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건국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281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이산화티탄의 세라믹 이온-선택성 만전극
박면용 ( Myon Yong Park )  건국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이학논집 [1991] 제16권 23~27페이지(총5페이지)
이산화티탄계의 화합물을 이용한 이온 선택성 막전극을 개발하기 위한 첫단계의 실험으로서 이산화티탄만을 이용한 소결 막전극을 재료로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이산화 티탄으로 만든 막을 2.614-2,700℃에서 소결하여 수용액증의 이온에 대하여 감응도를 측정한 결과는 Ag(I) 10(-5) PO4(3-), 10(-5) HPO4(2), 10(-4)M까지 각기 이온 선택성을 나타냈다.
Pyridazine계 액정의 합성에 관한 연구 1
박승언 ( Seung Un Park ) , 박영수 ( Young Soo Park )  건국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이학논집 [1991] 제16권 29~35페이지(총7페이지)
Pyridazine계 액정을 합성하기 위한 예비실험으로서 toluene과 phenol로부터 9단계의 짧은 반응과정은 거쳐서 3-(4-methylphenyl) -6-(4-methoxyphenyl) pyridazine을 12%의 수율로 합성하였다. 이 합성과정의 중요한 단계는 2-bromo -4`-methoxyacetophenone과 methyl 4-met-hylbenzoylacetate의 coupling 반응이나. 또한 여러가지 중간체 합성반응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Methoprene 처리에 따른 매미나방(Lymantria dispar L.) 유충의 중장상피와 혈림프단백질 함량
이경로 ( Kyung Ro Lee ) , 박혜숙 ( Heye Sook Park )  건국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이학논집 [1991] 제16권 37~52페이지(총16페이지)
매미나방(Lymantria dispar L.) 유충에 JH mimics인 methoprene을 처리하여 형태학적·생리학적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장상피의 형태학적인 변화는 대조군과 처리군 유충의 원주세포(columnar cell)와 배상세포(goblet cell)에서 관찰하였다. 처리군의 원주세포는 지질성 과립수가 현저하게 증가하였고 핵은 커지고 조면소포체(rough endoplasmic reticulum)는 원형으로 팽대되었다. 세포표면의 미세융모(microvilli)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토콘드리아가 내재된 배상세포의 세포질 돌출부는 거의 해체되고 세포질성의 많은 조각(또는 swirled membrane bodies) 들이 배상세포의 내강(goblet cavity)으로 배출되었다. ...
한국산 오디흑연가시, Chordodes koreansis, (철선충목, 유선형동물문)의 형태학적 연구
노용태 ( Yong Tai Noh ) , 백광민 ( Kwang Min Baek ) , 문인호 ( In Ho Moon )  건국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이학논집 [1991] 제16권 53~73페이지(총21페이지)
철선충의 형태학적 연구를 위해서 Chordoes koreansis를 광학현미경, 투과전자현미경 및 주사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관찰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몸은 가늘고 길며, 수컷은 암컷보다 길이가 짧다. 체벽은 큐티클층, 각피하층, 근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걸큐티클(epicuticle)층은 얇은 층으로 그 표면에는 굴곡이 심한 오디모양의 유두돌기가 있다. 큐티클의 섬유층은 격자상으로 큐티클층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각피하층(sub-cuticular layer)은 낮은 입방형에서 원주혐의 세포들이 밀집되어 단일층을 이루고 있다. 근층은 종주근으로 되어 있다. 소화관은 퇴화형이었고, 뚜렷한 입이 있으며, 바로 전장으로 열린다. 중장은 내강이 없이 밀착된 상태로 하나의 세포덩어리에 불과하다. 본 연구에서는 다른 종에서 보이지 않는 전단부...
분포지성(分布地城)에 따른 서양민들레(Taraxacum officinale Weber) 종자(種子)의 발아습성(發芽習性)의 지리적(地理的) 변이(變異)
이호준 ( Ho Joon Lee )  건국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이학논집 [1991] 제16권 75~83페이지(총9페이지)
日本 關東地方(Mt. Fuji, Nikko city, Yamanakako, Chuzenjiko, Tsukuba city)에 分布하는 시양민들레(Taraxacum officinale Weber) 個體群種子의 發芽習性의 地理的 變異를 조사하였다. 5 地域의 個體群은 發芽樣相에 따라 크게 2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첫째 그룹은 Mt. Fuji와 Chuzenjiko 個體群으로서 IT regime과 DT regime의 最終發芽率 거의 100%인 그룹이며, 두번째 그룹은 IT regime과 DT regime의 最終發芽率에 차이가 존재하며 DT까 IT regime보다 더 높은 最終發芽率을 나타내는 Yamanakako, Nikko, Tsukuba 個體群으로 나타났다. 綱度가 높거...
자은도(慈恩島)의 식생(植生)에 관한 생태학적(生態學的) 연구(硏究)
이호준 ( Ho Joon Lee ) , 양효식 ( Hyo Sik Yang ) , 조은부 ( Eun Boo Cho )  건국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이학논집 [1991] 제16권 85~100페이지(총16페이지)
慈恩烏의 植生에 과한 調査는 1990년 7월부터 9월에 걸쳐서 現地踏査를 통하여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이 8개의 群落으로 分類되었다. 1.常綠針葉樹林 곰솔-사스레피나무群落(Eurya japonica-Pinus thunbergii community) 곰솔 - 자귀나무群落(Albizzia julibrissin-Pinus thunbergii community) 곰솔 - 팥배나무群落(Sorbus alnifolia-Pinus thunbergii community) 2. 落葉闊葉樹林 떡갈나무-밀사초群落(Carex boottiana-Quercus dentata community) 떡갈나무 - 산국群落(Chrysanthemum boreale-Quercus dentata community...
