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덕향교

 1  회덕향교-1
 2  회덕향교-2
 3  회덕향교-3
 4  회덕향교-4
 5  회덕향교-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회덕향교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회덕향교
1. 향교 : 고려와 조선시대의 지방에서 유학을 교육하기 위하여 설립된 관학교육기관
1) 기능
① 제사기능 : 성현(성인과 현인)에 대한 제사를 했다.
② 교육기능 : 조선시대에는 향교의 설치를 통해 유학 교육의 기회를 넓혔다. 국가는 모든 향교에 유학을 교수하는 관리인 교관(敎官)을 임명·파견했다. 교관은 유학에 소양이 있는 지식인으로 선임하고, 수령과 함께 파견되도록 법제화했다.
③ 문화기능 : 향교는 지방 지식인들의 구심처였으므로 지방 단위의 문화행사, 특히 유교문화이념에 따른 행사가 여기에서 이루어졌다. 춘추의 석전례(釋奠禮)와 삭망의 분향이 향교의 문묘에서 이루어지고, 사직제·성황제·기우제·여제 등도 향교를 중심으로 거행되었기 때문에 지방민의 기원이 이곳에서 규합되었다.
④ 정치기능 : 향교는 출발에서부터 정치적 성향을 띠고 있었다. 즉 향교에서 유학을 교육받은 지방민은 생원·진사 시험을 거쳐 다시 성균관에 입학하고 문과시험을 통과하는 과정을 거쳐야만 중앙의 정치권에 진입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은 지방민의 입장에서는 중앙정치권에 진입하기 위한 합법적이고 개방된 절차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2) 향교의 역사와 설치목적 : 향교는 고려와 조선왕조의 집권적 정치 구조 위에서 전개된 것으로 군현제(郡縣制)와 함께 왕경(王京)이 아닌 지방에서 유학을 교육하기 위하여 설립된 관학교육 기관이다. 국도(國都)를 제외한 각 지방에 관학이 설치된 것은 고려이후에 이루어졌다. 고려는 중앙집권체제를 강화하기 위하여 3경(개경,서경,동경) 12목(고려의 지방행정조직)을 비롯한 군현에 박사와 교수를 파견하여 생도를 교육하게 하였는데 이것이 향학(고려시대 지방에 설치한 교육기관)의 시초이다. 국도(國都)를 제외한 각 지방에 관학이 설치된 것은 고려 이후로서 1127년(인종 5)에 인종이 여러 주(州)에 학교를 세우도록 조서를 내렸다는 기록으로 보아 이때부터 향교가 세워진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향교에 적극적인 유학교육의 면모가 나타난 것은 조선시대부터이다.
3) 향교의 배치 : 향교는 배향공간과 강학공간을 어떻게 배치하느냐에 따라 종류를 나눌 수 있다.
① 좌학우묘 : 왼쪽에는 교육공간인 명륜당(明倫堂)을 두고, 오른쪽에는 제사공간인 대성전을 둠 (영암향교)
② 좌묘우학 : 왼쪽에는 제사공간인 대성전을 두고, 오른쪽에는 교육공간인 명륜당(明倫堂)을 둠(밀양향교)
③ 전당후재 : 교육 공간인 명륜당(明倫堂)을 앞에 두고, 양재(兩齋. 동재, 서재)를 뒤에 둠.(순천의 낙안향교)
④ 전학후묘 : 교육 공간인 명륜당(明倫堂)을 앞에 두고, 제사 공간인 대성전을 뒤에 둠.(회덕향교, 진잠향교)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