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대한지질공학회 AND 간행물명 : 지질공학1045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굴착공사 중 지반함몰 위험예측을 위한 지반함몰인자 분류
박진영 ( Jin Young Park ) , 장유진 ( Eugene Jang ) , 김학준 ( Hak Joon Kim ) , 임명혁 ( Myeong Hyeok Ihm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17] 제27권 제2호, 153~164페이지(총12페이지)
지반 함몰 위험성에 대한 지질학적 인자는 매우 다양하다. 어떠한 지질학적 요인 또는 외부적인 영향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동일한 지질학적 요인 내에서도 여러 가지 다른 물성값에 의해 지반함몰 영향인자가 결정될 수 있다. 다수의 논문 및 연구사례를 검토 한 결과 크게 7가지 범주의 지반함몰 요인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공동의 존재 여부에 따라 상재하중의 심도 및 두께가 지반침하에 영향을 줄 수 있고, 토사와 암반으로 구성된 지반에서는 그 경계면의 심도와 배향이 지배적 요소이다. 이 중 토사지반에서는 좀 더 다양한 영향인자로 구성이 되어있는데 토사의 종류, 전단강도, 상대밀도 및 다짐도, 건조단위중량, 함수비, 액성한계가 그것이다. 암반지반에서는 암석의 종류와 주 단열과의 거리 및 RQD가 영향인자로 구성될 수 있으며 수리지질학적 측면에서 접근...
TAG 지반함몰, 지질인자, 영향인자, ground subsidence, geological factors, influence factor
계층적 분석방법을 이용한 해수침투 영향 평가
김창훈 ( Chang-hoon Kim ) , 김남주 ( Nam-ju Kim ) , 박영윤 ( Youngyun Park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17] 제27권 제1호, 1~7페이지(총7페이지)
해안지역에서 지하수의 전기전도도, 화학적 지시자, 동위원소 조성을 이용하여 해수침투를 평가하였다. 전기전도도가 3,000 μS/cm 보다 높은 지역을 해수의 영향을 받은 지역으로 평가할 수는 있지만 다른 오염원과 해수침투를 구분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화학적 지시자 및 산소와 수소 동위원소 조성은 해수침투의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지만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전기전도도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해수침투 가능성을 평가하고 해수침투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류된 지역에 대해서 추가적인 화학 및 동위원소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해수침투의 영향 정량적으로 평가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이러한 분석방법을 통해 해수침투 평가방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AG 해수침투, 해안 지하수, 화학조성, 동위원소 조성, 계층적 분석방법, Seawater intrusion, coastal groundwater, systematic analytical method
지반조건에 따른 보강구근체 인발저항력 거동 특성
안준영 ( Junyoung An ) , 심정훈 ( Jeonghoon Shim ) , 정지수 ( Jisu Jeong ) , 이승호 ( Seungho Lee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17] 제27권 제1호, 41~49페이지(총9페이지)
본 연구는 수치해석을 통해 구근체, 보강재 변화와 지반 조건 변화에 따른 지반 내 영향범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근체의 증가에 따른 보강효과 증가 폭을 확인하고 지반조건 변화에 따른 경향을 파악하게 되면 쏘일네일링의 보강재 및 구근체를 결정할 수 있게 되어, 경제적인 시공이 되도록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논문에서는 범용 수치해석 프로그램인 MIDAS GTS NX를 활용하여 보강재 위치 별 하중에 따른 변위를 분석 하였다. 또한 쏘일네일의 인발하중에 따른 사질토, 화강풍화토 지반에서 보강재의 구근체 이완영역이 지반 내 어떠한 특성을 나타내는지 비교·분석 하여 구근체 크기와 보강재의 직경 별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준을 선정하기 위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TAG 보강재, 구근체, 수치해석, 쏘일네일, 인발하중, reinforcement, bulbed, numerical analysis, soil nail, pullout load
현장 모니터링 결과를 이용한 광미 적치사면 안정성의 수치해석적 연구
송영석 ( Young-suk Song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17] 제27권 제1호, 21~29페이지(총9페이지)
광미 적치사면에서 측정된 모니터링 결과와 현장조건을 고려한 수치해석결과를 이용하여 강우시 불포화 토층내 모관흡수력 변화를 비교하고 이를 토대로 사면안정해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계측기간 동안 강우강도가 가장 크게 발생된 기간(72시간)을 선정하고, 대상기간 동안의 모관흡수력과 강우자료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현장에서 측정된 강우자료를 적용하여 침투 및 사면안정해석을 수행하였다. 강우에 따른 사면내 침투거동을 해석하기 위하여 SEEP/W를 활용하고 사면내 침투깊이를 고려한 사면안정해석을 위하여 SLOPE/W를 활용하였다. 먼저 현장에서 측정된 강우자료를 적용하여 SEEP/W를 이용한 침투해석을 수행하였다. 침투해석으로 계산된 모관흡수력과 현장계측으로 측정된 모관흡수력을 비교한 결과 모관흡수력의 크기에서는 다소 차이가 있으나 시간에 따른 변화양상은 유사한 것으...
