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균학회3358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In vitro Conidial Germination and Mycelial Growth of Fusarium oxysporum f. sp. fragariae Coordinated by Hydrogen Peroxide-and Nitric Oxide-signalling
( Yu Jin Do ) , ( Do Hyeon Kim ) , ( Myung Sung Jo ) , ( Dong Gi Kang ) , ( Sang Woo Lee ) , ( Jin-won Kim ) , ( Jeum Kyu Hong )  한국균학회, 한국균학회지 [2019] 제47권 제3호, 219~232페이지(총14페이지)
TAG Antifungal, Fusarium oxysporum f. sp. fragariae, Nitric oxide, Reactive oxygen species
유기산을 이용한 pH 조절 처리가 잎새버섯 자실체 발이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김정한 ( Jeong-han Kim ) , 장명준 ( Myoung-jun Jang )  한국균학회, 한국균학회지 [2019] 제47권 제3호, 233~240페이지(총8페이지)
잎새버섯 안정생산을 위하여 배지의 pH를 적정하게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유기산을 이용한 pH 조절 및 적정 첨가농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혼합배지에 4종의 유기산(구연산, 호박산, 사과산, 주석산)를 5수준(0.5, 1, 1.5, 2, 2.5, 3%)으로 처리하여 균사생장정도를 측정한 결과 유기산 0.5% 수준에서 균사생장이 빨랐으며, 그 중에서도 호박산이 가장 우수하였다. 유기산의 첨가농도가 높을수록 혼합배지의 pH는 낮아지는 경향으로 배양기간 경과에 따라 대조구의 pH는 서서히 낮아지는 경향을 보인 반면 유기산 처리구는 유지되는 경향이었다. 발이율은 0.5%의 농도에서 호박산이 95%, 구연산 92.5%, 사과산과 주석산 80%로 대조구의 60%보다 우수하였다. 그러나 유기산의 농도가 1% 이상에서는 ...
TAG Bottle cultivation, Grifola frondosa, Organic acid, pH adjustment, Productivity
독도에서 새롭게 발견된 Xylodon flaviporus
조종원 ( Jong Won Jo ) , 곽영남 ( Young-nam Kwag ) , 조성은 ( Sung Eun Cho ) , 한상국 ( Sang-kuk Han ) , 한재구 ( Jae-gu Han ) , 오승환 ( Seunghwan Oh ) , 김창선 ( Chang Sun Kim )  한국균학회, 한국균학회지 [2019] 제47권 제3호, 241~247페이지(총7페이지)
2017년 독도의 버섯상 조사를 통해 관속식물인 왕호장근의 기부에 발생한 목재부후균 버섯표본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목재부후균은 배착성으로 자라는 가죽질의 자실체를 형성하였고 자실층은 관공형태를 나타내었다. 또한 균사체계는 위이균사형이며 타원형의 담자포자를 형성하였다. 형 태적 특징과 균류바코드 영역 (internal transcribed spacer of rDNA) 분석을 통하여 이 버섯을Xylodon flaviporus (Berk. & M.A. Curtis ex Cooke) Riebesehl & Langer로 동정하였다. 이 버섯은 독도에서 서식이 확인된 두 번째 종이며, 다년생 초본식물인 왕호장근을X. flaviporus의 새로운 기주식물로 보고하고자한다.
