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농림기상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농림기상학회지71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잣나무 연륜생장과 기후요소와의 상관관계 분석 및 생장예측
정준모 ( Junmo Chung ) , 김현섭 ( Hyunseop Kim ) , 이상태 ( Sangtae Lee ) , 이경재 ( Kyungjae Lee ) , 김미숙 ( Meesook Kim ) , 전영우 ( Yongwoo Chun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5] 제17권 제2호, 85~92페이지(총8페이지)
본 연구는 잣나무를 대상으로 연륜생장과 기후와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해 군집분석을 통해 기후 군집을 분류하였고 기후인자에 의해 연륜생장을 예측할 수 있는 생장모델을 개발하여 기후변화 시나리오 RCP 4.5와 RCP 8.5를 이용하여 연륜생장의 변화를 예측하였다. 연륜기후학적 모델은 잣나무 기후군집별 기후변수와 표준화된 잔차 연대기를 이용하여 개발하였다. 개발된 생장지수 추정식에는 2~4개의 기후변수가 사용되었고 결정계수는 0.35~0.49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잣나무 기후군집별 생장예측은 두 개의RCP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해 예측되었다. 해발고도가 높은 곳에 위치한 군집 2와 군집 3에서는 연륜 생장이 증가하였지만 대조적으로 해발고도가 낮은 지역에 위치한 군집 1에서는 연륜생장이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따라서 잣나무는 한대수종이지만 ...
TAG Radial growth, Growth prediction, RCP scenario, Pinus koraiensis
연륜기후학적 방법에 의한 상수리나무의 연륜생장과 기후인자와의 관계분석
문나현 ( Na Hyun Moon ) , 성주한 ( Joo Han Sung ) , 임종환 ( Jong Hwan Lim ) , 박고은 ( Ko Eun Park ) , 신만용 ( Man Yong Shin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5] 제17권 제2호, 93~101페이지(총9페이지)
본 연구는 연륜연대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상수리나무의 연륜생장과 기후인자와의 관계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2006년부터 2010년까지 실시된 제5차 국가산림자원조사의 임목조사 자료에 포함된 연륜생장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륜생장과 기후인 자와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해 월평균 기온과 월강수량자료를 연도별로 정리한 후 연륜생장 자료를 수집된 시군별로 분류하여 정리하였다. 상수리나무가 분포하는 지역에 대한 기후조건의 유사성에 근거하여 연륜생장 자료의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4개의 군집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크로스데이팅과 표준화를 실시하여 상수리나무의 군집별 지표연대기를 작성한 후 기초통계량을 산출하여 지표연대기의 적합성을 검정하였으며, 군집별 연륜생장과 기후인자와의 관계 구명을 위해 반응함수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상수리나무의 연륜생...
TAG Dendrochronology, Annual ring growth, Climate factor, Cluster analysis, Response function
중국 동북지역의 농업기후지대 구분
정명표 ( Myung Pyo Jung ) , 허지나 ( Jina Hur ) , 박혜진 ( Hye Jin Park ) , 심교문 ( Kyo Moon Shim ) , 안중배 ( Joong Bae Ahn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5] 제17권 제2호, 102~107페이지(총6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동북지역 기후자료를 수집하여 DB를 구축하고, 이들 기후자료를 활용하여 농업기후지대를 구분함으로써 대상지역의 농업기상특성 분석의 기초정보를 확보하고자 하였으며, 국외의 주요 곡물 수출국의 기상관측정보를 수집, 분석, 제공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중국 동북지역 농업기후지대를 구분하기 위하여 미국 항공우주국의 전 지구 모델링 및 동화 센터의 1979-2010년까지 32년 동안의 월별 기온 및 강수량 자료와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WRF) 모형의 동아시아 영역의 해발고도와 식물비 자료를 활용하였다. 중국 동북지역은 해발고도는 200m 이하, 200-800m, 800m 이상, 식물비 60%, 연평균 기온은 0oC, 최난월 기온은 22oC,연평균 강수량 700mm를 기준으로 22개 농업기후지대로...
