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지역사회발전학회(구 한국지역사회개발학회)863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공동주책단지의 개방률과 배치유형의 상관관계 분석에 관한 연구
이원근 ( Won Geun Lee ) , 김영찬 ( Young Chan Kim )  한국지역사회발전학회(구 한국지역사회개발학회), 지역사회발전학회논문집 [2012] 제37권 제2호, 97~110페이지(총14페이지)
단지 내 조망 환경개선을 위한 개방감 지표기준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단지계획시 조망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들과의 배치유형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로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조망권을 주거 환경의 질로 확립하기 위하여 조망권과 단지계획요소와의 상관성을 분석하기로 한다. 특히 배치유형별 단지계획요소와의 상관성을 분석하되, 그 내용은 건축규모요소, 옥외공간요소, 지표심의적 요소로 분류하여 분석하기로 한다. 또한 배치유형중 중앙커뮤니티 광장형과 동일주도나열형의 단지계획요소를 상호 비교 분석하여 배치유형과 개방률과의 관계가 어떻게 변화되는지 분석하기로 한다. 특히 단지계획 요소 중 건축규모요소는 대지면적, 세대당 대지면적, 건폐율, 용적률, 층수, 세대수로 설정하여 분석하기로 하며, 둘째, 옥외공간요소는 도로율, 녹지율, 옥외생활공간비율, 옥외공간면적으로 설정하여 분...
TAG 조망, 시각개방률, 상관관계, 단지계획 요소, View, Open rate sight Corelation, Site planning factor
사회적기업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경기도 안양 지역을 중심으로-
장준호 ( Jun Ho Jang )  한국지역사회발전학회(구 한국지역사회개발학회), 지역사회발전학회논문집 [2012] 제37권 제2호, 111~121페이지(총11페이지)
유럽이나 미국은 비영리단체들이 국가나 지방장부, 기업이 제공하지 못한 사회서비스를 지역주민에게 제공하면서 자연스럽게 사외적기업이 발달한 것과는 달리, 한국 사회적기어버의 성장은 정부가 고용창출을 목적으로 인건비와 운영비를 지원해주는 정책으로 진행되어 왔기 때문에 본래 사회적기업의 의미를 국민들에게 정확히 전달해주지 못하고 있다. 사외적기업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 자리잡지 못한 상황에서 법률·제도상의 미비, 고용상의 재원과 전문성의 부족 등의 문제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 지금의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비판을 바탕으로 우리나라에 적합한 사회적기업의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TAG 사회적기업, 마을기업, 지역경제, 사회적기업육성, 취약계층, 고용창출, Social enterprises, Township enterprises, Local economy, Social enterprise development, Vulnerable groups, Employment creation
곡성군 관광시설의 개발사업에 대한 고찰
안종헌 ( Jong Hun An )  한국지역사회발전학회(구 한국지역사회개발학회), 지역사회발전학회논문집 [2012] 제37권 제1호, 7~19페이지(총13페이지)
관광시설은 도시와 농촌과 상관없이 지역 경제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고, 지속적인 성장산업으로 발전하고 있다. 곡성군은 섬진강이 흐르고 지리산이 인접하여 수려한 자연 관광자원을 갖추고, 역사·문화재시설, 문화·전시시설, 관광·위락시설 및 숙박시설들이 곡성군내에 분포하고 있으나, 인접한 타 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관광산업이 활성화되어 있지 못하다. 본 연구에서 곡성군 관광시설의 실태를 조사 및 분석하고, 관광시설의 개발사업 및 개발계획의 현황을 파악하고, 추진결과의 문제점 및 실효성 등을 분석하여 항후 곡성군 관광시설의 개선, 개발사업 및 계획의 합리적인 추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TAG 곡성군, 관광시설, 관광사업, 개발사업, 개발계획, Gokseong county, tourist facilities, tourist business, development project, development planning
마을만들기 사례분석을 통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과 일본사례를 중심으로-
문종화 ( Jong Hwa Moon )  한국지역사회발전학회(구 한국지역사회개발학회), 지역사회발전학회논문집 [2012] 제37권 제1호, 21~31페이지(총11페이지)
우리의 전통사회는 유기적이며 지속적인 성격을 지녔으나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는 현대사회는 자본주의사회로 도래하면서 산업화, 도시과정에서 지역공동체의 붕괴를 경험했다. 이에 따라 지역사회 통합에 대한 관심이 생겨나면서 공동체를 회복시켜 삶의 질을 높여야 한다는 움직임이 일어나기 시작했고 이에 마을만들기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다. 마을만들기는 정주환경과 삶의 문화를 잃어버린 우리 도시에 대한 문제의식과 반성에서 출발하고 있다. 여기서 문제점은 지금까지 전개되어온 선진사례에서 나타난 마을만들기의 성공적 사례들이 과연 얼마만큼 우리들의 실정과 부합되어 왔으며, 향후에 어떻게 전개되어야 할 것인가에 대한 반성이 필요하다. 또한 다양한 접근방식을 포함하여 추진단계와 방식, 참여주체 또한 명확하게 정립된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에 전개되어야 할 마을만들기 운...