TAG Dokdo, Phylogeny, Reynoutria sachalinensis, Xylodon flaviporus
동해안 하조대와 경포대 해수욕장 주변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국내 미기록 야생효모들의 균학적 특성과 생리활성
김하근 ( Ha-kun Kim ) , 김지윤 ( Ji-yoon Kim ) , 한상민 ( Sang-min Han ) , 김창무 ( Changmu Kim ) , 이종수 ( Jong-soo Lee )  한국균학회, 한국균학회지 [2019] 제47권 제3호, 249~258페이지(총10페이지)
우리나라 강원도 동해안 해수욕장 주변 토양의 야생효모들의 종 분포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조대와 경포대 해수욕장, 경포호수 주변 토양들로부터 야생효모들을 분리, 동정하였고, 이들 중 국내 미기록 효모들을 선별하여 이들의 균학적 특성과 생리활성 등을 조사하였다. 하조대 해수욕장 주변 토양 30점 시료들로부터 22종, 27균주의 야생효모들을 분리, 동정하였고 경포대 해수욕장 과 경포호수 주변 토양 45점에서Aureobasidium melanogenum JR 3-13을 포함하는 39종 55균주의 야생효모들을 분리하였다. 이들 두 해수욕장에서 분리한 야생효모들 중Cyberlindnera culbertsonii HJ31-1, Dothichiza pithyophila HJ22-4, Metschnikowia bicuspidata HJ16-1, Sakaguchia cladi...
TAG Hajodae and Gyungpodae beaches, Physiological functionality, Soil, Unrecorded wild yeasts
벼 깨씨무늬병 및 잎집썩음병에 항진균 활성을 갖는 길항 미생물의 탐색
류명선 ( Myeong Seon Ryu ) , 양희종 ( Hee-jong Yang ) , 정수지 ( Su-ji Jeong ) , 서지원 ( Ji-won Seo ) , 정도연 ( Do-youn Jeong )  한국균학회, 한국균학회지 [2019] 제47권 제3호, 259~269페이지(총11페이지)
벼의 깨씨무늬병과 잎집썩음병의 원인균인 Cochliobolus miyabeanus와 Sarocladium oryzae에 의해 발병되며, 깨씨무늬병이 이삭에 발생할 경우Curvularia lunata에 의해 이삭마름병이 추가로 발병하게 되고 한국인의 주식인 쌀의 수확량 감소 및 쌀의 품질 저하와 같은 손실을 초래하여 세계적으로 벼 재배 국가에서는 큰 문제로 장기적으로는 심각한 문제를 초래한다. 따라서, 이러한 식물 병원성 곰팡이의 생물학적 방제를 위해 순창군 논 토양에서 세포외 효소 활성이 우수하고 siderophore를 생산하는 유용 미생물 5종을 선별하였다. 5종의 선별 미생물은 벼의 식물 병원성 곰팡이 3종에 대하여 우수한 항진균 활성을 갖고 있었으며, 특히 JSRB 177 균주는 가장 우수한 활성을 지녀 ...
TAG Antagonistic bacteria, Bacillus subtilis, Biological control agents, Brown spot, Sheath rot
Grovesinia moricola occurring on Parthenocissus tricuspidata
( Hyeon-dong Shin ) , ( Young-joon Choi ) , ( Sun-hee Hong ) , ( Yong-ho Lee )  한국균학회, 한국균학회지 [2019] 제47권 제3호, 271~274페이지(총4페이지)
벼의 깨씨무늬병과 잎집썩음병의 원인균인 Cochliobolus miyabeanus와 Sarocladium oryzae에 의해 발병되며, 깨씨무늬병이 이삭에 발생할 경우Curvularia lunata에 의해 이삭마름병이 추가로 발병하게 되고 한국인의 주식인 쌀의 수확량 감소 및 쌀의 품질 저하와 같은 손실을 초래하여 세계적으로 벼 재배 국가에서는 큰 문제로 장기적으로는 심각한 문제를 초래한다. 따라서, 이러한 식물 병원성 곰팡이의 생물학적 방제를 위해 순창군 논 토양에서 세포외 효소 활성이 우수하고 siderophore를 생산하는 유용 미생물 5종을 선별하였다. 5종의 선별 미생물은 벼의 식물 병원성 곰팡이 3종에 대하여 우수한 항진균 활성을 갖고 있었으며, 특히 JSRB 177 균주는 가장 우수한 활성을 지녀 ...
