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와사회] 환경난민(환경의 변화에 따른 인간 삶의 위기)

 1  [인구와사회] 환경난민(환경의 변화에 따른 인간 삶의 위기)-1
 2  [인구와사회] 환경난민(환경의 변화에 따른 인간 삶의 위기)-2
 3  [인구와사회] 환경난민(환경의 변화에 따른 인간 삶의 위기)-3
 4  [인구와사회] 환경난민(환경의 변화에 따른 인간 삶의 위기)-4
 5  [인구와사회] 환경난민(환경의 변화에 따른 인간 삶의 위기)-5
 6  [인구와사회] 환경난민(환경의 변화에 따른 인간 삶의 위기)-6
 7  [인구와사회] 환경난민(환경의 변화에 따른 인간 삶의 위기)-7
 8  [인구와사회] 환경난민(환경의 변화에 따른 인간 삶의 위기)-8
 9  [인구와사회] 환경난민(환경의 변화에 따른 인간 삶의 위기)-9
 10  [인구와사회] 환경난민(환경의 변화에 따른 인간 삶의 위기)-10
 11  [인구와사회] 환경난민(환경의 변화에 따른 인간 삶의 위기)-11
 12  [인구와사회] 환경난민(환경의 변화에 따른 인간 삶의 위기)-12
 13  [인구와사회] 환경난민(환경의 변화에 따른 인간 삶의 위기)-13
 14  [인구와사회] 환경난민(환경의 변화에 따른 인간 삶의 위기)-14
 15  [인구와사회] 환경난민(환경의 변화에 따른 인간 삶의 위기)-15
 16  [인구와사회] 환경난민(환경의 변화에 따른 인간 삶의 위기)-16
 17  [인구와사회] 환경난민(환경의 변화에 따른 인간 삶의 위기)-17
 18  [인구와사회] 환경난민(환경의 변화에 따른 인간 삶의 위기)-18
 19  [인구와사회] 환경난민(환경의 변화에 따른 인간 삶의 위기)-19
 20  [인구와사회] 환경난민(환경의 변화에 따른 인간 삶의 위기)-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구와사회] 환경난민(환경의 변화에 따른 인간 삶의 위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면서

Ⅱ. 본론

1. 환경난민의 정의

2. 환경난민의 원인

1) 지구온난화
ⅰ. 지구 온난화의 개념정의
ⅱ. 지구 온난화의 원인
☆ 참고 - 우리나라의 경우

2) 사막화
3) 환경개발

3. 환경난민의 실태

4. 환경난민에 대한 대책

Ⅲ.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ⅱ 지구 온난화의 원인

온실가스를 대기 중에 배출하는 책임이 누구에게 있는지에 관해서 공통된 견해가 모아졌다. 가장 중요한 온실가스로는 이산화탄소, 메탄, 일산화질소, 염화불화탄소, 수소염화불화탄소 등이 있다.(그림1참고) 이런 가스의 배출량이 늘어날수록 지구 온난화의 위협도 커진다. 단연 가장 중요한 온실가스는 바로 이산화탄소다. 과학자들은 지구 온난화의 약 3분의 2는 이산화탄소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계속 상승하는 이유는 바로 화석연료를 태워서 에너지를 생산하는 방식 때문이다. 이미 1896년에 스웨덴의 과학자 스반테 아레니우스는 화석연료의 연소에 기초한 산업 활동이 대기 중에 이산화탄소와 같은 온실가스의 농도를 늘리고 그 결과 기후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산업혁명 이래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는 약 30퍼센트 증가했고 메탄은 두 배가 됐으며 일산화질소는 약 15퍼센트 증가했다. 대부분의 온실가스는 세계의 주요 산업 국가들이 배출한다. 지구 온난화의 가장 큰 책임은 단연 세계 최대의 자본주의 부국인 미국이 져야 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우리는 왜 우리는 온실가스에 집중을 하는 것인가?

△ [그림2] “그린스타트” site

그것은 과거에도 알 수 있듯이 지난 45만년 동안 자연적 요인에 의한 기후변화로 지구상의 모든 생물이 멸종된 것이 5번이나 있었다고 한다.(그림3) 그런데 최근 과학자들은 인간 활동에 의한 인위적 요인, 즉 기후변화(온난화)로 인하여 신생대가 마감될 것을 경고하고 있다. 45만년을 통틀어 현재의 온실가스 농도 증가율이 가장 높은 것이 이 주장을 뒷받침하고 있는데, 온실가스가 많아지면 아래의 그림에서도 볼 수 있듯이, 지구가 쉴 수 있도록 인간이 지구상에서 사라지게 될지도 모른다.

◁ [그림3]


☆ 그렇다면 지구 온난화로 인해서 우리나라의 경우는?
범지구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지구온난화 영향에서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 우리나라는 지난 100년간 1.5℃상승하였으며, 이는 지구 평균의 2배이다. 또한 제주지역 해수면은 지난 40년간 22cm상승하였고, 이는 세계 평균의 3배 높은 수치이다. 이렇게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진행속도는 세계 평균을 상회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급속한 기온상승으로 집중호우 및 태풍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막대한 인명 및 재산상의 피해가 초래되고 있다. 최근 10년(‘94~’05)간 폭염으로 인해 2,127명이 사명하였고, 기온상승으로 말라리아 환자가 ‘94년 5명에서 ’07년 2,2227명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리나라의 경우 1998년 지리산에서 시작된 집중호우로 324명의 인명피해와 1조2천500억원의 재산피해, 1999년 경기북부 지역에 집중 호우로 64명의 인명피해와 2만5천여명의 이재민 발생, 2002년 8월 태풍 루사로 강릉지역에 하루 870mm의 비가 내려 일 최대강수량 기록을 경신하면서 인명 피해 246명, 농경지 3만여ha침수 등 5조원이 넘는 재산피해를 남겼으며, 2003년도에도 태풍 매미로 전국에서 130명의 인명피해와 4조7천800억원의 재산피해가 있었다.


참고문헌
신 진(1995), 환경난민과 근원적 해결방안,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박병도(2002), 환경난민의 법적지위, 대한국제법학회(大韓國際法學會)
한겨례21, ytn, 사이언스타임즈(Science Times),
각종환경단체사이트 - 그린스타트, 기후변화홍보포털, 국가환경정보센터, 식물의친구들(네이버카페), 사이언스올
책 - , , 등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