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 연구동향 제주 43 논문 목록

 1  43 연구동향 제주 43 논문 목록-1
 2  43 연구동향 제주 43 논문 목록-2
 3  43 연구동향 제주 43 논문 목록-3
 4  43 연구동향 제주 43 논문 목록-4
 5  43 연구동향 제주 43 논문 목록-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43 연구동향 제주 43 논문 목록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4·3 연구동향
4·3연구 동향
연구과제
표1. 제주4·3 논문목록
표2. 제주4·3 도서목록
■ 4·3연구동향
o 아이러니 하게도 4·3을 정면으로 다룬 저작은 일본에서 좌익적 시각에서 다룬 『제주도인민 무장투쟁사』(김봉현·김민주, 1963).
o 반공이념이 절대명제였던 군사독재정권과 권위주의시기에 국내에서 4·3을 다루는 것은 불가능.
o 1987년 ‘6월 항쟁’ 이후 4·3에 대한 논의는 이전과는 다른 양상으로 전개. 연구서와 진상규명을 요구하는 글이 터져 나오는데 그 기점은 1988년임이 별첨의 표는 제주4·3연구소가 홈페이지를 개편하면서 기존의 연구 성과를 정리한 것이다. 학술적 연구논문, 잡지 혹은 신문의 기고문, 용역보고서, 학술심포지엄 발표문, 증언(회고) 등이 혼재되어 있지만 4·3연구동향을 파악하는 데는 유용할 것이다. 몰론 누락된 연구 성과물들이 있을 것이다.
으로 파악.
o 1988년부터 이듬해까지는 4·3의 총체적 진실규명을 위한 연구가 주요한 흐름. → 양한권, 박명림, 고창훈 등이 이 흐름을 주도
o 이러한 연구경향이 지속되는 가운데 1990년 들어 좀더 세밀한 접근이 이루어지는데 5·10선거(손호철, 1989), 제주도메이데이(양조훈, 1990), 인민위원회(김동만, 1991), 청년운동(4·3연구소, 1992) 등의 연구가 이루어짐.
o 이중 제주무속을 통해 4·3의 비극을 파헤친 김성례의 연구(1990)눈 그 이전 정치학 혹은 역사학적 접근이 전부였던 4·3연구의 다변화를 시도했다는 의미가 있다. 이후 「언론의 제주4·3보도연구」(이광우, 1994), 「4·3미술과 리얼리즘」(김현돈, 1996)으로 이어짐.
o 세밀한 접근 또한 이어졌는데, 다랑쉬굴 발굴 의의(고창훈, 1993), 대정지역 4·3항쟁(4·3연구소, 1993), 진압작전과 주민학살(김동만, 1994), 왜곡사례(양조훈, 1994), 남로당제주도위원회(양정심, 1995), 4·3공원(유철인, 1995), 수장학살(강태권, 1996) 등
o 다양한 영역에서의 꾸준히 모색되어온 4·3연구는 1998년 김대중정부의 등장으로 아연 활기를 띠게 된다. 미국의 전략(강정구, 1998), 종교인의 과제(김경재, 1998), 정치문화에 미친 영향(김석준, 1998), 신학적 모색(김성례, 1998), 여성체험(김성례, 1998), 불법계엄령(김순태, 1998), 미군정의 역할(정해구, 1998) 등으로 이어지며 심화되고 다양한 4·3연구를 이어감.
o 이러한 경향의 절정은 1999년의 『제주4·3연구』(역사비평사)로 이어짐. 담론(김성례), 폭력과 권력(김재용), 진상규명운동(김종민), 주도세력(양정심), 우익청년단(임대식), 미군정정책(정해구), 의학사(황상익) 등 이전과는 다른 폭넓은 분야에서 4·3을 다룸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