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감상문] 영화 Sicko 를 보고나서 - 식코 전반적 줄거리, 인상깊었던 장면, 나의 생각, 앞으로의 다짐

 1  [영화 감상문] 영화 Sicko 를 보고나서 - 식코 전반적 줄거리, 인상깊었던 장면, 나의 생각, 앞으로의 다짐 -1
 2  [영화 감상문] 영화 Sicko 를 보고나서 - 식코 전반적 줄거리, 인상깊었던 장면, 나의 생각, 앞으로의 다짐 -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영화 감상문] 영화 Sicko 를 보고나서 - 식코 전반적 줄거리, 인상깊었던 장면, 나의 생각, 앞으로의 다짐 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영화 Sicko 를 보고나서
( 식코 전반적 줄거리, 인상깊었던 장면, 나의 생각, 앞으로의 다짐)
마이클 무어 감독이 제작한 영화 Sicko는 미국의 의료 제도에 대해 풍자한 내용을 담고 있다. 특히 자국의 의료 보험체제가 민영의료보험으로 바뀐 이후 국민들이 처하게 되는 부정적인 상황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첫 장면은 사고를 당해 자신의 무릎을 직접 꿰매는 사람의 이야기로 시작한다. 왜 그런가 이유를 살펴보니 돈 때문이었다. 병원에 갈 돈이 없다는 것이다. 전기톱에 잘린 노동자의 이야기도 같은 이유로 온전한 치료를 받지 못했다. 절단된 손가락 두 개의 접합 가격이 중지- 6만달러, 약지- 만 2천달러라는 사실은 내 눈을 의심케 하였다. 그도 그럴것이 선진국인 미국에서 돈이 없어서 병원을 못간다는 사실을 실제로 본것이 처음이었기 때문이다. 왜 미국은 의료 제도가 문제가 되는 것일까? 그건 바로 의료 체계가 국가에 의해 보장되는 것이 아닌 보험회사에 의해 운영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민간 보험사들의 보험료가 저렴할 이유는 없다. 이윤을 내야하니까. 그러므로 돈이 없는 사람들은 부담되는 보험에 가입하지 않게 되고 비싼 병원비를 낼 엄두도 못내는 것이다.
영화에서 비춰진 이러한 의료보험 비가입자들의 모습은 거의 재앙 수준이었다. 심지어 의료보험에 가입한 이들도 보험계열사가 다르다는 이유로 환자의 입원을 거부당해 끝내 목숨을 잃게 했다. 이는 어떤 면에서 살인이다. 가치가 전도된 이런 상황을 두고, 미국 정부는 국민들 앞에서 인간의 존엄성을 감히 얘기할 수 있을까 의문이 들었다.
처음 이 영화를 보고나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느낀바와 같이 나 또한, 충격적이고, 화가나고 슬펐다. 의료 관련 투자자들과 의료민영화제도 법안을 통과시킨 의원들이 벌어들인 돈으로 자기 배를 두둑히 채우는가 하면, 치료를 받던 도중 돈이 없어 길가에 버려진 할머니, 부르는게 값인 외과 수술비용으로 인해 파산에 이르는 가난한 사람들의 모습들이 오버랩되어서 더 울컥했다. 결국 돈이 좌지우지 하는 세상이 되어버리는 것 같아서 말이다. 미국의 영향이 큰 한국도 요즘 의료민영화가 핫이슈인데, 영화와 같은 현실을 우리나라 국민이 겪을 수도 있다는 끔찍한 생각에 눈물이 핑 돌았다. 식코는 마주하기 불편한 진실이었다.
중간에 영화는 이러한 제도가 생겨난 배경을 어느 녹음기를 통해 말해준다. 대화에서 대통령은 민간기업에게 의료권을 주면 돈도 벌고, 의료문제도 해결되어 좋다고 말한다. 국민의 건강 복지를 위해서가 아니라 정치권들의 이익과 편리에 의해 의료민영화는 생겨난 것이었다.
그렇다면 미국이 아닌 다른 선진국의 이야기는 어떨까?
한 미국 여성이 국경을 넘어 캐나다 남자와 위장으로 혼인하여, 자국에서 보다 더 저렴한 가격으로 병원을 이용하는 장면이 있다. 캐나다의 의료 서비스와 가격, 품질은 미국의 의료제도를 비방하기에 딱 좋은 비교 대상이었다.
영국, 프랑스 , 쿠바 등 의 나라들은 무료에 가까운 의료 혜택을 국민들에게 제공하고 있었다. 특히 아버지의 육아 휴일 제도, 값싼 유아 시설, 임산부들에게 지원해주는 베이비박스 등의 제도는 우리나라에도 적용이 되었으면 하는 것이다. 사실 대한민국 싱글 여성들이 가장 힘들어 하는 부분이 출산과 육아이기 때문이다. 영화에서 보여준 사회복지 제도들이 물론 국가의 세금으로 운영되어, 현실적으로 완전히 수용할 수는 없지만 국가가 예비 엄마들을 배려해주는 모습은 감동적이었다.
어쨌거나 이 영화의 핵심은 미국의 의료제도에 대한 비판이다. 아울러서 의료보험 민영화를 추진한 사람들의 비리를 고발한다. 부당한 것을 잘못되었다고 당당하게 말할수 있다는 점에서 식코 는 나의 수동적인 자세까지도 꼬집어 놓았다.
그러나 두번째로 영화를 다시 보고 약간 다른 생각이 들었다. 이 영화를 보고나면 모두가 의료민영화를 반대할 것이다. 특히 법에 무지한 학생들이나 시민들이 보았을때 의료민영화에 반발할 여지가 충분하다. 영화 내용 속에 한결같은 주장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헌데, 편향적인 주제를 담은 글이나 영화를 볼 때 무조건적인 수용은 위험한 일이다. 비판하기 전에 의료민영화의 개념과 목적, 제도를 실현하려는 자들의 이해관계 구도를 정확하게 파악할 줄 알아야한다.
또한 최근에 한국에서 불거진 의료민영화 이슈를 이 영화와 동일하게 바라봐서는 안된다. 미국의 의료제도 현실을 보여준 이 영화와 한국의 정부가 추진하려는 의료민영화는 구분지을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미국은 국가에서 운영하는 국민 건강보험이 없고 우리나라는 현재 운영중이다. 그러나 국민 건강 보험이 있다고 해서 미국과 같은 일이 안일어난다는 보장은 없다. 국가가 의료보험 비용 부담을 줄이고, 기업의 성장과 경제발전에 힘을 쓰는 판국에 자연스레 우려했던 일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식코는 부정적이고 극단적인 사실을 위주로 편집하여 제공한 면이 없잖아 있지만, 한국에서 개선되어 부분적으로 시행된다면 더 양질의 서비스를 얻을 수도 있다. 다만, 생명을 담보로 기업과 정부의 의료기관을 통한 돈장난에 놀아나고 싶은 국민은 단한명도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 문제는 단순하지 않은 생명과 연관된 예민한 문제이며, 시민들이 기본적으로 해야할 일은 국가의 제도에 관심을 갖고 보건 복지부에서 제시한 민영화를 추진하려는 배경과 계획을 날카롭고, 이성적인 시각으로 바라보는 자세를 갖춰야 한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