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세의 필요성과 도입사례 ; 탄소세 도입을 위한 환경세 개선방안

 1  탄소세의 필요성과 도입사례 ; 탄소세 도입을 위한 환경세 개선방안-1
 2  탄소세의 필요성과 도입사례 ; 탄소세 도입을 위한 환경세 개선방안-2
 3  탄소세의 필요성과 도입사례 ; 탄소세 도입을 위한 환경세 개선방안-3
 4  탄소세의 필요성과 도입사례 ; 탄소세 도입을 위한 환경세 개선방안-4
 5  탄소세의 필요성과 도입사례 ; 탄소세 도입을 위한 환경세 개선방안-5
 6  탄소세의 필요성과 도입사례 ; 탄소세 도입을 위한 환경세 개선방안-6
 7  탄소세의 필요성과 도입사례 ; 탄소세 도입을 위한 환경세 개선방안-7
 8  탄소세의 필요성과 도입사례 ; 탄소세 도입을 위한 환경세 개선방안-8
 9  탄소세의 필요성과 도입사례 ; 탄소세 도입을 위한 환경세 개선방안-9
 10  탄소세의 필요성과 도입사례 ; 탄소세 도입을 위한 환경세 개선방안-10
 11  탄소세의 필요성과 도입사례 ; 탄소세 도입을 위한 환경세 개선방안-11
 12  탄소세의 필요성과 도입사례 ; 탄소세 도입을 위한 환경세 개선방안-12
 13  탄소세의 필요성과 도입사례 ; 탄소세 도입을 위한 환경세 개선방안-13
 14  탄소세의 필요성과 도입사례 ; 탄소세 도입을 위한 환경세 개선방안-14
 15  탄소세의 필요성과 도입사례 ; 탄소세 도입을 위한 환경세 개선방안-15
 16  탄소세의 필요성과 도입사례 ; 탄소세 도입을 위한 환경세 개선방안-16
 17  탄소세의 필요성과 도입사례 ; 탄소세 도입을 위한 환경세 개선방안-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탄소세의 필요성과 도입사례 ; 탄소세 도입을 위한 환경세 개선방안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탄소세란?

2. 탄소세의 도입배경
1) 지구온난화에 관한 빌라크 및 토론토 국제회의
2) 기후변화협약 (UNFCCC)
3) 교토의정서 (Kyoto Protocol)
4) 코펜하겐 및 칸쿤 당사국총회

3. 탄소세 도입의 법적 근거
1) 헌법상의 환경권
2) 저탄소 녹색성장기본법
3) 지방자치법
4) 환경정책기본법

4. 탄소세와 산업경쟁력의 관계

5. 탄소세 도입의 필요성
1) 환경오염비용의 시장진입 필요
2) 국제적 논의에 대한 대안의 요구
3) 신규 투자 환경관련 재원확보 시점
4) 기존 에너지세에 대한 탄소세의 비중 증가

6. 해외의 탄소세 도입사례
1) 핀란드
2) 스웨덴
3) 덴마크

7. 탄소세 도입 시 고려사항
1) 탄소세와 보완적인 정책수단 등의 고려
2) 탄소세 감면과 보상에 관한 고려
3) 탄소세율에 관한 고려

8. 탄소세 도입을 위한 환경세 개선방안
1) 효율의 개선방안
2) 공평의 개선방안
3) 효율과 공평의 조화

참고자료
본문내용
1. 탄소세란?
탄소세란 에너지의 탄소함유량, 즉 화석연료 연소시 배출되는 탄소량에 비례하여 부과하는 물품세로 석탄과 같은 고탄소함유(high carbon content) 에너지에는 고율의 세금을, 전력이나 가스 등 저탄소함유(low carbon content) 에너지에는 낮은 세율의 세금을 부과한다. 에너지세는 에너지함유량(energy content)에 따라 부과하는 물품세(excise tax)를 말한다. 여기서의 에너지세는 에너지 열랑단위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식이어서, 에너지함유량 단위(Btu)당 세금을 원유환산톤(TOE)으로 환산하여 원유환산톤당 세금을 에너지세액으로 한다. 예를 들어 원유환산 톤당 10달러의 에너지세와 탄소세가 부과되면 에너지원의 에너지함유량 단위(Btu)에 대해 계산된 에너지세율과 에너지원의 탄소함유량 단위(탄소톤)에 대한 탄소세율은 일반적으로 다르게 된다. 그 이유는 각 에너지원마다 원유환산톤당 열량이 다르고, 탄소배출계수도 다르기 때문이다. 에너지세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모든 에너지원의 가격을 원유환산톤(TOE) 단위로 환산해서 세금 부과 시 원유환산톤당 가격이 어떻게 변하는 가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탄소세의 경우는 각 에너지원의 탄소배출 계수가 필요하다(마용선, 2000).

2. 탄소세의 도입배경
1) 지구온난화에 관한 빌라크 및 토론토 국제회의
1970년대 들어서 기후시스템에 대한 과학적 지식이 축적되면서 인류의 온실가스 배출이 온실효과를 일으켜 지구온난화를 초래한다는 가설이 과학자들 사이에 점차 광범위하게 받아들여지게 되었다. 이러한 과학적 견해는 1979년 제2차 세계기후회의(World Climate Conference : WCC)를 계기로 기후변화에 대한 국제적 대응을 촉발하였다.
1985년 10월 유엔환경계획의 주최로 지구온난화에 관한 최초의 세계회의가 오스트리아 빌라크(Villach)에서 개최된 이후 1990년대 초반까지 기후변화에 관한 다양한 정부 간 회의가 개최되었다.
참고문헌
강만옥 외, 탄소세 도입 및 에너지세제 개편방안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1.
김상겸, 우리나라 환경세제의 개편방안, 한국경제연구원, 2003.
김승래 외, 녹색성장 세제의 설계와 경제적 효과, 한국조세연구원, 2010.
김홍균, 환경법, 홍문사, 2014.
마용선, 에너지원간 대체가 탄소 배출에 미치는 효과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논문, 2000.
박균성·함태성, 앞의 책, 박영사, 2012.
박한태, 환경권침해에 관한 행정소송의 연구, 경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박향수, 기후변화협약 대응을 위한 탄소세 도입이 한국의 전역가격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논문, 2002.
신상철 외, 탄소세와 배출권거래제 연계를 통한 효율적 기후변화 대응 방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1.
안영일, 환경규제제도에 관한 연구, 대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안창남 외, 우리나라 탄소세 도입방안 연구, 조세연구, 2010.
이중교, 녹색성장을 위한 조세 및 부담금제도의 정비방안에 관한 연구, 성균관법학, 2011.
이정진, 환경경제학, 박영사, 2000.
전병목 외, 탄소세와 에너지과세의 조화방안, 한국조세연구원, 2012.
채여라 외, 탄소세 도입가능성에 대비한 조세·재정정책의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7.
최준욱, 환경친화적 세제 개편에 관한 연구, 한국조세연구원, 2001.
최진수, 탄소세 과세의 헌법적 정당성 및 허용성에 관한 소고, 헌법학연구, 2011.
홍준형, 환경법특강, 박영사, 2013.
하고 싶은 말
탄소세에 대한 전반적인 이론분석을 통하여 도입의 필요성을 서술하였고, 해외에서 이미 도입했던 국가들의 사례를 정리하였으며, 탄소세 도입을 위한 환경세의 개선방안을 분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