TAG 광미 적치사면, 현장계측, 강우, 침투해석, 사면안정해석, tailings dump slope, rainfall, field monitoring, seepage analysis, slope stability analysis
저주파 결함 탐지법에 의한 하중 단계에 따른 암석 내부의 상태 평가
강성승 ( Seong-seung Kang ) , 김종혁 ( Jongheuck Kim ) , 노정두 ( Jeongdu Noh ) , 나태유 ( Tae-yoo Na ) , 장형두 ( Hyongdoo Jang ) , 고진석 ( Chin-surk Ko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17] 제27권 제1호, 51~58페이지(총8페이지)
이 연구는 저주파 결함 탐지법을 이용하여 하중단계에 따른 암석 내부의 상태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CND에 의한 초기 종파속도는 X축 방향 1687.5 m/s, Y축 방향 1690.7 m/s, Z축 방향 1548.3 m/s이며, 평균 1642.2 m/s로 Z축 < X축 < (≒)Y축 관계를 보였다. 실버슈미트 해머에 의한 Q값의 전체 평균은 62.6으로 약 105MPa의 일축압축강도에 해당되었다. 저주파 결함 탐지기에 의해 측정된 하중단계 50%, 60%, 70%, 80% 수준에서 종파속도 크기는 X축
TAG 저주파 결함 탐지법, CND, 실버슈미트 해머, 종파속도, 하중단계, Low-frequency ultrasonic flaw detection, Silver Schmidt hammer, Vp-velocity, Load step
수치해석을 통한 춘천 산사태지역 토석류 거동 분석
최정해 ( Junghae Choi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17] 제27권 제1호, 59~66페이지(총8페이지)
최근들어 발생하는 강우는 지금까지의 강우특성과 비교하여 여름철에 단기간 집중적으로 내리는 형태로 바뀌고 있다. 2011년 강원도 춘천지역에서는 이러한 집중강우로 인해 많은 산사태가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해 재산피해와 인명피해를 야기시켰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강우에 의한 산사태 물질의 이동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현장 자료와 수치해석 자료를 활용하여 시간에 따른 특성의 변화 및 강우량에 따른 특성의 변화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항복응력 값의 변화를 통해서 강우량을 재현하였으며, 이를 통해서 어떠한 거동 특성을 보이는지 해석하였다. 그 결과 많은 강우에 의해 항복응력 값이 낮아지는 경우가 빠른 속도의 이동형태를 보이고 동시에 넓은 지역에 걸쳐 확산되는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현장에서 확인된 토석류의 흔적과 매우 유사하다는 것을 확...
TAG 토석류 해석, 산사태, 항복응력, 확산범위, debris flow analysis, landslide, yield stress, run-out distance
단층대가 분포하는 터널에서 굴진면 수평변위를 이용한 선행 천단변위 분석
윤현석 ( Hyun-seok Yun ) , 도경량 ( Kyung-ryang Do ) , 서용석 ( Yong-seok Seo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17] 제27권 제1호, 81~90페이지(총10페이지)
터널에서의 일상계측은 공정 특성상 굴착 후 바로 수행되기 어렵고, 일정 간격마다 수행되기 때문에 굴착 전 발생하는 선행 변위를 측정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굴착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굴진면 수평변위를 이용하여 단층대가 터널 상부에 분포하는 경우 천단부에서 발생하는 선행변위를 분석하였다. 단층이 터널의 굴진방향과 이루는 각도와 경사가 서로 다른 24개 모델에 대해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실시하여 굴진면 수평변위와 선행 천단변위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선행 천단변위에 대한 굴진면 수평변위의 비(Lface/C ratio)는 순경사 모델의 경우 약 2~12%, 역경사 모델은 2~13%로 각 모델별로 일정한 비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귀분석을 통한 선행 천단변위와 굴진면 수평변위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모델...
