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린 테크놀로지의 다양화와 영화 소비경험의 변화

 1  스크린 테크놀로지의 다양화와 영화 소비경험의 변화-1
 2  스크린 테크놀로지의 다양화와 영화 소비경험의 변화-2
 3  스크린 테크놀로지의 다양화와 영화 소비경험의 변화-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스크린 테크놀로지의 다양화와 영화 소비경험의 변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스크린테크놀로지의 다양화와 영화소비 경험의 변화
20대 다운로드 파일 영화 수용자들에 대한 질적 연구를 중심으로
들어가며
영화 파일 다운로드에 대한 사회적 담론은
법적인 관점; 영화 파일 다운로드가 저작권을 침해하는 해적행위(Piracy)
경제적인 관점; 다운로드 일반화에 따른 영화산업의 영향, 예컨대 비디오. DVD 등 부가판권 시장의 몰락. 이 관점들은 불법 활동이며, 건전한 산업발전의 저해요인이다.
이 글에서는 법적 경제적 관점에서 벗어나 역사적이며 문화적인 관점에서 다운로드 문제에 접근해보고 다운로드 영화소비 경험이 가지는 특수성을 현재 이야기 되는 디지털 문화 또는 영상시대 라는 맥락에서 어떻게 해석할 수 있을지 성찰해 본다.
2. 스크린 테크놀로지의 발전과 영화 수용 문화의 변화
미디어 스크린(Media Screen) 혹은 스크린 테크놀로지(Screen Technology)가 다양하게 발전하면서 예전과 같은 의미를 갖기가 어려워졌다.
초기의 영화는 집단적이며, 소란스러운 방식으로 수용되었다. 해설과 논평, 웃음소리, 왁자지껄한 탄성과 경악, 휘파람이 뒤따랐으나 유성 영화의 등장과 더불어 사라지고 조용한 관람이 새로운 규칙이 되었다.
1960년대 이후 텔레비전 보급이 확산되면서 가정은 영화 소비의 중심으로 떠올랐고 영화수용 양식 또한 많이 변화 하였으며, 다양한 저장미디어와 깊이 관련되는 오늘날의 영화는 관객을 리모콘으로 단순하게 또는 여러 기기들과 복잡하게 인터페이스 하는 이용자(user)로 만들었다.(Friedberg, 2000).
오락, 문화, 예술의 한 형태로 받아들여지기 시작한다.(유선영,2005).
해방 이후 1950년대 중반에 이르면 다양한 대중 오락물의 경연장의 개념에 가까웠던 극장과 영화 전용관으로서의 극장 개념이 분리된다.(김미현, 2006). 1950년대 말 영화는 서민들을 위한 대중문화의 독보적인 위상을 확보했다.
1960년대 중반 이래 텔레비전 수상기의 보급과 레저의 다양화로 영화관 관객 수가 감소하면서 재 개봉관이 등장한다. 한국에서의조용한 관람문화는 1960년 이후에야 자리 잡기 시작했으며, 1970년대 텔레비전 확산으로 가족오락을 위한 미디어로 정착되면서 한국에서의 영화소비는 영화관과 가정을 양대 축으로 다양한 변동 양상을 드러낸다.
영화관의 경우 1980년대 말부터 복수의 스크린을 갖춘 복합상영관이 출현하고 1990년대 말 쇼핑, 게임, 전시, 음식 등을 모두 즐길 수 있는 종합적인 레저 공간으로서의 의미를 지닌다.
*한국에서의 영화소비 문화의 역사적 변화
참고문헌
참고문헌
유선영(2003). 초기 영화의 문화적 수용과 관객성: 근대적 시각문화의 변조와 재배치.
≪언론과 사회≫ 제12권 1호, 9~55쪽.
(2005). 황색 식민지의 서양영화 관람과 소비실천, 1934~1942.
≪언론과 사회≫ 제13권2호, 7~62쪽.
(2007). 영화의 사회문화사. 유선영 · 박용규 · 이상길 외.
≪한국의 미디어 사회문화사≫ 한국언론재단.
유세경 · 정윤경(2002). 영화창구로서의 인터넷 영화 사이트 특성과 기능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46권 2호, 485~522쪽.
임종수(2003). 텔레비전 안방문화와 근대적 가정에서 생활하기: 공유와 차이.
≪언론과 사회≫ 제12권 1호, 92~135쪽.
전석호(1991). 홈비디오의 이용실태에 대한 사례연구.
≪신문학보≫ 제26권, 287~314쪽
Baboulin, J. C. et al. (1983). Le magnetoscope au quotidien. un demipouce de liberte. Paris; Aubier Montaigne.
Becker. H. (2002). Studying the New Media. Qualitative Sociology, 25(3), 337~343
Dean, P. (2007). DVDS; Add-Ons or Bygones? Convergence, 13(2), 119~128
Poster, M.(2004). Consumption and digital commodities in the everyday. Cultural Studies, 18, 409~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