TAG Boston ivy, Cristulariella moricola, Grovesinia moricola,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DNA
청미래덩굴의 근권에서 분리된 2종의 Glomeromycota 미기록종
박혁 ( Hyeok Park ) , 가강현 ( Kang-hyeon Ka ) , 엄안흠 ( Ahn-heum Eom )  한국균학회, 한국균학회지 [2019] 제47권 제3호, 275~280페이지(총6페이지)
청미래덩굴의 근권 토양을 온실에서 배양하여 Glomeromycota에 속하는 균류의 포자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포자는 18S partial rDNA 영역의 DNA 염기서열 분석과, 더 정확한 동정을 위해 추가적으로 ITS 영역과 28S rDNA 영역까지 포함하는 Kruger fragment 지역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동정하였다. 동정 과정에서 2종의 국내 미기록종 Glomeromycota 균류의 포자를 확인하였으며, 확인된 종은 Diversispora eburnea, Paraglomus laccatum이다. 확인된 미기록종 포자의 형태적 특성 및 계통적 분석의 결과에 대해 기술하였다.
TAG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Diversispora eburnea, Paraglomus laccatum
Phytopythium and Pythium Species (Oomycota) Isolated from Freshwater Environments of Korea
( Bora Nam ) , ( Young-joon Choi )  한국균학회, Mycobiology [2019] 제47권 제3호, 261~273페이지(총13페이지)
청미래덩굴의 근권 토양을 온실에서 배양하여 Glomeromycota에 속하는 균류의 포자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포자는 18S partial rDNA 영역의 DNA 염기서열 분석과, 더 정확한 동정을 위해 추가적으로 ITS 영역과 28S rDNA 영역까지 포함하는 Kruger fragment 지역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동정하였다. 동정 과정에서 2종의 국내 미기록종 Glomeromycota 균류의 포자를 확인하였으며, 확인된 종은 Diversispora eburnea, Paraglomus laccatum이다. 확인된 미기록종 포자의 형태적 특성 및 계통적 분석의 결과에 대해 기술하였다.
TAG Oomycete, freshwater, taxonomy, ecology, pythiales
Pythium subutonaiense, A New Aquatic Oomycete from Southern China Based on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s
( Jia-jia Chen ) , ( Xiao-bo Zheng )  한국균학회, Mycobiology [2019] 제47권 제3호, 273~280페이지(총8페이지)
청미래덩굴의 근권 토양을 온실에서 배양하여 Glomeromycota에 속하는 균류의 포자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포자는 18S partial rDNA 영역의 DNA 염기서열 분석과, 더 정확한 동정을 위해 추가적으로 ITS 영역과 28S rDNA 영역까지 포함하는 Kruger fragment 지역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동정하였다. 동정 과정에서 2종의 국내 미기록종 Glomeromycota 균류의 포자를 확인하였으며, 확인된 종은 Diversispora eburnea, Paraglomus laccatum이다. 확인된 미기록종 포자의 형태적 특성 및 계통적 분석의 결과에 대해 기술하였다.
TAG Oomycote, phylogenetic analysis, Pythium clade B, taxonomy
Two New Species and a New Chinese Record of Hypocreaceae as Evidenced by Morphological and Molecular Data
( Zhao Qing Zeng ) , ( Wen Ying Zhuang )  한국균학회, Mycobiology [2019] 제47권 제3호, 280~292페이지(총13페이지)
청미래덩굴의 근권 토양을 온실에서 배양하여 Glomeromycota에 속하는 균류의 포자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포자는 18S partial rDNA 영역의 DNA 염기서열 분석과, 더 정확한 동정을 위해 추가적으로 ITS 영역과 28S rDNA 영역까지 포함하는 Kruger fragment 지역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동정하였다. 동정 과정에서 2종의 국내 미기록종 Glomeromycota 균류의 포자를 확인하였으며, 확인된 종은 Diversispora eburnea, Paraglomus laccatum이다. 확인된 미기록종 포자의 형태적 특성 및 계통적 분석의 결과에 대해 기술하였다.
TAG Hypomyces hubeiensis, morphology, phylogeny, Trichoderma subiculoides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