TAG 선행변위, 굴진면 수평변위, 선행 천단변위, 단층, Lface/C 비, preceding displacements, longitudinal displacement on tunnel face, preceding crown settlement, fault, Lface/C ratio
국내 쇄설성 퇴적암의 화학적 풍화지수 고찰
김성욱 ( Sung-wook Kim ) , 최은경 ( Eun-kyoung Choi ) , 김종우 ( Jong-woo Kim ) , 김태형 ( Tae-hyung Kim ) , 이규환 ( Kyu-hwan Lee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17] 제27권 제1호, 67~79페이지(총13페이지)
암석내 화학종의 함량을 이용한 풍화지수는 암석의 풍화 정도와 2차 광물의 생성을 예측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풍화의 과정은 암석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데 국내의 경우 화강암의 분포 면적이 넓은 이유로 풍화지수의 연구는 산성질 화성암에 편중되어 왔다. 이 연구는 쇄설성 퇴적암에 속하는 사암, 이암, 셰일의 전암분석(X-선 형광분석)을 이용하여 풍화지수들을 산정하고, 상관성 분석을 통해 지수들의 유의성을 검토하였다. 쇄설성 퇴적암 중 장석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는 사암과 셰일의 경우 장석의 풍화를 나타내주는 Wp, CIA, CIW, PIA 풍화지수가 높은 유의성을 보였다. 화학적 변질지수(CIA)는 풍화경로와 변질점토의 생성을 예측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풍화 정도의 변별력을 높이기 위해 화학적 풍화지수를 동시에 고려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탄산염 계열...
TAG 쇄설성 퇴적암, 전암분석, 풍화지수, 화학적 변질지수, 통계적 유의성, clastic sedimentary rocks, whole rock analysis, weathering index, chemical index of alteration, statistical significance
실내시험을 통한 단층물질의 물리·역학적 특성 분석
문성우 ( Seong-woo Moon ) , 윤현석 ( Hyun-seok Yun ) , 서용석 ( Yong-seok Seo ) , 채병곤 ( Byung-gon Chae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17] 제27권 제1호, 91~101페이지(총11페이지)
단층물질은 불균질하고 복잡한 메커니즘에 의해 생성되기 때문에 지역, 암종 및 구성 성분에 따라 다양한 특성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단층물질의 물리·역학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국내에 분포하는 단층물질 109개를 채취하여 각종 실내시험을 실시하고, 지역, 암종 및 구성 성분에 따른 물리·역학적 특성(단위중량, 비중, 공극률, 자갈함량, 실트/점토 함량, 점토광물 함량, 내부마찰각 및 점착력)을 분석하였다. 암종별 물리·역학적 특성은 편마암의 경우 단위중량(17.1 kN/㎥)과 비중(2.73)에서 가장 높은 중앙값을 보이며, 화강암은 공극률(45.5%), 편암은 자갈함량(20.0 wt.%)과 점착력(38.1 kPa), 천매암은 실트/점토 함량(54.4 wt.%), 점토광물 함량(37.7 wt.%)과 내부마찰각(38.2°)에서 가장 높은 중앙값을 보인다...
TAG 단층물질, 지역, 암종, 구성성분, 물리·역학적 특성, fault material, region, rock type, components of fault material,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지구물리탐사와 지질조사에 의한 양산단층대 남부구간의 기하학적 특성
이현재 ( Hyoun-jae Lee ) , 함세영 ( Se-yeong Hamm ) , 박삼규 ( Samgyu Park ) , 류충렬 ( Chung-ryul Ryoo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17] 제27권 제1호, 9~20페이지(총12페이지)
현재까지 양산단층대 노출 구간의 전기비저항탐사를 통하여 단층대와 전기비저항 값을 부분적으로 비교·분석하는 몇몇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그러나 양산단층대과 같은 대규모 단층 내에서 단층면을 직접 관찰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단층핵부의 풍화작용으로 인해 단층운동 특성을 직접적으로 관찰하기가 쉽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양산단층대 남부 언양지역의 전기비저항탐사 및 미소지형 측량과 지질조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해석하여 양산단층의 위치, 발달양상과 단층핵 구간과 이를 중심으로 발달하는 단층 손상대의 지하 발달 특성을 파악하였다. 전기비저항탐사에 의하면 북북동 내지 북동 방향으로 발달하는 저비저항 이 상대가 확인되었으며, 전기비저항탐사, 미지형 측량 및 야외 지질조사 결과를 종합할 때, 양산단층대는 하나의 단층핵 또는 파쇄대가 아닌 최소 3~5매의 단층핵, 단층 손상대 또는 ...
TAG 양산단층대, 전기비저항탐사, 미지형 측량, 지질조사, 언양지역, Yangsan fault zone, electrical resistivity prospecting, micro-topographic survey, geological survey, Eonyang area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