TAG 마을만들기, 주민, 행정, 전문가, Urban Village Making, People, Administration, Expert
서산지역 주민의식조사를 통한 도시 가꾸기에 관한 연구
박동소 ( Tong So Park )  한국지역사회발전학회(구 한국지역사회개발학회), 지역사회발전학회논문집 [2012] 제37권 제1호, 33~42페이지(총10페이지)
본 연구는 서산의 미래가 지역 역사·문화의 정체성을 근저로 한 도시 가꾸기에 있음을 인식하고 서산지역의 정체성을 되살려 이를 도시 가꾸기에 반영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였다. 이를 위하여 도시 가꾸기, 도시 디자인, 살기 좋은 도시 만들기 등과 같은 도시의 최근 이슈를 살펴보고, 도시 가꾸기를 위한 효과적인 추진체계를 고찰하였다. 이와 함께 서산지역 주민의 도시정주환경에 관한 의식조사를 통하여 지역주민이 인식하고 있는 서산다움이라는 정체성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서산시청 전면의 도시공원 개선방안에 관한 도시환경개설 사례연구를 수행하여 이를 바탕으로 향후에 펼쳐질 서산의 도시 가꾸기를 위한 과제를 제안하고자 한다.
TAG 도시 가꾸기, 의식조사, 정주환경, Urban Revitalization design, Consiciousness Survey, Environmental Settlement
수도권 노후 단독주택지 주거만족도조사 -성남시 소재 다중, 다가구를 중심으로-
정욱수 ( Wook Soo Jung ) , 김원필 ( Won Pill Kim )  한국지역사회발전학회(구 한국지역사회개발학회), 지역사회발전학회논문집 [2012] 제37권 제1호, 43~53페이지(총11페이지)
성남시는 서울시의 주택난을 해결하기 위해 1968년 경기도 양주군 중부면 지구 일단의 주택지 경영사업을 계기로 농촌 지역에서 도시로의 급속한 변화가 이루어진 곳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 지역의 주거 만족도를 조사하고 발전전략을 제안하는데 있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노후된 단독주택의 두 타입의 개발방법(철거 후 재개발과 재생개발방식)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철거 후 재개발은 낙후된 단독주택지에서는 효과적인 방법이 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철거 후 재개발 방법은 거주자들의 라이프스타일에 혼돈을 주어 재입주율이 10%이하로 나타났다. 단독주택지의 자체평가를 위해서는 건축법과 같은 법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단독주택은 기본적으로 개인적 취향에 의해서 계획된다. 그러나 다가구의 경우 대여나 판매 목적으로 건립된다. 연구결과 몇몇 활용할만한 내용...
TAG 단독주택, 노후, 주택개발사업, 주거만족도, Single-family house, Deteriorated, Housing Redevelopment, Residential Satisfaction
복합용도지역의 지정을 위한 건축규모 인센티브 방안에 관한 연구
이원근 ( Won Geun Lee ) , 김영찬 ( Young Chan Kim )  한국지역사회발전학회(구 한국지역사회개발학회), 지역사회발전학회논문집 [2012] 제37권 제1호, 55~74페이지(총20페이지)
복합용도지역은 물리적 복합화와 기능적 복합화로 서로 연계성을 높여 설치함으로써 필요한 시설들이 상호 연계하여 토지용도간의 분리보다는 혼합을 통해 기능적 보완 및 상승효과를 유도하여 토지이용의 효율화 및 다면적 공간활용을 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의 배경을 가지고 용도지역제를 보완하기 위하여 토지이용의 효율화와 합리적 배치 그리고 기능간의 혼합 및 복합을 위한 관련내용을 검토하고, 특히 역세권 주변의 제2종 일반주거지역과 제3종 일반주거지역의 복합용도지역의 지정을 위한 건축물의 규모 설정을 위한 기준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패키지 인센티브 제조를 도입하여 현재 활용되고 있는 법정 용적률과 비교하여 그 활용가능성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조사, 사례조사, 시뮬레이션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였다.