Chloramphenicol이 Bacillus sphaericus ts-D1290 치사돌연변이체의 증식과 DNA 합성에 미치는 영향
이형환 ( Hyung Hoan Lee ) , 서정희 ( Jung Hee Suh ) , 김수영 ( Soo Young Kim )  건국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이학논집 [1991] 제16권 101~106페이지(총6페이지)
Chloramphenicol이 Bacillus sphaericus ts-D1290돌연변이주의 증식과 DNA 합성시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B. sphaericus ts-D1290균주와 정상균주는 80μg/ml농도의 chloramphenicol이 포함된 배지에시 배양하였을 때 증식은 거의 일어나지 않았으며, 생균수의 증가도 거의 볼 수 없었다. B. sphaericus ts-D1290과 정상균주는 40μg/ml농도의 chloramphenicol을 첨가하였을 때 DNA 생합성은 배양 1시간까지는 계속 증가했고 그후부터는 거의 증가하지 않았다. ts-D1290의 DNA 합성개시는 150μg/ml 농도의 chloramphenicol존재하에서도 30분이내에 재개시가 일어...
TAG Bacillus sphaericus, ts mutant, chloramphenicol
한국(韓國) 중부지방(中部地方)의 하계뢰우(夏季雷雨) 연구(硏究)
이현영 ( Hyoun Young Lee ) , 이승호 ( Seung Ho Lee )  건국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이학논집 [1991] 제16권 107~118페이지(총12페이지)
한국의 연간 뇌우 발생빈도의 50-70%가 여름철에 집중되기 때문에 그로 인한 피해가 적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여름철의 뇌우특성을 파악하고, 그로 인한 재해의 대책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1979-1988년간의 기상자료를 사용하여 중부지방 뇌우 發生條件과 發生原因, 發生時刻, 發生頻度를 변수로 하여 뇌우의 유형을 분류한 결과 중부지방에서는 5개의 뇌우지역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하계 뇌우의 82%가 전선상에서 발생하였고 기단성 뇌우는 왼주와 같은 분지나 거대도시인 서울에서 현저하게 나타났다. 뇌우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시기는 8월 초순부터 중순까지이고, 전선성 뇌우는 일반적으로 밤낮에 고르게 나타나는데 반하여 기단성 뇌우는 대체로 늦은 오후부터 야간에 결쳐 발생하는 빈도가 높다 그리고 도시지역에서 주변지역보다 뇌우일수가 약 30...
석회암의 풍화과정과 특성에 관한 분석 -석회암 풍화의 물리적,지화학적 특성(1)-
최무웅 ( Moo Woong Choi ) , 임종호 ( Chong Ho Rheem )  건국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이학논집 [1991] 제16권 119~134페이지(총16페이지)
한국의 연간 뇌우 발생빈도의 50-70%가 여름철에 집중되기 때문에 그로 인한 피해가 적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여름철의 뇌우특성을 파악하고, 그로 인한 재해의 대책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1979-1988년간의 기상자료를 사용하여 중부지방 뇌우 發生條件과 發生原因, 發生時刻, 發生頻度를 변수로 하여 뇌우의 유형을 분류한 결과 중부지방에서는 5개의 뇌우지역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하계 뇌우의 82%가 전선상에서 발생하였고 기단성 뇌우는 왼주와 같은 분지나 거대도시인 서울에서 현저하게 나타났다. 뇌우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시기는 8월 초순부터 중순까지이고, 전선성 뇌우는 일반적으로 밤낮에 고르게 나타나는데 반하여 기단성 뇌우는 대체로 늦은 오후부터 야간에 결쳐 발생하는 빈도가 높다 그리고 도시지역에서 주변지역보다 뇌우일수가 약 30...
35~165 MeV 파이온의 14C에 대한 Single Charge Exchange 연구
쥬영흠 ( Yeong Heum Jyoo ) , 이미란 ( Mi Ran Lee )  건국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이학논집 [1990] 제15권 1~12페이지(총12페이지)
14C(π+, π0)N14 동중 유사 상태 전이 단면적을 파이온-핵의 1차 광학 포텐셜을 이용하여 파이온 입사 에너지 35~165 MeV 범위 안에서 계산했다. 파이온-핵자 전이 행렬에 대해 충격 근사를 이용했다. 계산 결과를 J. L. Ullmann 등과 M. J. Leitch 등의 실험 데이터와 비교했다. 산란 단면적이 과잉 중성자 밀도에 잘 비례함을 볼 수 있었다. 각분포가 에너지에 크게 의존함을 볼 수 있었다. 이 에너지 의존성은 S-와 P-wave 진폭기여의 상대적인 강도 변화에서 기인한다. 35, 42.5 MeV에서 각분포는 전방각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데, 이는 S-wave 진폭이 P-wave 진폭보다 크기 때문이다. 48 MeV 근처에서 단면적이 아주 작은 값을 가졌다. 이는 척력의 S-wave...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