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어학 신경숙의 풍금이 있던 자리의 정신분석학적 접근 반복 구조와 그 원인으로서 주체형성과정을 중심으로

 1  인문어학 신경숙의 풍금이 있던 자리의 정신분석학적 접근 반복 구조와 그 원인으로서 주체형성과정을 중심으로-1
 2  인문어학 신경숙의 풍금이 있던 자리의 정신분석학적 접근 반복 구조와 그 원인으로서 주체형성과정을 중심으로-2
 3  인문어학 신경숙의 풍금이 있던 자리의 정신분석학적 접근 반복 구조와 그 원인으로서 주체형성과정을 중심으로-3
 4  인문어학 신경숙의 풍금이 있던 자리의 정신분석학적 접근 반복 구조와 그 원인으로서 주체형성과정을 중심으로-4
 5  인문어학 신경숙의 풍금이 있던 자리의 정신분석학적 접근 반복 구조와 그 원인으로서 주체형성과정을 중심으로-5
 6  인문어학 신경숙의 풍금이 있던 자리의 정신분석학적 접근 반복 구조와 그 원인으로서 주체형성과정을 중심으로-6
 7  인문어학 신경숙의 풍금이 있던 자리의 정신분석학적 접근 반복 구조와 그 원인으로서 주체형성과정을 중심으로-7
 8  인문어학 신경숙의 풍금이 있던 자리의 정신분석학적 접근 반복 구조와 그 원인으로서 주체형성과정을 중심으로-8
 9  인문어학 신경숙의 풍금이 있던 자리의 정신분석학적 접근 반복 구조와 그 원인으로서 주체형성과정을 중심으로-9
 10  인문어학 신경숙의 풍금이 있던 자리의 정신분석학적 접근 반복 구조와 그 원인으로서 주체형성과정을 중심으로-10
 11  인문어학 신경숙의 풍금이 있던 자리의 정신분석학적 접근 반복 구조와 그 원인으로서 주체형성과정을 중심으로-11
 12  인문어학 신경숙의 풍금이 있던 자리의 정신분석학적 접근 반복 구조와 그 원인으로서 주체형성과정을 중심으로-12
 13  인문어학 신경숙의 풍금이 있던 자리의 정신분석학적 접근 반복 구조와 그 원인으로서 주체형성과정을 중심으로-13
 14  인문어학 신경숙의 풍금이 있던 자리의 정신분석학적 접근 반복 구조와 그 원인으로서 주체형성과정을 중심으로-14
 15  인문어학 신경숙의 풍금이 있던 자리의 정신분석학적 접근 반복 구조와 그 원인으로서 주체형성과정을 중심으로-15
 16  인문어학 신경숙의 풍금이 있던 자리의 정신분석학적 접근 반복 구조와 그 원인으로서 주체형성과정을 중심으로-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문어학 신경숙의 풍금이 있던 자리의 정신분석학적 접근 반복 구조와 그 원인으로서 주체형성과정을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신경숙의 의 정신분석학적 접근
--반복 구조와 그 원인으로서 주체형성과정을 중심으로--
~목차~
Ⅰ. 서 론
1.1. 선행연구 검토 및 연구 목적
1.2. 연구 방법과 범위
Ⅱ. 에 드러난 반복구조
Ⅲ. 구조적 반복의 원인으로서 주체형성과정
3.1. ‘그 여자’에 대한 ‘나’의 동일시
3.2. ‘아버지의 법’ 부정과 ‘나’의 무의식 형성
3.3. 도시로의 유랑을 통한 ‘당신’과의 사랑
3.4. 마을로의 귀향과 주체로서의 온전한 독립
Ⅳ. 결론
Ⅰ. 서론
1.1. 선행연구 검토 및 연구 목적
1985년 신인문학상에 중편 「겨울우화」가 당선되어 등단한 작가 신경숙은 『풍금이 있던 자리』, 『기차는 7시에 떠나네』, 『외딴방』, 『깊은 슬픔』등의 여러 글들을 통해 이대영, 「존재성찰과 씨앗불의 생명력-공지영 , 신경숙 , 공선옥론」, 『문예시학』, 1997, p.29참조.
