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학과 마르크스주의 비평

 1  한국문학과 마르크스주의 비평-1
 2  한국문학과 마르크스주의 비평-2
 3  한국문학과 마르크스주의 비평-3
 4  한국문학과 마르크스주의 비평-4
 5  한국문학과 마르크스주의 비평-5
 6  한국문학과 마르크스주의 비평-6
 7  한국문학과 마르크스주의 비평-7
 8  한국문학과 마르크스주의 비평-8
 9  한국문학과 마르크스주의 비평-9
 10  한국문학과 마르크스주의 비평-10
 11  한국문학과 마르크스주의 비평-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문학과 마르크스주의 비평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마르크스주의 비평은 문학에 대한 사회학적 접근의 한 경향을 나타내는 용어로, 작가의 사고와 작품의 방향을 경제적, 계급적, 이데올로기 등의 요인이 결정한다고 보고 그 결과물로 나온 문학작품과 마르크스주의자가 그 시대의 사회적 현실로 보는 것과의 관련성에 주목한다. 그 결과 마르크스주의 비평은 사회주의 리얼리즘이라고 불리는 문학예술의 창작방법을 달성하기 위하여 그들의 작품에 자본주의 제도 아래 발생하는 계급적 충돌, 모순, 인간을 무력하게 만드는 경제적·지적 상황, 그리고 인간 개개인의 소외 등을 반영한다.
이러한 사회의 경제적 기반과 계급구조, 계급투쟁의 중요성에 대한 마르크스주의적 강조는 이를 신봉하는 비평가들과 마르크스주의를 신봉하지 않는 많은 사회주의적 비평가들, 역사가들의 작품에도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임화는 사회주의 시인으로 대표적인 KAPE(카프)의 시인이다. 1920년대 말 여러 사회주의적 즉, 프롤레타리아적 시를 씀으로써 프로 문학의 대표적인 시인이 되었다. 그는 사회주의적인 내용을 다루며 자본주의와 계급에 대한 내용을 단편적 서사시라는 시적 형식과 리얼리즘을 통하여 잘 나타내고 있다. 그는 문학의 예술성보다는 적극적인 현실성을 추구하여 정치적 이념과 계급적 현실개혁에 문학을 결합시키고자 노력하였다. 이런 모습이 나타나는 그의 시들을 마르크스주의 비평을 통하여 알아보자.
Ⅱ 작가소개
본명은 임인식으로 1920∼1930년대의 프로문학과 해방 직후의 좌익문학을 논할 때 필수적으로 살펴보아야 할 인물로, 를 포함한 80편에 가까운 시와 를 비롯한 200편이 넘는 평론을 써냄으로, 한국 현대시사와 비평사 그리고 현대문학연구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는 1908년에 10월 13일 서울에서 태어났으며 1921년에 보성중학에 입학하였다가 1925년에 중퇴하였다. 1926년부터 시와 평론을 발표하기 시작하였으며(1926년에는 성아(星兒)라는 필명, 1928년부터는 임화, 김철우(金鐵友), 쌍수대인(雙樹臺人), 청로(靑爐) 등의 필명을 사용) 영화와 연극배우로도 활동하였다.
1928년에 박영희와 만나고 윤기정과 가까이 하면서 카프(KAPF: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에 가담하였으며 1929년에 <우리 옵바와 화로> <네거리의 순이(順伊)> <어머니> <병감(病監)에서 죽은 녀석> <우산받은 ‘요꼬하마’의 부두> 등의 시를(프롤레타리아사상으로 요약되는 주제와 이야기시 또는 단형 서사시라는 형식이 결합되어 이루어져 있음) 써냄으로써 대표적인 프로 시인의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다. 1930년에 일본으로 가서 이북만 중심의 ‘무산자’ 그룹에서 활동하였고 이듬해 귀국하여 1932년 카프 서기장이 되면서 카프 제2세대의 주역이 되었으나, 카프 전주사건이 터진 그 이듬해인 1935년에 카프 해산계를 낸 이후 해방이 될 때까지의 임화의 삶은 폐결핵과 시집 간행, 출판사 ‘학예사’ 운영, 일제 신체제문화운동에 대한 협조 등으로 점철 흐트러진 여러 점이 서로 이어짐.
되었다.
해방이 되자마자 ‘문학건설본부’의 간판을 내걸고 많은 문인들을 규합하여 1946년 2월에는 ‘조선문학가동맹’ 주최의 제1차 전국문학자대회를 성황리에 개최하였다. 월북하기 전까지는 박헌영, 이강국 노선의 민전의 기획차장으로 활동하였으며, 월북 후에는 6·25까지 조·소문화협회 중앙위 부위원장으로 일하였다. 휴전 직후 1953년 8월에 남로당 중심인물들과 함께 북한정권의 최고재판소 군사재판부에서 미제간첩 혐의로 사형을 선고받고 이원조, 설정식 등의 문인들과 처형되었다.
Ⅲ. 임화시 비평
참고문헌
■ 참고문헌
『디딤돌 한국 시 문학』, 맹용재저, 디딤돌, 2003.
『연세근대한국학총서3』, 김영민 등 8명, 문학과 사상연구회, 소명출판, 2012.
『우리 옵바와 화로 등 임화의 단편 서사시에 대한 일고찰』, 김성숙, 한국문학연구학회,2007.
『이르지볼케르의 사회발라드와 임화의 단편서사시비교연구』, 권재일, 동유럽연구 = East
european studies. 제29권, 2012.
『임화, 김기림, 최재서와 한국근대비평의 성격』, 김동식, 한국현대문학회, 2008.
『임화문화연구』, 임화문화연구회, 소명출판, 2012.
『임화 시 연구』, 정준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 2002.
『임화시의 혁명적 낭만주의 연구』, 서진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임화의 단편서사시 연구』, 조명숙, 아주대학교대학원, 2005.
『1930년대 비평과 주체의 수사학』, 김동식, 한국현대문학회, 2008.
『한국 근대문화사와 임화의 단편서사시』, 박정선, 서정시학, 2012, pp. 49 ~ 253.
『林和 時 硏究 : ‘단편서사시’를 중심으로』, 金眞禧,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