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농림기상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농림기상학회지71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단보 : 미래 서울의 여름날씨 전망과 도시농업에의 영향
김진희 ( Jin Hee Kim ) , 윤진일 ( Jin I. Yun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5] 제17권 제2호, 182~189페이지(총8페이지)
기후이탈이 예상되는 2041-2070년 기간의 서울지방 여름(6월1일-9월30일) 날씨를 기상청 시나리오 기후자료(RCP8.5 기반) 가운데 일 최고기온과 최저기온 측면에서 전망하고, 이것이 도시농업의 주작목인 고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이 시기의 일 최고기온 및 최저기온 평균값은 과거평년(1951-1980)의 극한기후 기준(90분위)에 근접하였다. 반면 폭염과 열대야의 경우 기후이탈시점까지 가기 전인 가까운 미래1평년(2011-2040) 기간에 이미 최빈값이 과거에 관측된 변동범위를 벗어났다. 기온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본 기후이탈시점은 2040년 이후이지만, 폭염이나 열대야 같은 기후극한지수 차원에서는 기후이탈이 이미 시작된 것으로 판단된다. 도시농업의 주작물인 고추의 생육을 대상으로 시나리오기후를 적용한 결과, ...
TAG Climate departure, Urban agriculture, Climate extremes, RCP8.5
기후변화에 따른 작물의 수량 예측을 위한 시스템 요구도 분석
김준환 ( Jun Hwan Kim ) , 이충근 ( Chung Kuen Lee ) , 김현애 ( Hyun Ae Kim ) , 이변우 ( Byun Woo Lee ) , 김광수 ( Kwang Soo Kim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5] 제17권 제1호, 1~14페이지(총14페이지)
온실가스 증가로 인한 기후변화는 농업 생태계에 다양한 경로로 영향을 미쳐 작물 생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농업 생태계는 생물, 기후, 토양 및 경제 환경이 서로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어 개별 분야에 초점을 맞춘 적응 대책들은 농업 부문 내 다른 영역에 의도하지 않은 파급 효과를 초래할 수 있다. 기후변화 조건에서 복잡한 농업 생태계의 상호작용을 고려하면서 최적의 작물 생산성을 유지하기 위해 개별분야별 모델을 연계한 통합 예측 시스템 구축이 요구된다. 이러한 통합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단계적 접근이 필요하다.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모델들은 통합시스템에 적합하도록 설계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를 위한 모델의 재개발이 필요하다. 농업생태계 감시를 위한 수퍼사이트와 위성사이트의 구축을 통해 장기간 작물 생육 자료를 확보하고 이를 개별 분...
TAG Climate change, Requirement analysis, Integrated system, Crop yield, Monitoring
개회로 파장 변조 분광법과 에디 공분산 방법으로 논에서 관측된 CH4 플럭스 자료의 보정
강남구 ( Nam Goo Kang ) , 윤주열 ( Ju Yeol Yun ) , 아산탈룩더 ( M S A Talucder ) , 문민규 ( Min Kyu Moon ) , 강민석 ( Min Seok Kang ) , 심교문 ( Kyo Moon Shim ) , 김준 ( Joon Kim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5] 제17권 제1호, 15~24페이지(총10페이지)
CH4는 CO2 및 N2O와 더불어 중요한 온실가스로서 지속적이고도 체계적인 감시가 요구된다. 에디 공분산기술 기반의 CO2 플럭스의 관측은 이미 세계적으로 관측망이 구축되어 관측부터 자료처리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이 표준화되어 있을 뿐 아니라 체계적으로 잘 문서화되어 있다. 그러나 미량 기체인 CH4의 경우, 레이저 기반의 고속반응 분광계를 필요로 할 뿐 아니라, 이에 수반되는 플럭스 자료의 처리 과정이 표준화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 노트에서는 최근에 상용화된 개회로 파장 변조 분광계를 사용하여 에디 공분산 방법으로 논에서 관측한 CH4 플럭스 결과를 보고하였다. 모내기 전과 직후의 각 5일간 연속 관측한 자료를 KoFlux 프로토콜에 따라 상용화된 EddyProTM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를 처리하였다. 이 후처리 과정에서 세 가지 주요 ...
