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하천호수학회(구 한국육수학회) AND 간행물명 : 생태와 환경219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태안해안국립공원 식생 현황과 공간분포 특성
이선미 ( Seon Mi Lee ) , 명현호 ( Hyeon Ho Myeong )  한국하천호수학회(구 한국육수학회), 생태와 환경 [2015] 제48권 제2호, 122~128페이지(총7페이지)
TAG National Park, sand dune, Pinus thunbergii, actual vegetation map, vegetation monitoring, exotic plants
월악산국립공원 금수산 및 도락산 일대 삼림식생의 군락분포에 관한 연구
이정윤 ( Jung Yun Lee ) , 오장근 ( Jang Geun Oh ) , 정세훈 ( Se Hoon Jung ) , 김하송 ( Ha Song Kim )  한국하천호수학회(구 한국육수학회), 생태와 환경 [2015] 제48권 제2호, 129~138페이지(총10페이지)
TAG classification, forest vegetation, physiognomy, Woraksan, Geumsusan
낙동강 상류에 서식하는 열목어의 일주기 이동 패턴 연구
김정희 ( Jeong Hui Kim ) , 윤주덕 ( Ju Duk Yoon ) , 조현빈 ( Hyunbin Jo ) , 장민호 ( Min Ho Jang )  한국하천호수학회(구 한국육수학회), 생태와 환경 [2015] 제48권 제2호, 139~145페이지(총7페이지)
TAG Brachymystax Lenok tsinlingensis, daily movement, home range, radio telemetry, Nakdong River
동해안 석호의 지형학적인 특성에 따른 어류군집분포와 갈대의 안정동위원소비
이재용 ( Jae Yong Lee ) , 박승철 ( Seung Chul Park ) , 김민섭 ( Min Seob Kim ) , 최재석 ( Jae Seok Choi ) , 이광열 ( Kwang Yeol Lee ) , 신경훈 ( Kyung Hoon Shin )  한국하천호수학회(구 한국육수학회), 생태와 환경 [2015] 제48권 제1호, 1~11페이지(총11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동해안에서 10개의 석호들을 대상으로 어류군집의 조성의 차이를 파악하였고, 갈대 줄기의 탄소와 질소안정동위원소분석을 통하여 각 석호생태계의 유역환경을 예측하였다. 석호들 사이에서 어류의 조성(특히, 회유성 어류) 및 섭식기능군은 지형학적인 특성에따라 분포의 차이를 보였다. 10곳의 석호들에서 갈대줄기 δ13C과 δ15N값 각각 -28.40±0.11‰에서 -26.87±0.25‰과 -1.09±1.45‰에서 12.08±0.53‰의 범위를 보였다. 이들 석호에서의 갈대의 줄기 δ15N 값의 차이는 토지 이용에 따른 인위적인 오염원의 차이와 석호의 지형학적인 특성 등과 관련이 있음을 보였다. 이 연구는 어류의 서식지 확보, 석호생태계에서의 생물다양성의 보전과 유역의 오염원에 대한 관리를 위한 유용한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AG lagoon, stable isotope composition, anadromous fish, anthropogenic landuse, geomorphic cha-racteristics
대청호 유입지천의 수질 특성
심무준 ( Moo Joon Shim ) , 윤재용 ( Jae Yong Yoon ) , 이수형 ( Soo Hyung Lee )  한국하천호수학회(구 한국육수학회), 생태와 환경 [2015] 제48권 제1호, 12~25페이지(총14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동해안에서 10개의 석호들을 대상으로 어류군집의 조성의 차이를 파악하였고, 갈대 줄기의 탄소와 질소안정동위원소분석을 통하여 각 석호생태계의 유역환경을 예측하였다. 석호들 사이에서 어류의 조성(특히, 회유성 어류) 및 섭식기능군은 지형학적인 특성에따라 분포의 차이를 보였다. 10곳의 석호들에서 갈대줄기 δ13C과 δ15N값 각각 -28.40±0.11‰에서 -26.87±0.25‰과 -1.09±1.45‰에서 12.08±0.53‰의 범위를 보였다. 이들 석호에서의 갈대의 줄기 δ15N 값의 차이는 토지 이용에 따른 인위적인 오염원의 차이와 석호의 지형학적인 특성 등과 관련이 있음을 보였다. 이 연구는 어류의 서식지 확보, 석호생태계에서의 생물다양성의 보전과 유역의 오염원에 대한 관리를 위한 유용한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AG Daechung Lake, tributaries, water quality, discharge, Sook Stream
내장산국립공원 입암습지의 식생 및 경관 변화와 관리방안
이선미 ( Seon Mi Lee ) , 명현호 ( Hyeon Ho Myeong )  한국하천호수학회(구 한국육수학회), 생태와 환경 [2015] 제48권 제1호, 26~31페이지(총6페이지)
내장산국립공원에 위치한 입암습지의 식생 조사 및경관 분석을 통해 습지의 상태를 평가하고, 관리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야외 조사 및1976년도와 2010년도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경관 분석을 실시한 결과, 과거에 논이었던 곳은 현재 습지를 대표하는 버드나무군락(21.6%), 고마리군락(2.8%), 갈대군락(1.1%), 진퍼리새군락(4.9%), 진퍼리새-고마리군락(0.5%) 등의 습지식생이 차지하고 있었고, 밭이었던 곳은 현재 찔레꽃군락(6.8%), 환삼덩굴-찔레꽃군락(42.0%),환삼덩굴군락(10.6%)이 대부분의 면적을 차지하고 있었다. 전체의 30.9% 분포비율을 나타내는 입암습지의 지속적 관리를 위해서는 수리.수문학적 조사를 통해 습지로 물이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물길을 유도하고 제6수중보를 활용하여 유량을 ...