작가적 역량을 한껏 발휘했으며 아울러 자기만의 문학적 특징을 강하게 드러내 보임으로써 한국문단에 큰 반향을 불러 일으켰다. 특히 그의 소설에서 한결같이 느껴지는 아름다운 문체적 특징과 함께 작품의 심층적 의미는 다양한 해석을 낳았으며 그런 만큼 많은 비평가들에 의해 여러 각도에서 주목을 받아왔다. 그에 대한 연구는 90년대 들어 여성문학의 위상이 부상하는 가운데 이의 올바른 정립 및 새로운 가능성을 고찰하기 위한 일환으로 시도된 논의 강미숙김양선, 「90년대 여성문학의 새로운 가능성-신경숙과 김인숙의 근작을 중심으로-」, 『여성과사회』, 1994. 및 이정희김연숙, 「올바른 여성문학의 정립을 위하여:여성의 자기발견의 서사, ‘자전적 글쓰기-박완서신경숙김형경권여선을 중심으로 -」, 『여성과사회』, 1997. 송지현, 「여성 소설로서의 신경숙 소설 읽기」, 『여성문학연구』, 2000., 이대영, 「존재성찰과 씨앗불의 생명력 - 공지영 , 신경숙 , 공선옥론 -」, 『문예시학』, 1997. 등이 이에 해당하는데, 강미숙김양선은 신경숙의 작품에 나타난 ‘여성적’문체와 감수성의 내용과 그것이 작품의 공과에 끼치는 영향을 살펴본 후, 이와는 대조적인 창작경향을 드러내는 김인숙의 최근작을 우회적으로 비교해 봄으로써 여성소설로서의 가능성을 타진했다. 이정희김연숙은 자기 존재에 대한 성찰의 문제와 여성의 자전적 글쓰기와 깊은 관련성을 찾아 박완서, 김형경, 권여선 등과 더불어 신경숙의 작품적 특징을 찾아내고 있다. 그리고 이대영은 ‘비움과 채움의 이야기들’로 신경숙의 작품적 특징을 파악하고 자유와 사랑의 문제와 페미니즘적 사고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를 비롯해, 소설이 갖는 특징인 서사성에서 벗어나 시적인 서정성에 주목하여 작가의식을 읽어낸 연구 송준호, 「서정성, 서사파괴와 작가의식 - 신경숙의 의 경우 -」, 『 국어문학』, 1998. 및 김정진, 「서정소설의 인식에 관한 시론-신경숙의 「풍금이 있던 자리 」를 중심으로」, 『한국문예비평연구』, 1999.가 있는데 둘다 소설의 서사성이 아닌 서정성에 주목하여 서사물인 소설에서 서정적 자아가 갖는 인식의 파악이 무엇인가 즉, 소설에서 시적 특성을 지니게 함으로써 작가가 드러내고자 한 의도가 무엇인가 하는 점을 염두에 두고 논의를 전개하였다.
, 네 작품에서 발견되는 내면을 결핍과 부재성의 측면에서 조망한 연구 안남연, 「신경숙 소설의 부재성」, 『여성문학연구』, 1999.
, 신경숙의 만을 대상으로 하여 소설이 완결된 이야기로서의 체계와 전개를 갖추기 위한 담화론적 요건을 살펴보고자 시도한 연구 이에 관한 연구로는 김광희의 것이 있는데, 그는 그의 논문에서 작품에서 담화론적 요건을 살펴보기 위해 특별히 이야기 형성의 기제 가운데 응집성 실현의 문제를 주제가 갖는 정보의 흐름과 이야기 통합 수단의 분석 등을 통해 검토함으로써 문학작품에 대한 언어학적 이해의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김광희, 「이야기 형성을 위한 문맥 응집성 실현의 방법-신경숙의 를 대상으로-」, 『한국언어문학』, 1996.)
, ‘언어의 대화이론’ 및 ‘다성성’을 중심으로 신경숙의 여러 작품의 담론적 특징을 연구한 것 김정자, 「여성 소설의 담론적 연구-향숙, 신경숙의 소설을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1995.에서 푸코, 바흐찐 등을 비롯한 여러 담론가의 담론에 대한 개념 및 범위를 ‘다성성’과 ‘언어의 대화이론’으로 한정하고 담론의 실행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며 또 그렇게 만들어진 담론 구조 속에서 담론의 의미망들이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가를 신경숙향숙 등 두 작가의 작품을 통해 고찰하였다.
등 실로 그에 대한 연구는 90년대 접어들어 한국문단에 주목받는 작가의 위상에 걸맞게 다양한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성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정신분석학적 측면에서 그의 소설작품에 대해 논의한 것은 없는 실정이다. 특히, 그의 는 여러 가지 면에서 90년대 문단의 한 특징이기도 한 개인적 성향을 잘 그려내고 있는 작품이면서 다양한 해석을 제공해 준다는 점에서 일찍부터 많은 이들에게서 주목을 받아왔지만 이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접근은 시도된 바조차 없다. 이 작품은 한 유부남을 사랑하게 된 ‘나’의 ‘부치지 않은 편지’형식으로 된 소설로 작품 속에 산발적으로 나오는 아버지와 어머니, 며칠 정도 머물다 간 아버지의 여자, 형제들과 마을 사람, 그리고 화자에게 비친 사물들의 이미지들로 산만하게 나열되어 있으며 이러한 이미지들을 어떻게 연결시켜 해석하느냐 하는 것이 이 소설을 이해하는 관건이 되는데, 김정진, 「서정소설의 인식에 관한 시론」, 『한국문예비평연구』, 1999, p.258.
이러한 모든 것을 정신분석학적 접근 특히 라캉의 반복강압의 구조와 그 원인으로서 주체형성과정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보다 새롭게 읽힐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시각으로 접근한 논의는 없기에 본고에서는 신경숙의 본 작품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접근을 라캉의 이론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