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회학이론] 신종플루 공포, 그 언론플레이에 대해

 1  [현대사회학이론] 신종플루 공포, 그 언론플레이에 대해-1
 2  [현대사회학이론] 신종플루 공포, 그 언론플레이에 대해-2
 3  [현대사회학이론] 신종플루 공포, 그 언론플레이에 대해-3
 4  [현대사회학이론] 신종플루 공포, 그 언론플레이에 대해-4
 5  [현대사회학이론] 신종플루 공포, 그 언론플레이에 대해-5
 6  [현대사회학이론] 신종플루 공포, 그 언론플레이에 대해-6
 7  [현대사회학이론] 신종플루 공포, 그 언론플레이에 대해-7
 8  [현대사회학이론] 신종플루 공포, 그 언론플레이에 대해-8
 9  [현대사회학이론] 신종플루 공포, 그 언론플레이에 대해-9
 10  [현대사회학이론] 신종플루 공포, 그 언론플레이에 대해-10
 11  [현대사회학이론] 신종플루 공포, 그 언론플레이에 대해-11
 12  [현대사회학이론] 신종플루 공포, 그 언론플레이에 대해-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사회학이론] 신종플루 공포, 그 언론플레이에 대해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현대사회학이론]
신종플루 공포, 그 언론플레이에 대해...
Ⅰ. 들어가며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 방법
Ⅱ. 감시와 처벌 그리고 권력
1. 감시와 처벌 그리고 사회상
2. 권력 강화의 전략
3. 언론의 권력화
Ⅲ. 보도 형태와 사회의 반응
1. 보도형태
2. 분석
Ⅳ. 언론의 힘
1. 언론의 힘
2. 언론의 파급 효과
Ⅴ. 나가며
Ⅰ. 들어가며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009년 3월 세계적인 공포가 시작 되었다. 신종 인믈루엔자 바이러스A(H1N1) (novel swine-origin influenza A(H1N1))는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변이를 일으켜 새로 생긴 바이러스로,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디에고에서 발열ㆍ기침 및 구토증세로 내원한 10세 소아의 비인두 흡입 검체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었다. 돼지에서 기원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2009년 전 세계적으로 사람에게 감염을 일으키고 있는 호흡기 질환이다. 이 질환의 공포는 우리나라에도 예외는 아니었다. 2009년 4월 멕시코로 여행을 다녀온 50대 여성이 신종플루 추정환자로 분리되면서 공포가 점차 현실이 되었다.
그 시기까지 ‘돼지독감’으로 불리던 이 바이러스는 사람들에게 일파만파 퍼져나가면서 돼지고기 소비 급감이라는 사태까지 일어났고, 결국 ‘신종 인플루엔자(신종플루)’로 이름을 바꾸고 사람들의 기억에서 ‘돼지독감’이라는 이름 대신 ‘신종플루’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그 후 ‘바르게 손 씻는 방법’, ‘신종플루 예방 10계명’등이 홍보 되었고, 이후 항균 손세정제, 마스크, 체온계의 소비 확산에 따라 품귀현상까지 나타나는 웃지 못 할 일들까지 벌어졌다. 이 과정에서부터 언론의 역할은 눈에 띄게 찾아볼 수 있었다.
현재 이 바이러스의 공포는 단순한 질병의 공포 그 이상을 띄고 있다고 보인다. 그것은 신종플루의 사망률이 0.5%정도라는 사실에 근거한다. 계절 독감의 사망률이 0.1% 이하 매년 전 세계적으로 약 25만 명에서 50만 명이 독감으로 사망한다고 한다. 반면 연구결과 신종인플루엔자 감염에 의한 사망률은 0.007%에서 0.045%인 것으로 추정됐다. [한국경제] 2009년 9월 17일자.
단, 신종인플루엔자의 바이러스 확산 속도는 호흡기 감염으로서 매우 빠르게 확산된다는 것이 이러한 위협적인 두려움을 만들어 냈는가에 의심을 갖지 않을 수 없다.
여러 신문ㆍ방송에서 최초 감염자가 나온 이후 연일 감염자수 및 사망자, 사망 연령에 대한 여러 사연과 증세들이 나오고 있다. 이러한 보도가 연일 끊이지 않고 지속적으로 방송을 보고, 듣는 사람들에게 공포감을 심어주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보도 형태들을 분석함으로서 언론에서 얻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가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이와 더불어 한국 국민의 국민성이 공포감 형성에 얼마나 영향을 받았는가도 확인해 보려 한다. 이러한 과정에 언론의 작용이 어떠한 권력을 형성하고 발휘되었는가는 향후 다른 이슈들을 이용하는 언론의 전략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분석이 되리라 생각된다.
본 과제에서는 푸코의 [감시와 처벌]을 언론의 권력화와 대입하여 생각해 보려 한다. 단순히 정치적ㆍ경제적인 권력화가 아닌 언론이 가진 대중적 파괴력과 파급효과 전체를 권력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2. 연구의 방법
푸코의 감시와 처벌을 중심으로 사회를 바라보며, 권력의 수단, 통제기제를 언론이라는 틀에 맞추어 살펴보려 한다. 우리 사회 전반의 권력의 모습을 어떻게 볼 수 있는가에 대한 초점을 감시와 처벌에 두고, 현대 사회의 큰 이슈인 신종플루의 역할을 언론의 권력으로서 어떻게 사회에 영향을 주고 있는가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따라서 여러 언론의 신종플루 보도 형태들을 예를 들고, 그 위험성에 대한 자료와 보도 내용과의 비교를 통해 언론에서 어떻게 질병의 보도를 인용하고 있는가를 확인하려 한다. 이와 더불어 비교 대상으로서 계절성 독감의 보도 형태도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시도는 현재 일반 기사들을 분석할 수밖에 없으므로 객관화시키거나 사람들의 반응을 알아보기에는 쉽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근본적으로 언론의 역할을 확인하려 하는 것이기 때문에 신문기사ㆍTV보도 등의 인용이 가장 확실하게 분석할 수 있는 자료라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