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화학공학회 AND 간행물명 : Korean Chem.Eng.Res.(화학공학)5281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Reusing the Liquid Fraction Generated from Leaching and Wet Torrefaction of Empty Fruit Bunch
( Jae-won Lee ) , ( Jun-ho Choi ) , ( Hyeon-soo Im ) , ( Min Um ) , ( Hyoung-woo Lee )  한국화학공학회, Korean Chem.Eng.Res.(화학공학) [2019] 제57권 제3호, 372~377페이지(총6페이지)
TAG Empty fruit bunch, Leaching, Wet torrefaction, Ash, Inorganic compounds
용존 이온 농축을 위한 진공 증발 기술과 하이드레이트 기반 기술의 소모 에너지 비교
한건우 ( Kunwoo Han ) , 이창훈 ( Chang Houn Rhee ) , 안치규 ( Chi Kyu Ahn ) , 이만수 ( Man Su Lee )  한국화학공학회, Korean Chem.Eng.Res.(화학공학) [2019] 제57권 제3호, 378~386페이지(총9페이지)
이 논문에서는 염수 중 이온 농축을 위해 진공 증발법과 하이드레이트 활용법 적용시 소모 에너지를 계산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상온 상압의 염수(NaCl 농도 0.35 wt%) 1 mol/s 를 10배 농축할 경우를 가정하여 69 ℃, 30 kPa 조건에서 진공 증발시와 객체가스로 CH4, CO2, SF6 를 사용한 하이드레이트 기반 기술의 에너지 소모량을 계산하였다. 진공 증발시 소모 에너지는 약 47 kJ/mol 이었으며, CH4, CO2, SF6 하이드레이트 공정을 적용할 경우에는 각각 43, 32, 28 kJ/mol의 에너지가 필요하였다. 에너지 소모량 관점에서 이온...
TAG Hydrate, clathrate hydrate, Dissolved ions recovery, Desalination, Evaporation-based concentration, Hydrate-based concentration
Ni Nanoparticles Supported on MIL-101 as a Potential Catalyst for Urea Oxidation in Direct Urea Fuel Cells
( Ngan Thao Quynh Tran ) , ( Hyo Sun Gil ) , ( Gautam Das ) , ( Bo Hyun Kim ) , ( Hyon Hee Yoon )  한국화학공학회, Korean Chem.Eng.Res.(화학공학) [2019] 제57권 제3호, 387~391페이지(총5페이지)
이 논문에서는 염수 중 이온 농축을 위해 진공 증발법과 하이드레이트 활용법 적용시 소모 에너지를 계산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상온 상압의 염수(NaCl 농도 0.35 wt%) 1 mol/s 를 10배 농축할 경우를 가정하여 69 ℃, 30 kPa 조건에서 진공 증발시와 객체가스로 CH4, CO2, SF6 를 사용한 하이드레이트 기반 기술의 에너지 소모량을 계산하였다. 진공 증발시 소모 에너지는 약 47 kJ/mol 이었으며, CH4, CO2, SF6 하이드레이트 공정을 적용할 경우에는 각각 43, 32, 28 kJ/mol의 에너지가 필요하였다. 에너지 소모량 관점에서 이온...
TAG Urea oxidation, Urea fuel cell, Ni catalysts, Metal organic framework, MIL-101, Ni@MIL-101
Pore Size Control of a Highly Transparent Interfacial Layer via a Polymer-assisted Approach for Dye-sensitized Solar Cells
( Chang Soo Lee ) , ( Jae Hun Lee ) , ( Min Su Park ) , ( Jong Hak Kim )  한국화학공학회, Korean Chem.Eng.Res.(화학공학) [2019] 제57권 제3호, 392~399페이지(총8페이지)
이 논문에서는 염수 중 이온 농축을 위해 진공 증발법과 하이드레이트 활용법 적용시 소모 에너지를 계산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상온 상압의 염수(NaCl 농도 0.35 wt%) 1 mol/s 를 10배 농축할 경우를 가정하여 69 ℃, 30 kPa 조건에서 진공 증발시와 객체가스로 CH4, CO2, SF6 를 사용한 하이드레이트 기반 기술의 에너지 소모량을 계산하였다. 진공 증발시 소모 에너지는 약 47 kJ/mol 이었으며, CH4, CO2, SF6 하이드레이트 공정을 적용할 경우에는 각각 43, 32, 28 kJ/mol의 에너지가 필요하였다. 에너지 소모량 관점에서 이온...
