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식물분류학회1125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Taquet 신부의 왕벚나무: 엽록체 염기서열을 통한 야생 왕벚나무와 재배 왕벚나무의 계통학적 비교
조명숙 ( Myong Suk Cho ) , 김찬수 ( Chan Soo Kim ) , 김선희 ( Seon Hee Kim ) , 김승철 ( Seung Chul Kim )  한국식물분류학회, 식물분류학회지 [2016] 제46권 제2호, 247~255페이지(총9페이지)
천주교 대구교구청에 심어져 있는 오래된 왕벚나무의 기원을 추적하기 위하여 제주도에 자생하는 야생 왕벚나무와 재배 왕벚나무(Somei-yoshino cherry)의 계통분류학적 유연관계를 알아보았다. 한국과 일본에서 채집한 야생 왕벚나무, 재배 왕벚나무 및 근연종인 올벚나무, 총 25 개체에 대하여 cpDNA 두 구간(rpl16 유전자, trnS-trnG intergenic spacer)의 염기서열을 사용하여 계통수와 반수체형(haplotype) 네트워크를 작성하여 두 분류군을 비교하였다. 야생 왕벚나무와 재배 왕벚나무는 서로 구별되는 분류군으로 드러났으며, 비록 적은 샘플을 대상으로 비교적 짧은 유전자위가 사용되었지만 야생 왕벚나무는 재배 왕벚나무보다 반수체형 다양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야생 왕벚나무의 교배 기원에 모...
TAG 재배 왕벚나무, 야생 왕벚나무, 엽록체 DNA 계통수, 반수체형 네트워크, 반수체형 다양성, ornamental flowering cherries, Prunus yedoensis, cpDNA phylogeny, haplotype network, haplotype diversity
멸종위기 난과 식물 석곡의 복원
김영기 ( Young Kee Kim ) , 강경원 ( Kyung Won Kang ) , 김기중 ( Ki Joong Kim )  한국식물분류학회, 식물분류학회지 [2016] 제46권 제2호, 256~266페이지(총11페이지)
한국의 멸종위기 난과 식물인 석곡 13,000 촉을 증식하여 2013년 6월에 완도군 보길도 일대의 자연서식지에 복원하였다. 연구팀은 복원 후 2년간 생장과정을 모니터링 하였다. 모본의 확보, 교배, 종자형성, 파종, 계대배양, 순화배양 등의 과정을 거쳐 복원할 13,000 촉을 육성하였다. 복원 전에 5개 엽록체 마커와 핵 ITS 지역을 이용하여 복원할 개체들의 유전적 다양성을 검증한 결과 국내의 자연집단 사이에서 관찰되는 수준의 유전적 다양성이 입증되었다. 현지복원은 연구팀과 지역주민들과의 공조체계를 구축하여 협동으로 수행하였다. 복원 이후 1년, 2년의 시점에 생존율, 영양번식률, 생장률 등을 조사하여 자료화 하였다. 복원 후 훼손은 없었으며, 97% 이상의 생존율을 보였다. 복원 후 영양번식이 활발하여, 복원 시점보다 촉수가...
TAG 멸종위기종, 석곡, 복원, 유전적다양성, 영양번식, endangered species, Dendrobium moniliforme, restoration, genetic diversity, vegetative reproduction
사초과 올챙이골속의 한국 미기록종: 고창고랭이 (Schoenoplectiella ×uzenensis (Ohwi ex T. Koyama) Hayasaka)
김종환 ( Jonghwan Kim ) , 김민하 ( Minha Kim ) , 김무열 ( Muyeol Kim )  한국식물분류학회, 식물분류학회지 [2016] 제46권 제2호, 267~271페이지(총5페이지)
한국 미기록종인 고창고랭이(Schoenoplectiella ×uzenensis (Ohwi ex T. Koyama) Hayasaka)를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의 저수지에서 발견하였다. 고창고랭이는 짧게 기는 지하경이 있고 소수가 1-3개가 달리는데 반하여, 송이고랭이(S. triangulata)는 지하경이 아주 짧고 줄기가 빽빽이 모여나며 소수가 5-20개가 달리고, 제주올챙이골(S. lineolata)은 지하경이 길게 발달하고 소수가 1개가 달려 뚜렷이 구별된다. 이 미기록종의 국명은 고창군에 자라기 때문에 ``고창고랭이``로 하였고, 고창고랭이에 대한 기재, 도해, 칼라도판 및 근연종 사이의 차이점을 검색표와 표로 제시하였다.
