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366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단기소득 임산물의 주산지 집적도에 관한 연구
변승연 ( Seung Yeon Byun ) , 구자춘 ( Ja-choon Koo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 [2021] 제110권 제1호, 106~115페이지(총10페이지)
본 연구는 단기소득 임산물 주산지의 공간적 특성을 밝히기 위해 마련되었다. 산림청의 임산물생산조사 결과 중시군구의 품목별 생산량을 기준으로 Moran's I 방법을 활용하여 주산지의 공간적 집적도와 그 변화를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 단기소득 임산물의 45%의 주산지가 공간적으로 유의미하게 군집화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5대 주요 단기소득임산물의 경우, 지난 10년간 주산지가 확대되었으며, 군집화 정도도 강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특정 임산물산지종합유통센터 위치와 규모 확정 등 임산물 지원 정책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AG non timber forest product, aggregation, moran i, main producing area, spatiality
나라꽃 무궁화 30품종에서 발생하는 해충상 비교
정종국 ( Jong-kook Jung ) , 김만년 ( Mannyeon Kim ) , 이차영 ( Cha Young Lee ) , 장범준 ( Beom-jun Jang ) , 김동수 ( Dongsoo Kim ) , 권해연 ( Hae Yeon Kwon ) , 박윤미 ( Yunmi Park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 [2021] 제110권 제1호, 116~127페이지(총12페이지)
본 연구는 나라꽃인 무궁화의 주요 품종별 해충상을 조사하고, 무궁화 30품종에서 발생하는 주요 해충의 밀도를 비교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수원과 부산에서 육안조사법으로 해충상을 조사한 결과, 개체수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목화진딧물을 제외하고 부산에서는 20종 1,147개체의 해충이 채집되었고, 수원에서는 31종 2,240개체의 해충이 채집되었다. 품종에 따른 종수와 개체수 차이는 없었으나, 지역에 따른 차이는 있었다. 우점종은 목화진딧물, 점노랑들명나방, 왕붉은잎큰나방, 목화명나방, 썩덩나무노린재의 순이었다. 우점종의 발생 역시 품종 보다는 조사 지역과 연도에 따른 차이만 있었다. 결론적으로 무궁화의 품종 차이가 해충상 및 주요 해충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은 확인할 수 없었으며, 무궁화가 식재된 주변 환경의 차이가 해충상에...
TAG insect pest diversity, Hybiscus, Aphis gossypii, Rusicada privata, Haritalodes derogata
온대북부형 낙엽활엽수림의 디지털 카메라 반복 이미지를 활용한 식물계절 분석
한상학 ( Sang Hak Han ) , 윤충원 ( Chung Weon Yun ) , 이상훈 ( Sanghun Lee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 [2020] 제109권 제4호, 361~370페이지(총10페이지)
매년 반복되는 식물의 생활사를 장기적으로 관측하는 것은 기후변화 반응을 감지하는데 있어 가장 단순한 방법이며, 중요한 지표로 인식되고 있다. 반복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한 식물계절 변화 관찰 방법은 전통적(현장에서 전문가에 의해 관찰) 방법과 위성원격탐사(위성영상의 식생지수를 활용한 위성원격 관찰)의 한계를 보완한 방법이다. 본 연구는 디지털 카메라를 기반으로 한 반복 이미지로부터 식물계절 변화 관측과 계절현상을 정량화하기 위하여 점봉산 산림생태계를 대상으로 하였다. 한반도 전역에 분포하는 신갈나무림(낙엽활엽수림)과 상록침엽수림의 대표 수종인 소나무를 선정하여 식물계절 특성에 따른 경향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RGB 채널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식생지수(Gcc)를 산출하였다. Gcc 진폭의 크기는 상록침엽수림이 낙엽활엽수림 보다 작았으며, Gcc의 기울기(봄철 증...
TAG phenology, camera-base repeat digital photography, image analysis, green chromatic coordinate, phenophase
환경부 적색목록(관속식물)에 대한 IUCN 지역적색목록 평가적용
장진성 ( Chin-sung Chang ) , 권신영 ( Shin-young Kwon ) , 손성원 ( Sungwon Son ) , 신현탁 ( Hyuntak Shin ) , 김휘 ( Hui Kim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 [2020] 제109권 제4호, 371~381페이지(총11페이지)
환경부는 2020년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을 통해 멸종위기 야생생물 지정은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이 제시한 지역적색 목록 지침을 준용하기로 정하였고, 적색목록 관속식물 377종을 지정하였다. 본 연구는 IUCN의지역 적색 평가를 근간으로 평가불가(NA)를 제외한 103종을 선별하고, 국제적 수준의 적색목록 목록평가 가능한 고유종 10종을 제외한 이후 93종에 대한 재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분석에서 적용 불가 34종이 추가로 확인되어 59종에 대한 지역적색 평가를 적용하였다. 재평가 결과 취약이상의 분류군은 16종으로 CR(위급) 1종, EN(위기) 10종, VU(취약) 5종으로 평가되었고, NT(준위협) 4종과 LC(약관심) 30종, DD(정보부족) 9종을 판정하였다. 환경부 지역적색목록의 평가기준 B의 경우 정량...
