유가적 담론구성체에 대한 연구-11
 12  경북 북부지방의 계급주의 시에 나타난 유가적 담론구성체에 대한 연구-12
 13  경북 북부지방의 계급주의 시에 나타난 유가적 담론구성체에 대한 연구-13
 14  경북 북부지방의 계급주의 시에 나타난 유가적 담론구성체에 대한 연구-14
 15  경북 북부지방의 계급주의 시에 나타난 유가적 담론구성체에 대한 연구-15
 16  경북 북부지방의 계급주의 시에 나타난 유가적 담론구성체에 대한 연구-16
 17  경북 북부지방의 계급주의 시에 나타난 유가적 담론구성체에 대한 연구-17
 18  경북 북부지방의 계급주의 시에 나타난 유가적 담론구성체에 대한 연구-18
 19  경북 북부지방의 계급주의 시에 나타난 유가적 담론구성체에 대한 연구-19
 20  경북 북부지방의 계급주의 시에 나타난 유가적 담론구성체에 대한 연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경북 북부지방의 계급주의 시에 나타난 유가적 담론구성체에 대한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문제 제기

Ⅱ. 이병각 : 계급주의의 시중성(時中性)과

Ⅲ. 이병철 : 조선문학가동맹의 방향성과 유가적 균형감
Ⅳ. 결 론


본문내용
이병각과 이병철은 모두 퇴계학파의 중심 인물인 이현의 직계 후손으로 전통적인 안동의 유가적 가문교육을 받은 시인이다. 또한 그들은 영양과 안동을 중심으로 하여 중앙에 작품을 발표한 경북 북부지방의 계급주의 시인이다. 이병각은 1930년대 후반 카프 해산 이후 카프 시인들이 붕괴된 자신의 내면과 주체성을 재건하려고 하면서도 시를 포기하는 상황에서, 안용만, 양운한, 조벽암, 이흡 등처럼 활발하게 활동한 계급주의 시인이다. 그는 1930년대 후반 임화, 김남천, 한설야 등과 사회주의 리얼리즘 수용논쟁, 농민문학론, 풍자문학론, 내용형식론, 혁명적 낭만주의와 리얼리즘 논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활발하게 작품 활동을 전개한 문제적 시인이다.
이병철도 주지하다시피 조선문학가 동맹의 신세대 시인 유진오, 박산운, 김상훈, 김광현 등과 함께 해방 공간의 역사적 격변기에 전위시인으로 활동한 시인이다. 이병철의 우수성은 이미 당대 김기림이 {전위시인시집}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당대 분위기의 감상주의적 함정과 조선문학가 동맹의 개념화된 이념으로부터 벗어난 시적 형상화의 탁월함에 있다.
문제는 퇴계학 전통을 계승하던 전통적 유가적 가문의 이병각과 이병철이 계급주의시인으로 나아간 요인이 무엇인가 하는 점이 아니라, 이질적인 두 담론의 상호구성적 관계가 무엇인가 하는 점이다. 단순하게 이것을 식민지 지식인의 역사적 소명감이나 해방공간의 지식인의 역사적 사명감으로, 즉 권위적인 유가적 전통에 대한 지식인의 저항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지식인으로서 보수적인 권위에 대한 저항을 인정하더라도 그들의 작품에서 보수적인 유가적 전통과 진보적인 계급주의가 함께 하는 것을 어떻게 이해하느냐 하는 점은 다시 문제가 된다. 즉 계급주의의 담론과 유가적 담론이 상호 구성적 관계를 맺고 있는 것이 문제가 된다.
여기서 본 연구의 출발점이 분명하게 되는데, 그것은 계급주의 담론과 유가적 담론의 최종심급에 있어서 초담론구성체가 무엇인가 하는 점이다. 이 점은 이병각과 이병철의 계급주의시에 나타난 유가적 담론과 계급주의의 상호구성적 관계를 밝힘으로써 분명해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