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사회학] 한국 사회의 일그러진 명품 소비 형태

 1  [문화사회학] 한국 사회의 일그러진 명품 소비 형태-1
 2  [문화사회학] 한국 사회의 일그러진 명품 소비 형태-2
 3  [문화사회학] 한국 사회의 일그러진 명품 소비 형태-3
 4  [문화사회학] 한국 사회의 일그러진 명품 소비 형태-4
 5  [문화사회학] 한국 사회의 일그러진 명품 소비 형태-5
 6  [문화사회학] 한국 사회의 일그러진 명품 소비 형태-6
 7  [문화사회학] 한국 사회의 일그러진 명품 소비 형태-7
 8  [문화사회학] 한국 사회의 일그러진 명품 소비 형태-8
 9  [문화사회학] 한국 사회의 일그러진 명품 소비 형태-9
 10  [문화사회학] 한국 사회의 일그러진 명품 소비 형태-10
 11  [문화사회학] 한국 사회의 일그러진 명품 소비 형태-11
 12  [문화사회학] 한국 사회의 일그러진 명품 소비 형태-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문화사회학] 한국 사회의 일그러진 명품 소비 형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Ⅰ. 서 론
Ⅱ. 명품의 정의와 소비 특성
Ⅲ. 한국의 명품 소비문화 실태 및 사례
1)한국은 명품 공화국
2) L세대
3) 된장녀
4) 4억 명품녀
5) 한국의 짝퉁 문화
6) 신용불량자, 범죄 급증
Ⅳ. 명품 소비문화의 배경
Ⅴ. 결 론
본문내용
2) L 세대
최근 고가의 해외 유명 브랜드인 소위 명품을 선호하고 구매하는 추세는 신드롬처럼 확산되고 있다, 기존 30~40대의 고소득층이 주 고객이던 명품의 소비계층은 이제 20대 직장여성을 선두로 대학생, 고등학생에 이르기까지 보편화 되고 있다. 이러한 명품 소비 열기는 L세대(Luxury Generation)라 불리는 명품 족을 등장 시켰다. L세대는 ‘명품을 선호하는 여피족’을 가리키는 말로 미국 뉴욕에서 시작됐으며 한국에서는 ‘명품을 선호하는 경제 기반이 약한 젊은 층의 사람들’로 통용되고 있다. 또 이 명품 족 내 차별화가 생기면서 ‘신 명품 족(Masstige Massclusivity)'이 탄생했다. 극소수만을 대상으로 하는 맞춤형 명품을 소비하는 매스클루시버티(Mass+Exclusivity)족과 저렴한 고급품 소비를 선호하는 매스티지(Mass+ Prestige product)족의 등장이 그것이다.
현재의 20대 특히 대학생 소비자들은 이전 세대에 비해 물질적으로 풍요로운 유년기를 보내면서 비교적 통제되지 않은 소비 생활을 영위해 온 세대로, 기성세대와는 상당히 다른 가치관과 감성적 욕구를 가지고 있다. 이들은 비슷한 연령층이나 전후의 연령층에 대해 소비의 준거집단으로서 또는 소비 모델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오늘날의 대학생들은 상당히 높은 자유재량 소비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일부 대학생들은 해외 배낭여행이나 인터넷 쇼핑몰, 백화점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고가의 수입 명품을 지속적으로 구매하는 소비 주체로 떠오르고 있다.
이처럼 새로운 용어가 생길 정도로 명품 족들이 늘어가고 있지만 이들을 바라보는 우리 사회의 시선은 그리 곱지 않다. “명품을 일단 카드로 사놓고 아르바이트를 해 금액을 채우기도 한다. 중고 명품은 쓰더라도 가짜는 절대 사용하지 않는다.”는 한 20대 여성의 길거리 인터뷰가 나간 후 인터넷 댓글에는 ‘비뚤어진 소비행태의 대표적 사례다. 연예인의 사회적 부나 명예를 모방하는 형식으로 대리만족을 얻으려는 심리의 한 단면일 뿐이다’는 부정적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3) 된장녀
우리 사회에서 또 다른 이슈가 되었던 신조어가 있다. 바로 ‘된장녀’ 이다. 대부분 사람들이 ‘된장녀’ 하면 점심은 싼 것을 먹더라도 밥 먹고 마시는 커피는 스타벅스에서 먹는 여자들을 생각하는데 이 신조어의 유래에는 어려가지 설이 있다. 첫 번째는 비속어 젠장이 된장
참고문헌


【참고 문헌】
뉴시스. 김해공항 올여름 휴가기간 사치성물품 반입↑. 강재순 기자. 2010.09.07.
뉴데일리. WSJ "한국, 명품에 가장 프렌들리한 나라". 김민구 기자. 2010.07.21.
연합뉴스. "한국인은 명품을 무척 좋아해" . 2010.08.09.
헤럴드경제. “한국 럭셔리세단시장 글로벌 빅3”. 이충희 기자. 2010.08.27.
조선일보. 명품회사도 혀 내두르는 한국 명품광들. 최보윤 기자. 2010.09.09.
매일경제. `합리적 소비` 상실 진짜 이유는? 나는 과소비한다, 고로 남과는 다르다. 정고은 기자. 2010.08.28.
일요서울. “나는 L(Luxury)세대, 신세대 명품족”. 이수경 인턴기자. 2005.04.
매일경제. 폐기된 짝퉁명품 루이뷔통 348억원 상당 최다. 서상현 기자. 2010.09.20.
기획기사 - 국내 짝퉁에 대해서 알아본다(1). 이일우 특허청 블로그 기자.
문화일보. 명품 산 카드빚 갚으려 명품 훔쳐. 전영선 기자. 2003.10.18.
조선일보. 30대女, 명품 사려고 회삿돈 14억 빼돌려. 양희동 기자. 2010.10.02.

⌜물질주의 성향과 과시소비성향이 수입명품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정지원, 정순희.
⌜해외패션 명품브랜드의 사회문화현상에 관한 연구⌟ 엄경희.
⌜물질주의와 과시적 소비 성향이 패션 명품과 복제품 구매에 미치는 영향⌟ 박혜선.
⌜체면 민감성, 과시 소비 성향, 패션 명품 선호도가 패션 명품 복제품의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명선, 김혜진
⌜한국과 일본 소비자의 명품 브랜드에 대한 태도 및 소비자 지식에 관한 연구⌟ 박진아.
⌜한국의 명품 모조품 소비 : 누가, 무엇을, 왜 소비하는가?⌟ 나종연, 이기춘, 여정성, 김난도, 전상민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