TAG assessment, criteria, endangered species, IUCN regional Red List, not applicable, NA
산청군 고령토(백토) 노천 광산 채굴지와 인접 소나무 임분의 토양 물리 · 화학적 성질
김경태 ( Kyung Tae Kim ) , 백경원 ( Gyeongwon Baek ) , 최병길 ( Byeonggil Choi ) , 하지석 ( Jiseok Ha ) , 김춘식 ( Choonsig Kim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 [2020] 제109권 제4호, 382~389페이지(총8페이지)
노천 광산 채굴지의 토양 물리·화학적 성질은 광산지 식생 복원의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본 연구는 경상남도 산청군 고령토 광산의 고령토 폐석지와 식생 복원지 및 인접한 소나무 임분의 토양 성질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고령토 채굴이 진행되고 있는 6개 지역을 선정하고 고령토 폐석지, 식생 복원지, 소나무 임분의 토양 10 cm 깊이에 물리·화학적 성질을 조사하였다. 토양 용적밀도는 고령토 폐석지가 1.51 g·cm-3로 식생 복원지 1.19 g·cm-3나 소나무 임분 0.93 g·cm-3에 비해 유의적으로(P< 0.05) 높게 나타났으며, 기상은 고령토 폐석지가 14.2%로 소나무 임분 32.6%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점토함량은 소나무 임분이 33.6%로서 고령토 폐석지 14.8%나...
TAG mine soils, kaolinite, reclaimed soils, kaoline, forest soils, surface mines
묘령 및 식재밀도에 따른 느티나무 조림목의 초기 생육 특성
노남진 ( Nam Jin Noh ) , 조민석 ( Min Seok Cho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 [2020] 제109권 제4호, 390~399페이지(총10페이지)
본 연구는 조림목 묘령과 식재밀도가 느티나무 조림목의 초기 생육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2017년 3월말에 온대 남부지역인 영덕지역 2 ha 면적에 묘령[용기묘(1-0), 용기묘(2-0)] × 식재밀도(3,000본 ha-1, 5,000본ha-1) 4가지 조합으로 느티나무 묘목을 식재하였다. 각 처리별 3개의 조사구를 설치하였고, 조림목의 근원경과 수고 생장을 매년 9월마다 3년 동안(2017-2019년) 측정하여 수간 재적을 계산하였다. 느티나무의 초기생존율은 처리간에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수고는 묘령(1-0)과 묘령(2-0)에서 밀식처리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근원경과 H/D율은 묘령(2-0)에서 식재후 3년차에 밀식처리 효과가 나...
TAG container seedling, field performance, planting practice, seedling age, size
벌채 유형별 일본잎갈나무 천연 치수의 발생 및 생장특성 분석
정준모 ( Junmo Chung ) , 김현섭 ( Hyunseop Kim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 [2020] 제109권 제4호, 400~412페이지(총13페이지)
본 연구는 일본잎갈나무 천연갱신 치수의 생장특성을 분석하여 현장 적용 가능한 갱신 방법을 제안하기 위해 수행 되었다. 이를 위해 경기도 가평과 경상북도 봉화에 모수작업과 개벌작업을 실시하여 시험지를 조성하고, 종자 유입, 천연 치수의 발생과 생장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갱신유형별 종자 낙하량은 보잔목작업, 모수작업, 개벌작업 순으로 많았고, 치수 발생율은 처리구(벌채, 지면긁기)가 평균 2.4%, 무처리구 0.3%로 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8.0배 많았다. 처리구의 갱신 1년차 6월의 치수량은 약 47만본/ha이었고 갱신 3년차 10월의 치수량은 약 78천본/ha이었으며, 치수의 평균 크기는 근원경 6.5 mm, 수고 50.4 cm이었다. 이에 따라 천연갱신에 의한 일본잎갈나무 후계림 조성은 종자결실과 낙하 시기에 맞추어 벌채와 지면긁기를 실시하면 ...