TAG Agro climatic zone, Northeast District of China, Temperature, Precipitation, Solar radiation, Vegetation fraction
상세화된 CMIP5 기후변화전망의 다중모델앙상블 접근에 의한 농업기후지수 평가
정유란 ( Uran Chung ) , 조재필 ( Jaepil Cho ) , 이은정 ( Eun Jeong Lee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5] 제17권 제2호, 108~125페이지(총18페이지)
다수의 기후요소를 지수화하고 특정지역의 기후 자원량을 분석하여, 종합 및 판단하는 과정은 특정지역의 농업기후자원의 특성을 한 눈에 알 수 있게 한다. 농업기후자원의 특징을 단순 명료하게 표현한 것을 농업기후지수라고 하는데, 이 지수는 기후자원(예, 기온, 일사, 강수)으로부터 작물의 생육과 수량 추측을 위한 가능성과 여러 가지 영농기술을 실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농업생산성의 주요 지표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농업기후지수는 절대적인 것이 아니기 때문에 기후변화에 따라 항상 변화할 수 있다. 최근 IPCC 제5차 평가보고서에서 온실가스 대표경로 (RCP)에 따른 시나리오가 많은 연구에 이용됨에 따라서 기후정보의 역학 및 통계적 규모축소를 통한 미래 기후변화전망정보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IPCC ...
TAG Climate change, Downscaling, Multi model ensemble, Agro climatic index, Uncertainty
환경요인을 이용한 남원시의 적지적수도 제작
문가현 ( Ga Hyun Moon ) , 김용석 ( Yong Suk Kim ) , 임주훈 ( Joo Hoon Lim ) , 신만용 ( Man Yong Shin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5] 제17권 제2호, 126~135페이지(총10페이지)
본 연구는 전라북도 남원시의 맞춤형 조림지도인 적지적수도를 제작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남원시에 분포하는 주요 수종별 지위지수 추정식을 개발하고, 수종별로 적지에 적합한 입지조건을 반영한 생육범위를 고려하여 각 수종의 적지분포를 공간적으로 평가하였다. 남원시에 분포하는 주요 8개 수종별 지위지수 추정식은 각각 4-5개의 환경인자 조합이 관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전체 27개의 환경인자 중에서 15개가 수종별지위지수 추정에 사용되었다. 특히 사면위치(X7)와 경사형태(X8), B층 건습도(X11), 연최저 기온(X15), 온량지수(X16) 비생장기간 5개월 동안의 총강수량(X23), 월평균상대습도(X24), 그리고 생장기간 초기 3개월 동안의 월평균 상대습도(X25)가 수종별 지위지수 추정식에 많이 포함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
TAG Site index, Tree growth information, Productive sites, Customized map of plantation for proper species selection
제주도 선흘곶자왈지역과 청수곶자왈지역 간 조류 출현 양상 비교
김은미 ( Eun Mi Kim ) , 최형순 ( Hyung Soon Choi ) , 강창완 ( Chang Wan Kang ) , 오미래 ( Mi Rea Oh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5] 제17권 제2호, 136~143페이지(총8페이지)
독특한 생태계를 가지고 있는 곶자왈지역을 보호하기 위해 동물의 서식처로서의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2013년 2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월 2회 조류조사를 실시하였고 제주도 서부에 위치한 한경-안덕곶 자왈지대에 속하는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청수리와 제주도 동부에 위치한 조천-함덕곶자왈지대에 속하는 제주시 조천읍 선흘리를 대상으로 하였다. 두곶자왈지역에서 총 66종 4,140개체가 관찰되었고 선흘곶자왈지역에서는 53종 1,907개체가, 청수곶자왈지역에서는 49종 2,233개체가 조사되었다. 두 곶자왈지 역간 종수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으나, 개체수는 두 곶자왈지역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두 지역간 공통종은 36종으로 유사도 지수는 0.7이었다. 계절적 출현형으로 살펴보면, 두 곶자왈지역에서 텃새는 23종, 겨울철새는 15종, 나그네...
TAG Individuals, Index of similarity, Wetland, water, Gotjawal forests
기상청의 농업기상 관측환경과 정기보고서: 현황 및 제언
최성원 ( Sung Won Choi ) , 이승재 ( Seung Jae Lee ) , 김준 ( Joon Kim ) , 이병렬 ( Byong Lyol Lee ) , 김규랑 ( Kyu Rang Kim ) , 최병철 ( Byoung Choel Choi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5] 제17권 제2호, 144~155페이지(총12페이지)
2011년 농업기상 관측장비의 재배치 사업 이후, 기상청의 농업기상 관측환경은 전반적으로 상당히 향상되었다. 본 연구는 최근 실시한 현지답사 결과를 바탕으로, 1) 확실한 관리주체의 확립, 2) 유관기관들 간 상호협조강화, 3) 관측환경 변화에 대한 상세한 기록, 4) 장비와 센서의 표준화 5) 통일된 형태의 안내판 설치, 6) 부적합한 환경 하에 놓여 있는 장비의 인접 장소로의 이동, 7) 자동화된 증발계의 설치가 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제시하였다. 또한, 확보된 고품질의 자료를 활용하기 위하여 현재 중단되어 있는 농업기상 정기보고서의 제작이 필요하며, 우리 나라의 현황을 감안할 때 1년에 한차례 국가 전체에 걸쳐 지난 1년 간 일어난 특징적인 농업기상 현상들을 시간 순으로 서술하는 독일이나 캐나다의 연례보고서를 참고할 것을 제안한다.