TAG Methane, Eddy Covariance, Flux correction, Laser spectroscopy, Rice paddy
기상청 수원기상대 농업기상 관측요소의 품질관리
오규림 ( Gyu Lim Oh ) , 이승재 ( Seung Jae Lee ) , 최병철 ( Byoung Choel Choi ) , 김준 ( Joon Kim ) , 김규랑 ( Kyu Rang Kim ) , 최성원 ( Sung Won Choi ) , 이병렬 ( Byong Lyol Lee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5] 제17권 제1호, 25~34페이지(총10페이지)
농업기상 관측자료의 QC는 원자료의 튀는 값을 의심자료로 분류하거나 제거하는 사후 성격의 작업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원기상대의 2012, 2013년 농업기상관측요소에 대하여 처음으로 QC를 시행하고, 관련 절차를 문서화하였다. QC 방법은 기상청의 실시간 품질관리 시스템을 참고하였고, 토양수분은 국제 토양수분관측망 QC 모듈을 참고하였으며, 그 외의 경우는 경험에 근거하여 자체적으로 고안한 기준을 적용하였다. 농업기상 관측자료에 이상의 품질검사 알고리즘들을 적용한 결과, 튀는 값과 비정상적인 값들이 사라지고, 보다 신뢰할 수 있는 시계열 자료가 확보되었으며, 보다 정확한 통계값이 산출되었다. 연직 기온, 토양온도 등의 온도 요소는 품질관리가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졌다. 그러나 토양온도의 튀는 값이 여름철에 집중된 것으로 볼 때, 강우에 따른 대...
TAG Quality control, Agro-meteorological data, RQMOD, ISMN, Suwon
RCP 8.5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소나무림과 굴참나무림의 산림 탄소 동태 변화 추정 연구
이종열 ( Jong Yeol Lee ) , 한승현 ( Seung Hyun Han ) , 김성준 ( Seong Jun Kim ) , 장한나 ( Han Na Chang ) , 이명종 ( Myong Jong Yi ) , 박관수 ( Gwan Soo Park ) , 김춘식 ( Choon Sig Kim ) , 손영모 ( Yeong Mo Son ) , 김래현 ( Rae Hyun Kim ) , 손요환 ( Yow Han Son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5] 제17권 제1호, 35~44페이지(총10페이지)
산림은 많은 양의 탄소를 저장하고 있으며, 산림 탄소 동태는 기후변화에 따라 변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산림에서 가장 우점하는 침엽수종과 활엽수종인 소나무림과 참나무림을 대상으로 최근 개발 및 개선된 한국형산림토양탄소모델(Korean ForestSoil Carbon model; KFSC model)을 이용하여 두 가지 기후변화 시나리오(2012년 기온이 2100년까지 유지되는 시나리오(CT),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RCP) 8.5 시나리오) 하에서의 산림 탄소 동태를 예측하였다. 5차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로부터 소나무림과 굴참나무림 조사구들을 추출한 뒤, 이를 행정구역(9개 도, 7개 특별·광역시) 및 영급(1-5영급, 6영급이상)별로 분류하여 탄소 동태 모의 ...
TAG Climate change scenario, KFSC model, Forest carbon, Carbon sequestration rate
청미천 유역 내 산림사면에서 단면선에 따른 토양수분특성의 공간적 계절적 변동
곽용석 ( Yong Seok Gwak ) , 김상현 ( Sang Hyun Kim ) , 정성원 ( Sung Won Jung ) , 이연길 ( Yeon Gil Lee ) , 이정훈 ( Jung Hoon Lee ) , 김수진 ( Su Jin Kim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5] 제17권 제1호, 45~57페이지(총13페이지)
사면스케일에서 토양수분의 시공간적 분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면의 단면선(Transect line)에 따른 토양수분 분포 및 변동에 대해 기본적인 해석과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단면선에 따라 설계된 여러 토양수분 측정지점으로부터 토양수분 자료에 대해 토양수분 특성인자를 고려하여 토양수분의 특성변동에 대해 이해하고자 하였다. 또한 사면의 위치 및 지형 그리고 토성의 공간적 분포의 토양수분 특성에 대한 영향도 분석하였다. 연구 사면에서 깊은 토양 층에서 평균적 토양수분의 공간적 분포는 지표 층에서의 공간적 분포 경향과는 많이 달랐으며, 사면의 지형 및 위치 그리고 토성의 공간적 분포는 토양수분의 시공간적 분포특징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상부흐름의 기여가 상당한 측정지점에서는 토양수분 변동의 안정화가 진행이 되는 것으로 나타나,...
TAG Soil moisture, Hillslope hydrology, Recession slope
대관령 지역 경제림에 대한 내풍 안정성 분석 및 임업적 적용
마니람목탄 ( Mani Ram Moktan ) , 권진오 ( Ji No Kwon ) , 임주훈 ( Joo Hoon Lim ) , 신문현 ( Moon Hyun Shin ) , 박찬우 ( Chan Woo Park ) , 배상원 ( Sang Won Bae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5] 제17권 제1호, 58~68페이지(총11페이지)
본 연구는 대관령 특수조림지에 식재된 주요 경제수종인 잣나무, 전나무, 일본잎갈나무의 내풍 안정성을 비교 분석하여 조림지의 풍해관리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높이고자 수행되었다. 각 수종별로 5개씩 총 15개의 임시 방형구(20m × 20 m)를 설치하였으며, 흉고직경 10cm 이상의 수목에 대하여 수고 및 흉고직경을 측정하였다. 수종별 수고/흉고직경 비율(h/d 비율)을 분석한 결과 잣나무와 전나무가 일본잎갈나무에 비해 비교적 낮은 h/d 비율을 나타내어 내풍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보인다. 약 9%의 일본잎갈나무가 내풍 임계치(80) 이상의 h/d 비율을 나타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들 수목들은 풍해에 매우 취약하여 다음간벌 기간 동안 제거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분산분석 결과 수종별 h/d 비율과 흉고직경의 지니계수에서 각각 유의...
