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 호론

 1  김용 호론-1
 2  김용 호론-2
 3  김용 호론-3
 4  김용 호론-4
 5  김용 호론-5
 6  김용 호론-6
 7  김용 호론-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김용 호론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김용호론
Ⅰ. 생애 (1912~1973)
김용호(金容浩)는 1912년 경남마산에서 아버지 김치완과 어머니 박경호의 3남매 중 외아들로 태어나 1973년 고혈압으로 작고하기까지, (1941)을 비롯한 총 6권의 시집을 남긴 경남 출신의 대표적 작가이다.
그는 1930년 4월14일 에 첫 시 을 발표하였으며, 마산상고를 졸업한 후 메이지대학(明治大學) 법학과와 신문고등연구과를 졸업하였다. 예술신문사, 시문학사, 남광문화사, 자유문학사 주간으로 활동하였다.
1935년에 도일, 같은 해 노자영(盧子泳)이 발행하는 《신인문학(新人文學)》지에 시 를 발표하고, 계속 《쓸쓸하던 그날》, 실향의 아픔을 담은 장시 《낙동강》을 1938년에 발표하였다. 김대봉과 알게 되어 의 동인으로 참가하였으며, 광복 후 한때 조선문학가동맹에 관여한 적이 있으나, 전향하여 한국자유문학가협회에 가담하였고, 1962년 한국펜클럽 부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1956년 아시아자유문학상을 수상하였다. 1973년 5월 14일 사망하였다.
1935년 에 시 , 를 발표하면서 문단활동을 시작하였다. 그의 시에는 인생에 대한 따뜻한 정감들이 다채로운 이미지로 변주되어 나타난다. 을 비롯한 그의 초기 시들은 인생 혹은 현실에 대한 절망과 비판에 젖은 감상적인 세계를 보여준다. 그러나 (1948)은 초기시의 감상적인 태도와는 다르게 현실에 대한 투철한 인식을 보여준다. 특히 여기에 수록된 작품들에서 시인은 일제하에서의 억압적 현실과 대결하려는 정신 자세와, 해방 공간에서의 민족적 삶의 회복에 대한 염원을 직설적인 어조로 그려내고 있다. 한편, 에서의 민족적 현실인식의 태도는 , (1952)에 이르면 자연을 대상으로 하는 서정적 세계 인식으로 변모된다. 여기에서 시적 화자는 주로 자연 대상과의 일체감을 통해서 자신을 인식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향은 에 이르면 다시 삶에 대한 인식, 특히 서민적 정감에 바탕하여 삶의 의미를 관념적으로 형상화하려는 경향으로 변모한다.
의 이와 같은 경향은 유고시집 (1962) 이후 (1974)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나타난다. 그는 1958년부터 단국대에 재직, 교직에서 활동했다. 그가 죽은 뒤인 1974년 단국대에 詩碑가 세워졌다.
김용호는 30여 년의 시작활동을 통해 민족이 처한 현실을 정면으로 마주하면서 민족과 역사에 대해 정직하고 당당한 시적자세를 견지하여온 한국현대시사에서 보기 드문 시인이다.
※주요작품
☞시집 : 『향연』(1941), 『해마다 피는 꽃』(1948), 『푸른 별』(1952), 『남해 찬가』(1952), 『날개』(1956), 『항쟁의 광장』(1960), 『의상 세레』(1962), 『시원 산책』(1964)
Ⅱ. 작품경향과 변모과정
김용호의 시세계는 크게 세 단계의 변모과정을 거친다. 시대가 주는 절망과 비애를 자조와 자학으로, 또는 분노와 초극의 신념과 결연한 의지로 노래한 초기시와 향수를 바탕으로 한 회고와 순순 서정, 구국의 의자와 민족정기를 노래한 중기시 그리고 현실 의식을 바탕으로 일상적인 생활현장과 서민의 애환을 노래한 후기시가 있다.
1. 초기시 - 절망과 자학, 극복과 초월의 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