TAG Larix kaempferi, natural regeneration, seed inflow, seed germination, seedling growth
일본잎갈나무 체세포배 유래 식물체의 초기 신초와 뿌리 길이, 순화용 기질이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이나념 ( Na Nyum Lee ) , 윤아영 ( A Young Yun ) , 김지아 ( Ji Ah Kim ) , 김태동 ( Tae Dong Kim ) , 김용욱 ( Yong Wook Kim ) , 한심희 ( Sim Hee Han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 [2020] 제109권 제4호, 413~420페이지(총8페이지)
본 연구는 체세포배 발아 식물체의 세포 라인별, 순화용 기질별 생육 특성을 분석하여, 일본잎갈나무 조직 배양묘의 순화 중 생존율을 높이려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실시하였다. 체세포배 발아 식물체는 라인 L14-66, L16-18, L17-B4를 사용하였으며, 순화용 기질은 낙엽송 전용 상토, 원예용 상토, 엘리포트, 피트플러그를 사용하였다. 평균 초기 신초와 뿌리 길이는 L14-66 라인이 가장 짧았고, L17-B4 라인이 가장 길었다. 세포 라인별 평균 생존율은 L17-B4 라인이 87.0%로 가장 높았고, L14-66 라인이 64.3%로 가장 낮았다. 순화용 기질별 생존율은 엘리포트와 피트플러그에서 각각 88.5%, 88.9%로 가장 높았다. L14-66 라인의 초기 신초 길이는 낙엽송 전용 상토(r = 0.852), 원예용 상토(r =...
TAG Larix kaempferi, somatic embryogenic cell, initial shoot length, initial root length, survival rate, peat-plug
RAPD Polymorphism and Genetic Distance among Phenotypic Variants of Tamarindus indica
( A Mayavel ) , ( B Vikashini ) , ( S Bhuvanam ) , ( A Shanthi ) , ( R Kamalakannan ) , ( Ki-won Kim ) , ( Kyu-suk Kang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 [2020] 제109권 제4호, 421~428페이지(총8페이지)
본 연구는 체세포배 발아 식물체의 세포 라인별, 순화용 기질별 생육 특성을 분석하여, 일본잎갈나무 조직 배양묘의 순화 중 생존율을 높이려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실시하였다. 체세포배 발아 식물체는 라인 L14-66, L16-18, L17-B4를 사용하였으며, 순화용 기질은 낙엽송 전용 상토, 원예용 상토, 엘리포트, 피트플러그를 사용하였다. 평균 초기 신초와 뿌리 길이는 L14-66 라인이 가장 짧았고, L17-B4 라인이 가장 길었다. 세포 라인별 평균 생존율은 L17-B4 라인이 87.0%로 가장 높았고, L14-66 라인이 64.3%로 가장 낮았다. 순화용 기질별 생존율은 엘리포트와 피트플러그에서 각각 88.5%, 88.9%로 가장 높았다. L14-66 라인의 초기 신초 길이는 낙엽송 전용 상토(r = 0.852), 원예용 상토(r =...
TAG Tamarind, genetic diversity, RAPD maker, polymorphism, similarity coefficient
팔공산 산림소유역의 유출 특성 변화
정유경 ( Yu-gyeong Jung ) , 이기환 ( Ki-hwan Lee ) , 최형태 ( Hyung-tae Choi ) , 이헌호 ( Heon-ho Lee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 [2020] 제109권 제4호, 429~437페이지(총9페이지)
본 연구는 산림 소유역에서 강우량에 대한 계류유출량의 장기적인 변화추이를 정량화하고, 임목의 생장이 산림소 유역의 유출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했다. 연도별로 강우량과 유출량은 비례관계를 보였으며, 시간이 경과할수록 유출량은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별 강우량과 유출량은 7월과 8월에 가장 높았으며, 유출률은 8월과 9월에 높은 값을 보여 강우량과 유출량, 유출률 변화가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았다. 월별 변동계수(CV)는 강우량에 비해 유출량이 더 크게 나타났고, 강우량과 유출량 간의 편차는 점차 증가하였다. 강우량에 대한 총 유출량과 직접 유출량의 변화는 2011년∼2017년의 추세선의 기울기가 더 낮아졌고, 기저유출량의 기울기는 증가하였다. 산림토양이 발달하면서 토양층의 수분보유력이 증가하였기 때문으로 보여지며, 기저유출...
TAG precipitation, direct runoff, baseflow, tree growth, coefficient recession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