TAG Wind stability, Silviculture, Height/diameter ratio, Korean white pine, Manchurian fir, Japanese larch
제주도 감귤 재배지역에 대한 환경특성의 정량화
문경환 ( Kyung Hwan Moon ) , 손인창 ( Eun Young Song ) , 송은영 ( In Chang Son ) , 오순자 ( Soon Ja Oh ) , 박교선 ( Kyo Sun Park ) , 현해남 ( Hae Nam Hyun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5] 제17권 제1호, 69~74페이지(총6페이지)
제주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는 감귤류의 일종인 온주 밀감을 대상으로 지형, 기후 등 현재의 재배환경을 공간기술을 이용하여 정량화하여 환경특성 범위를 분석하고, 앞으로 기후변화에 대비하여 온주밀감의 재배가 가능한 지역을 판단할 수 있는 환경 기준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해발고도, 경사도, 경사향, 연평균기온, 1월평균기온, 일최저기온의 극 값, -5°C 이하 일수, 강수량 등 8종의 기후요소에 대하여 지리정보시스템(GIS)기술을 이용하여 분포지도의 형태로 제작하였고, 이 분포도에서 감귤원이 분포하는 지역에 포함되는 격자 값을 추출하여 환경요소의 분포를 분석할 수 있었다. 온주밀감의 재배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14.5°C 이상의 연평균기온, -10.0°C 이상의 일 최저기온의 극 값, 연중 -5°C 이하 저온일수가 5일 이상일 것 등 3 가지 기후학적 환...
TAG Quantification of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Satsuma mandarin, Spatial analysis, Agroclimatic suitability of Citrus culture
온도 증가와 건조 스트레스가 백합나무의 생장, 광합성 및 광색소 함량에 미치는 영향
김길남 ( Gil Nam Kim ) , 한심희 ( Sim Hee Han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5] 제17권 제1호, 75~84페이지(총10페이지)
본 연구는 국내 주요 조림수종인 백합나무 유묘의 온도 증가와 건조 스트레스에 따른 생장 및 생리 반응변화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온도 제어는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온정로39)의 환경제어실 인공 광 챔버를 이용하였다. 처리 온도는 Fig. 1과 같이 최근 30년 동안(1981-2010) 우리나라 전국 월 평균을 기준으로 -3oC, 0oC, +3oC, +6oC로 설정하였다. 건조 처리는 6월부터 대조구와 건조 처리구로 구분하여 대조구는 충분히 관수하여 최저-0.1 MPa 이상의 토양 수분 포텐셜을 유지시켰고, 건조 처리구는 유묘의 잎에 초기위조 현상이 나타날 때까지 관수를 하지 않았다. 온도 증가 및 건조 스트레스에 따른 백합나무 유묘의 근원경과 수고의 상대생장율은 대조구와 건조 처리구 모두 온도가 증가할수록 높은...
TAG Liriodendron tulipifera, Growth, Photosynthetic rate, Stomatal conductance, Transpiration rate, Photosynthetic pigment
지형구조와 나무밀도가 산불패턴에 미치는 영향
송학수 ( Hark Soo Song ) , 권오성 ( Oh Sung Kwon ) , 이상희 ( Sang Hee Lee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4] 제16권 제4호, 259~266페이지(총8페이지)
본 연구는 국내 주요 조림수종인 백합나무 유묘의 온도 증가와 건조 스트레스에 따른 생장 및 생리 반응변화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온도 제어는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온정로39)의 환경제어실 인공 광 챔버를 이용하였다. 처리 온도는 Fig. 1과 같이 최근 30년 동안(1981-2010) 우리나라 전국 월 평균을 기준으로 -3oC, 0oC, +3oC, +6oC로 설정하였다. 건조 처리는 6월부터 대조구와 건조 처리구로 구분하여 대조구는 충분히 관수하여 최저-0.1 MPa 이상의 토양 수분 포텐셜을 유지시켰고, 건조 처리구는 유묘의 잎에 초기위조 현상이 나타날 때까지 관수를 하지 않았다. 온도 증가 및 건조 스트레스에 따른 백합나무 유묘의 근원경과 수고의 상대생장율은 대조구와 건조 처리구 모두 온도가 증가할수록 높은...
TAG Forest fire model, Fire spreading dynamics, Forest ecosystem, Sensitivity analysis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