TAG 고창고랭이, 올챙이골속, 사초과, 미기록, Schoenoplectiella ×uzenensis, Schoenoplectiella, Cyperaceae, new record
논문 : ITS 염기서열에 의한 복수초속 복수초절(미나리아재비과)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손동찬 ( Dong Chan Son ) , 박범균 ( Beom Kyun Park ) , 고성철 ( Sung Chul Ko )  한국식물분류학회, 식물분류학회지 [2016] 제46권 제1호, 1~12페이지(총12페이지)
복수초속 복수초절 식물 12종 1변종과 4종의 외군을 대상으로 복수초절 내 분류체계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각분류군 간의 유연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ITS 염기서열에 기초한 계통분류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계통수 제작 결과분석에 포함된 복수초(A. amurensis Regel et Radde) 7개체 중 일본에서 채집된 2개체가 일본 고유종인 가지복수초(A.ramosa Franch.)와 더 가까운 유연관계를 보였다. 이는 복수초가 단계통군이 아님을 말해주며, A. amurensis의 분류학적정체성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함을 암시한다. 국내에서 흔히 가지복수초로 동정되고 있는 개복수초(A. pseudoamurensisW. T. Wang)는 계통수 상에서 독자적인 그룹을 이루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따라서 개복수초를 가지복수초와 같은 종으로...
TAG 복수초속, 복수초절, 계통 분석, 염기서열 변이, Adonis, Adonanthe, phylogenetic analysis, sequence variation, ITS
논문 : 나도국수나무족(장미과)의 분류: 나도국수나무속
오상훈 ( Sang Hun Oh )  한국식물분류학회, 식물분류학회지 [2016] 제46권 제1호, 13~32페이지(총20페이지)
나도국수나무족(Neillieae)은 전통적으로 나도국수나무속(Neillia), 국수나무속(Stephanandra), 산국수나무속(Physocarpus)의 3속으로 구성된 장미과의 분류군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국수나무속은 최근의 분자계통학적 연구에 근거하여 나도국수나무속에 포함되어, 나도국수나무족은 나도국수나무속과 산국수나무속의 2속으로 구성된 족으로 인식된다. 나도국수나무속은 난형 내지 피침형의 잎, 점첨두 내지 꼬리형의 엽선, 총상 또는 원추화서 및 단심피의 암술을 갖는 특징에 의해 산국수나무속과 뚜렷이 구분된다. 본 속의 식물은 히말라야에서 중국 및 한국을 거쳐 동쪽으로 일본, 남쪽으로 인도네시아에 걸쳐 분포한다. 본 연구에서는 나도국수나무족의 종속지적 연구의 일환으로 나도국수나무속의 분류를 제시하였다. 기준표본을 포함...
TAG 나도국수나무족, 나도국수나무, 종속지, Neillieae, Neillia, revision
논문 : 20세기 초에 채집된 한반도 고표본(1)
임형탁 ( Hyoung Tak Im ) , 손현덕 ( Hyun Duk Son ) , 임재석 ( Jae Suk Im )  한국식물분류학회, 식물분류학회지 [2016] 제46권 제1호, 33~54페이지(총22페이지)
우리나라 고표본의 대부분은 한국전쟁 중 소실되어서 국내에 남아 있지 않으나 도쿄대학교의 표본관에는 이들 표본의 중복표본(duplicate)들이 잘 보존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쿄대학교 표본관에 수장되어 있는 중복표본을 조사하여 미동정 표본을 동정하였으며, 우리나라 초기 분류학 역사에 대한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이들의 목록을 작성하였다. 이들 중복표본의 한 세트를 도쿄대학교 표본관의 기증을 통해 확보하여 전남대 표본관과 국립생물자원관 표본관에 수장하였다.
TAG 고표본, 한반도, 도쿄대 표본관, 전남대 표본관, 국립생물자원관 표본관, Historic plant specimen, Korean Peninsula, TI, CNU, KB
논문 : Justicia kampotiana Benoist(쥐꼬리망초과): 베트남 미기록종
( Do Van Hai ) , ( Nguyen Khac Khoi ) , ( Ritesh Kumar Choudhary ) , ( Deng Yunfei ) , 이상진 ( Sang Jin Lee ) , 이중구 ( Joong Ku Lee )  한국식물분류학회, 식물분류학회지 [2016] 제46권 제1호, 55~59페이지(총5페이지)
Justicia kampotiana Benoist (쥐꼬리망초과)를 베트남 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본 종은 유사종인 J.ingrata Benoist와 달리 외화관에 털이있으며, 화통은 판연 보다 약간 길고 화병보다는 아주 짧다. 종 동정을 위한 기재, 그림도해 및 컬러사진과 함께 본 종과 유사종의 비교를 위한 검색형질들을 제시하였다.