TAG National Park, abandoned fields, secondary succession, landscape change, wetland management
해안사구에서 생장 및 생리적 특성을 적용한 귀화식물 관리방안
김낭희 ( Nang Hee Kim ) , 이선미 ( Seon Mi Lee ) , 명현호 ( Hyeon Ho Myeong )  한국하천호수학회(구 한국육수학회), 생태와 환경 [2015] 제48권 제1호, 32~37페이지(총6페이지)
여러 가지 경로를 통해 유입된 귀화식물은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사구생태계에도 침입하여 자생종의 생태적지위를 위협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해안사구에 분포하는 귀화식물의 효율적 관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비생물적요인인 염분스트레스가 달맞이꽃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염분농도구배에 의한 발아실험 결과 농도가 높을수록 발아율이 감소하였으며, 염분에 대한 내성범위는 160mM까지 나타났다. 유묘기에 실시한 염분농도구배 실험에서 200mM까지는 90% 고사하였으며, 300 mM 이상에서는 100% 고사하였다. 최초 고사일은 실험 시작 후 100mM에서는 18.5일, 800mM에서는 6일이었으며, 최종 고사일은 100mM에서는29.5일, 800 mM에서는 6일이었다. 따라서 해안사구에 분포하는 달맞이꽃의 관리 방안은 2단계 과정을 제안한다. 1단계는 ...
TAG sand dune plant, exotic plant, Oenothera biennis, salt stress, salt gradient
서부 DMZ 인접지역의 담수어류 출현양상
고명훈 ( Myeong Hun Ko ) , 고재근 ( Jae Geun Ko ) , 김형수 ( Hyeong Su Kim )  한국하천호수학회(구 한국육수학회), 생태와 환경 [2015] 제48권 제1호, 38~50페이지(총13페이지)
서부 DMZ 인접지역의 담수어류 출현양상을 밝히기 위하여 2014년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채집된 어류는 14과 61종이었고, 우점종은 피라미 (Zaccoplatypus, 상대풍부도 20.3%), 아우점종은 참갈겨니 (Z.koreanus, 12.6%)였고, 그 밖에 밀어(Rhinogobius brunneus,9.2%), 돌고기 (Pungtungia herzi, 4%), 줄납자루(Acheilognathus yamatsutae, 4.4%), 모래무지 (Pseudogobioesocinus, 4.0%) 등의 순으로 우세하게 출현하였다. 출현종 중 고유종은 25종(40.1%)이었고, 외래어종은 떡붕어 (Carassius cuvieri) 1종이었다. 천연기념물은 어름치 (H...
TAG DMZ, ichthyofauna, fish community, Imjin River
월악산국립공원 영봉 일대 삼림식생의 군락분포에 관한 연구
이정윤 ( Jung Yun Lee ) , 오장근 ( Jang Geun Oh ) , 장인수 ( In Soo Jang ) , 김하송 ( Ha Song Kim )  한국하천호수학회(구 한국육수학회), 생태와 환경 [2015] 제48권 제1호, 51~60페이지(총10페이지)
본 연구는 2014년 5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국립공원자원모니터링 기본조사 자료의 활용성을 높이고 국립공원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고축척 식생전자지도 필요성에 따라 1/5,000 축척의 생태자연도 정밀화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되어졌다. 식생조사 결과가 반영된 정밀식생도 중 월악산국립공원 영봉 (해발고도1,094 m) 일대의 산지삼림식생은 산지낙엽활엽수림, 산지침엽수림, 산지습성림, 식재림으로 세분되었으며, 평지삼림식생은 하반림, 기타식생은 암벽식생, 2차초지, 벌채지 등으로 세분되었다. 상관대분류에 의하여 구분된 각각의 산지삼림식생을 구성하고 있는 분포군락수는 산지낙엽활엽수림은 39개군락, 산지습성림 26개 군락, 산지침엽수림 6개 군락, 식재림 11개 군락, 하반림 2개 군락, 기타식생 7개 군락이조사되었다. 조사된 주요 군락의 분...
TAG classification, forest vegetation, physiognomy, Woraksan, Youngbong
오대산국립공원 삼림식생에 관한 연구
김창환 ( Chang Hwan Kim ) , 오장근 ( Jang Geun Oh ) , 이남숙 ( Nam Sook Lee ) , 최영은 ( Young Eun Choi ) , 송명준 ( Myoung Jun Song )  한국하천호수학회(구 한국육수학회), 생태와 환경 [2015] 제48권 제1호, 61~67페이지(총7페이지)
본 연구의 결과 식생조사용 DB 구축 결과와 식생조사 결과를 반영한 식생도 구축 결과는 활엽수림이71.965%, 71.184%로 거의 같았으며, 침엽수림(16.010%,15.747%), 혼효림(10.619%, 12.085%), 암벽식생(0.015%,0.002%) 분포비율의 차이가 크지 않았다. 식생조사 결과가 반영된 정밀식생도 중 식생 상관대분류에서 나타난 식생유형은 산지낙엽활엽수림이 전체의 60.096%를 차지하고 있어 가장 넓은 분포역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산지침엽수림 (16.332%), 산지습성림 (15.887%), 식재림(3.558%) 순으로 분포비율이 높았다. 국립공원내에서 평가된 식생보전등급은 I등급과 II등급 지역이 각각61.80%, 33.55%로써 전체 면적의 95.35%로써 생태자연도 ...
TAG forest vegetation, vegetation map, Odaesan National Park, physiognomy classification, ecology zoning map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