TAG 복합용도지역, 건축물 규모, 인센티브, Mixed-Use Districts, Building Scope, Incentive
지방자치 발전을 위한 마을 만들기 사업 연구 -안산시 마을만들기사업을 중심으로-
문종화 ( Jong Hwa Moon ) , 장준호 ( Jun Ho Jang )  한국지역사회발전학회(구 한국지역사회개발학회), 지역사회발전학회논문집 [2012] 제37권 제1호, 75~87페이지(총13페이지)
1990년대 후반부터 대구 삼석동, 경기 안산시 등에서 시민단체가 중심이 되어 주민운동의 한 형태로 마을 만들기가 실행되어 왔다. 이에 따라 신도시 개발 등 도시확장개발 위주에서 도심재개발 등 도시관리위주로 도시계획 트랜드가 변화하였으며, 도심내 아파트 위주의 편향된 주거형태에서 단독·다세대·다가구 등 주택을 고려한 도시관리로 전환 되었다. 여기서 문제점은 지금까지 지금까지 전개되어온 선진사례예서 나타난 마을만들기의 성공적 사례들이 과연 얼마만큼 우리들의 실정과 부합되어 왔으며, 향후에 어떻게 전개되어야 할 것인가에 대한 반성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에 전개되어야 할 마을만들기 운동의 활성화 방안을 지방자치단체 측면에서 모색해 보자고 한다.
TAG 마을만들기, 주민, 행정, 전문가, Urban Village Making, People, Administration, Expert
한국과 몽골의 용도지역제 비교에 관한 연구
밧출룬 ( Chool Loon Bat ) , 김영하 ( Young Ha Kim )  한국지역사회발전학회(구 한국지역사회개발학회), 지역사회발전학회논문집 [2012] 제37권 제1호, 89~97페이지(총9페이지)
우리 사회의 기술과 문화가 빠르고, 다양하게 발전됨에 따라 사람들이 사는 도시의 개발 기준과 밭전 방향도 함께 구체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구체적인 도시의 개발과 발전의 기준은 위생, 편리함, 안전 등이 있으며, 이 기준을 통해 몽골의 수도인 울란바타르를 살펴보면, 현재 도시의 상태는 개발 기준과 발전 방향성 등에 많은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울란바타르의 문제점으로 분석된 도시 환경올 개선하고, 향후 도시의 개발 기준 선정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울란바타르 등의 도시에 일어난 문제들은 용도지역제를 사용해서 해결 할 수 있다. 용도지역제를 사용하면 용도지역과 관련 된 법적 규제 및 규모 그리고 용도지역 내 건축물의 용도를 구체적 기준으로 제시 할 수 있고, 따라서 도시 개발의 문제들은 그 기준에 의해 해결하거나 방지 ...
TAG 한국, 몽골, 용도지역제, South Korea, Mongolia, Use district
공간구성의 특징과 문화적 정체성 향상에 관한 연구 -나주 영모정을 중심으로-
노재현 ( Jae Hyun Rho ) , 김상범 ( Sang Beom Kim )  한국지역사회발전학회(구 한국지역사회개발학회), 지역사회발전학회논문집 [2012] 제37권 제1호, 99~107페이지(총9페이지)
누정은 우리의 의식구조와 생활양식에 심대한 영향을 끼쳤던 유서 깊은 생활의 터전이었을 뿐 아니라 선인들의 풍류 쉼터요 정치 토론의 장(珊)이었다. 또한 그 자체가 훌륭한 건축뭍이자 장소 선택의 동기, 누정를 만들고 즐기는 사람의 마음 등이 어우러져 형이상학의 세계로 빠져들게 하는 매력을 갖고 있다. 본 연구는 전남 나주시 다시면 희진리 90번(동촌아옮) 소재(영산강변 구진포에서 회진마올로 진입하면 우측 언덕)에 위치한 영모정을 토대로 하였다. 대상지의 입지공간구성 및 문화적 정체성 향상에 관한 분석 내용은 크게 두 가지로 첫째는 영모정의 입지와 조형적 특성 그리고 조망성에 대한 객관적 사항을 파악하는 것이여 둘째는 영모정이 갖는 기존 전통적 정자와의 공통분모적 요인과 그에 반하는 특수상 즉 영모정 고유의 개성 및 특질을 비교 고찰 분석하였다.
TAG 영모정, 경관, 나주 문화정체성, 정자, Yeongmojeong Pavilion, Landscape Architecture, Naju, Culture indentity, pavilion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