TAG 쥐꼬리망초과, 미기록종, 베트남, Justicia kampotiana, Acanthaceae, new record, Vietnam
Original article : The complete plastid genome of Scopolia parviflora (Dunn.) Nakai (Solanaceae)
( Jin Hee Park ) , ( Jung Ho Lee )  한국식물분류학회, 식물분류학회지 [2016] 제46권 제1호, 60~64페이지(총5페이지)
Justicia kampotiana Benoist (쥐꼬리망초과)를 베트남 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본 종은 유사종인 J.ingrata Benoist와 달리 외화관에 털이있으며, 화통은 판연 보다 약간 길고 화병보다는 아주 짧다. 종 동정을 위한 기재, 그림도해 및 컬러사진과 함께 본 종과 유사종의 비교를 위한 검색형질들을 제시하였다.
TAG Chloroplast, Scopolia parviflora, genome sequence, medicinal plant
논문 : 한반도 북부 채집을 시도한 외국인 6명과 지명 정리: Imai, Mills, Furumi, Nomura, Saito, Okuyama
장진성 ( Chin Sung Chang ) , 김혜원 ( Hye Won Kim ) , 김휘 ( Hui Kim )  한국식물분류학회, 식물분류학회지 [2016] 제46권 제1호, 65~82페이지(총18페이지)
서울대학교 수우표본관에서 완성한 KPF(Korean Peninsula Flora Database) 데이터베이스에서는 1850년부터 1945년까지 한반도에서 채집된 65,000개의 관속식물의 기록물을 관리하고 있다. 이 중 북한에서 채집된 기록은 33,000개인데 이 중 13%에 해당되는 4,287개가 1909년부터 1942년에 걸쳐 5명의 일본인(노무라,오쿠야마, 후루미, 이마이, 사이토)과 1명의 미국인(밀즈)에 의해 채집되었다. 코마로프(Komarov, V.L), 나카이(Nakai, T) 이후 3번째로 많은 북한에서 채집된 표본이다. 이런 채집과 관련된 보고서는 지명사전으로 기존에 일부 발표하였지만, 본 논문에서는 보다 더 자세한 일정과 채집물에 대해 기록하였다. 사이토가 가장 많은 1,730개 ...
TAG 지명사전, 북한, 이마이, 밀즈, 후루미, 노무라, 사이토, 오쿠야마, Gazetteer, North Korea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 Imai, R. Mills, M. Furumi, N. Nomura, T. Saito, S. Okuyama
논문 : 욕지도(통영시)의 식물다양성과 식생
김중현 ( Jung Hyun Kim ) , 정은희 ( Eun Hee Jung ) , 이경의 ( Kyeong Ui Lee ) , 남춘희 ( Chun Hee Nam ) , 박성애 ( Sung Ae Park ) , 박찬호 ( Chan Ho Park ) , 남기흠 ( Gi Heum Nam ) , 이병윤 ( Byoung Yoon Lee ) , 서민환 ( Min Hwan Suh )  한국식물분류학회, 식물분류학회지 [2016] 제46권 제1호, 83~116페이지(총34페이지)
본 연구는 욕지도의 관속식물상과 식생을 밝히기 위하여 2015년 3월부터 2016년 1월까지 총 6회에 걸쳐 21일간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 관속식물은 113과 354속 487종 4아종 50변종 4품종 2교잡종의 총 547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 이 중 기존의 조사에서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본 연구에서 처음으로 밝혀진 분류군은 314분류군이었다. 한반도 고유종 8분류군, IUCN 평가기준에 따른 적색목록식물 6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86분류군이 조사되었다. 본 조사지에서 다른 지역에 비해 특이적으로 분포하는 식물은 99분류군이며, 이 중 남방계식물은 97분류군, 제한분포 식물은 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74분류군이 발견되었다. 욕지도의 산림식생은 곰솔군락과 사방오리군락이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군락의 수직구조는...
TAG 욕지도, 상관, 관속식물, 식생, Yokjido, physiognomy, vascular plants, vegetation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