TAG Agrometeorology, Quality assurance, Quality control, Observational circumstances, Agrometeorological report
온도 상승 조건이 벼의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
이규종 ( Kyu Jong Lee ) , 뉴안덕 ( Duc Nhuan Nguyen ) , 최덕환 ( Doug Hwan Choi ) , 반호영 ( Ho Young Ban ) , 이변우 ( Byun Woo Lee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5] 제17권 제2호, 156~164페이지(총9페이지)
기후변화로 야기되는 미래의 고온 환경은 벼의 생산성을 저하시킬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국내 벼 생산성의 신뢰성 있는 영향평가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고온 환경에서의 벼의 수량과 수량 구성 요소의 반응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실험은 1/5000a 와그너 포트를 이용하여 2008년과 2009년에 걸쳐 서울대학교 부속실험농장(37o16``N, 128o59``E)의 온도조절 플라스틱 하우스에서 실시되었다. 2008년에는 자포니카계의 화성벼를 공시품종으로 이용하였으며, 시비수준을 120kg N ha-1와 180kg N ha-1 로 하였다. 온도처리는 대기온도, 대기온도 대비 +1.5oC, +3.0oC의 세 수준으로 하였다. 2009년에는 화성벼와 통일계의 다산벼를 공시품종으로 하여 120kg N ha-1 수준으로 시비하였다...
TAG High temperature, Yield, Yield components, Rice
산림 미기상 해석을 위한 최적모델 개발
이석준 ( Sukjun Lee ) , 최용한 ( Yonghan Choi ) , 정재희 ( Jeahee Jung ) , 원명수 ( Myoungsoo Won ) , 임규호 ( Gyu Ho Lim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5] 제17권 제2호, 165~172페이지(총8페이지)
지구 온난화와 연관된 기후 변화는 악기상 현상의 발생 빈도 및 강도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산불, 산사태 등 산림 재해의 예방 및 대응을 위한 정밀한 산림미기상 예측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2013년 3월 봉화와 강릉에서 발생한 산불을 WRF와, 3D-var로 모의 하였다. WRF에서 나온 Output 자료를 이용하여 MUKLIMO 모형을 기반으로 산림 미기상 해석 및 모의를 위한 예측 시스템의 구축과 최적화를 이루었다. 이를 위해 3차원 변분 자료 동화 방법을 사용하여 기상청 AWS 관측 자료를 동화하였고, WRF의 예보에 MUKLIMO 모형을 결합하여 100m의 고해상도 바람장을 산출하였다. 자료동화를 수행하지 않은 CNTL 실험에 비해 자료 동화를 수행한 KMA 혹은 KMA_KFRI실험의 모의 결과가 관측과 가...
TAG Forest fire, Forest micrometeorology, 3D var, MUKLIMO
김제 보리-벼 이모작지에서의 순 생물상생산량의 추정
심교문 ( Kyo Moon Shim ) , 민성현 ( Sung Hyun Min ) , 김용석 ( Yong Seok Kim ) , 정명표 ( Myung Pyo Jung ) , 최인태 ( In Tae Choi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5] 제17권 제2호, 173~181페이지(총9페이지)
본 연구는 보리-벼 이모작 작부체계의 논 생태계에 설치한 개방형 CO2 플럭스시스템과 자동개폐식 챔버형 CH4 측정시스템에서 관측된 탄소관련 온실가스 자료와 작물 생장량자료를 활용하여 논 생태계의 연간(2012.10.20~2013.10.21) 탄소수지를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농작물의 생육인자와 환경인자는 CO2의 순 생태계교환량(NEE)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CH4 배출량은 영농활동(특히 물관리)에 따라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012~2013년 벼-보리 이모작 작부체계의 논 생태계에서 보리 재배기간에는 단위면적(m2)당 100.2g의 탄소를 흡수하고 벼 재배기간에는 m2당 374.1g의 탄소를 흡수하였지만, 휴경기간에는 토양호흡의 형태로 m2당 41.2g의 탄소를 배출하여 연간 총 433.1g m-2의 탄...
TAG Barley rice double cropping paddy field, CH4 emission, CO2 flux, Net biome production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