TAG Dye-sensitized solar cell (DSSC), Graft copolymer, Interfacial layer, Mesoporous TiO2, Microphase separation
100 kWth 급 순환유동층 시스템에서 무연탄 순산소연소 특성 연구
문지홍 ( Ji-hong Moon ) , 조성호 ( Sung-ho Jo ) , 문태영 ( Tae-young Mun ) , 박성진 ( Sung-jin Park ) , 김재영 ( Jae-young Kim ) , ( Nguyen Hoang Khoi ) , 이재구 ( Jae-goo Lee )  한국화학공학회, Korean Chem.Eng.Res.(화학공학) [2019] 제57권 제3호, 400~407페이지(총8페이지)
순산소 순환유동층 연소기술은 기후변화 및 연료 수급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로 주목 받고 있다. 순산소 순환유동층 연소기술은 배기가스 재순환 공정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비교적 쉽게 포집할 수 있으며 대기오염물질 배출도 줄일 수 있는 친환경 연소기술이다. 새롭게 개발된 100 kWth 급 순산소 순환유동층 연소 시스템은 연료다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연료들의 순산소연소 특성을 분석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높은 고정탄소 및 회분함량으로 인해 연소성이 낮은 연료로 알려진 무연탄을 활용하여 높은 이산화탄소를 생산하고 연소효율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그 결과로서, 무연탄 순산소연소는 아역청탄 공기연소 대비, 연소효율이 2% 향상되었으며 대기오염물질인 SO2, CO, NO은 각각 15%, 60%, 9...
TAG Oxy combustion, Circulating fluidized bed, Anthracite, CO2 capture, Air pollutants
Urea를 이용한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용 카본 펠트 전극 개발
김소연 ( So Yeon Kim ) , 김한성 ( Hansung Kim )  한국화학공학회, Korean Chem.Eng.Res.(화학공학) [2019] 제57권 제3호, 408~412페이지(총5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urea를 이용해 질소 도핑된 카본 펠트 전극을 제조하고 이를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극으로 적용하였다. Urea는 암모니아 보다 취급이 용이할 뿐 아니라 고온 열분해를 통해 NH2 라디칼이 발생하여 탄소 표면에 질소 작용기를 만들고 이는 바나듐 이온의 산화/환원 반응을 향상시키는 활성점(active site)로 작용한다. Urea로 활성화된 카본 펠트 전극은 150 mA ㎠의 전류 밀도에서 14.9 Ah/L의 방전 용량을 보였으며 이는 산소작용기로 활성화된 카본 펠트(OGF) 및 비활성화 카본 펠트(GF)보다 각각 23% 및 187%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urea로 활성화된 카본 펠트 전극이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극 소재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TAG Vanadium redox flow battery, Nitrogen doping, Urea, electrode activation, Nitrogen functional group
용액 코팅법을 통한 연료전지용 불소계 전해질 강화복합막의 특성에 미치는 분산용매의 영향
육승호 ( Seung Ho Yook ) , 윤기로 ( Ki Ro Yoon ) , 최지훈 ( Jihun Choi ) , 이주성 ( Ju Sung Lee ) , 김종민 ( Jong Min Kim ) , 이승우 ( Seung Woo Lee ) , 이관영 ( Kwan-young Lee ) , 김진영 ( Jin Young Kim )  한국화학공학회, Korean Chem.Eng.Res.(화학공학) [2019] 제57권 제3호, 413~419페이지(총7페이지)
최근 화석연료기반에서 친환경 수소 기반의 청정에너지원으로 전환되는 세계적 흐름에 따라, 수소연료전지의 고성능 저가격 핵심 소재 기술 개발에 많은 관심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 가운데 연료전지의 전해질로 사용되는 강화복합막의 기술 도입은 과불소계 술폰산 이오노머(Perfluorosulfonic acid, PFSA) 양의 감소 및 막 두께 감소를 통한 가격 저감 및 셀 저항 감소, 치수 안정성 개선 그리고 계면 안정성에 대한 확보가 가능하여 최종적으로 연료전지 성능 향상과 가격 절감이 동시에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연료전지용 불소계 전해질 강화복합막 코팅 공정에서 이오노머 분산용매에 따라 막 형성 및 물성 변화와 연료전지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TAG Fuel cell, Reinforced composite membrane, Polymer electrolyte, Perfluorosulfonic acid, Casting solvent
파일럿 규모의 공정에서 CO2가 함유된 합성가스로부터 합성천연가스(SNG) 생산
강석환 ( Suk-hwan Kang ) , 류재홍 ( Jae-hong Ryu ) , 김진호 ( Jin-ho Kim ) , 김효식 ( Hyo-sik Kim ) , 유영돈 ( Young-don Yoo ) , 김준우 ( Jun-woo Kim ) , 고동준 ( Dong-jun Koh ) , 강용 ( Yong Kang )  한국화학공학회, Korean Chem.Eng.Res.(화학공학) [2019] 제57권 제3호, 420~424페이지(총5페이지)
포항산업과학연구원(RIST, Research Institute of Industrial Science & Technology)-고등기술연구원(IAE, Institute for Advanced Engineering)에서 제안한 합성천연가스(Synthetic Natural Gas, SNG) 제조공정(3개의 단열반응기와 1개의 등온반응기로 구성됨)에서, 합성가스와 함께 스팀을 공급함으로써 메탄화반응과 수성가스전환 반응을 동시에 반응시켜 촉매층의 온도와 촉매 비활성화를 제어하였다. SNG 공정개발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포항산업과학연구원에서 제조한 니켈계 촉매를 사용하여 낮은 H2/CO 비(CO2 22% 포함) 조건에서의 메탄화반...
TAG Synthetic natural gas (SNG), Methanation, Water gas shift (WGS), Adiabatic reactor, Isothermal reactor
Development of Micro-Tubular Perovskite Cathode Catalyst with Bi-Functionality on ORR/OER for Metal-Air Battery Applications
( Yukwon Jeon ) , ( Ohchan Kwon ) , ( Yunseong Ji ) , ( Ok Sung Jeon ) , ( Chanmin Lee ) , ( Yong-gun Shul )  한국화학공학회, Korean Chem.Eng.Res.(화학공학) [2019] 제57권 제3호, 425~431페이지(총7페이지)
포항산업과학연구원(RIST, Research Institute of Industrial Science & Technology)-고등기술연구원(IAE, Institute for Advanced Engineering)에서 제안한 합성천연가스(Synthetic Natural Gas, SNG) 제조공정(3개의 단열반응기와 1개의 등온반응기로 구성됨)에서, 합성가스와 함께 스팀을 공급함으로써 메탄화반응과 수성가스전환 반응을 동시에 반응시켜 촉매층의 온도와 촉매 비활성화를 제어하였다. SNG 공정개발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포항산업과학연구원에서 제조한 니켈계 촉매를 사용하여 낮은 H2/CO 비(CO2 22% 포함) 조건에서의 메탄화반...
TAG Metal-air battery, Cathode catalyst, Perovskite, Micro-tubular, Bi-functionality
유연전극을 이용한 대기압 부유전극 유전체 장벽 방전 플라즈마
김준현 ( Jun-hyun Kim ) , 박창진 ( Chang Jin Park ) , 김창구 ( Chang-koo Kim )  한국화학공학회, Korean Chem.Eng.Res.(화학공학) [2019] 제57권 제3호, 432~437페이지(총6페이지)
유연전극 기반의 대기압 부유전극 유전체 장벽 방전 (floating electrode-dielectric barrier discharge, FE-DBD) 시스템을 개발하여 플라즈마 특성을 분석하였다. 유연한 파워전극(powered electrode)을 구성하는 유연유전체로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polydiemethylsiloxane (PDM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를 사용하여 플라즈마를 발생하였을 때 플라즈마의 광학적 세기와 전자온도는 파워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전압이 일정할 때는 PTFE < PDMS < PET 순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
TAG Atmospheric pressure floating electrode-dielectric barrier discharge, Plasma, Flexible electrode, Dielectrics, Plasma medicine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