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회복지실천 역사] 1946년 이후의 우리나라 사회복지실천 발달

 1  [한국 사회복지실천 역사] 1946년 이후의 우리나라 사회복지실천 발달-1
 2  [한국 사회복지실천 역사] 1946년 이후의 우리나라 사회복지실천 발달-2
 3  [한국 사회복지실천 역사] 1946년 이후의 우리나라 사회복지실천 발달-3
 4  [한국 사회복지실천 역사] 1946년 이후의 우리나라 사회복지실천 발달-4
 5  [한국 사회복지실천 역사] 1946년 이후의 우리나라 사회복지실천 발달-5
 6  [한국 사회복지실천 역사] 1946년 이후의 우리나라 사회복지실천 발달-6
 7  [한국 사회복지실천 역사] 1946년 이후의 우리나라 사회복지실천 발달-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 사회복지실천 역사] 1946년 이후의 우리나라 사회복지실천 발달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한국 사회복지실천 역사] 1946년 이후의 우리나라 사회복지실천 발달
이와 같이 일제시대에 있었던 사회복지실천은 1945년 이후에는 자취를 감추게 되고 계속성이 없어지게 된다. 1945년부터 1948년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기까지 사회적인 혼란과 경제적 어려움으로 사회복지실천은 오히려 퇴조하는 듯한 느낌을 주었다. 특히 사회복지실천의 재원이 되었던 은사금이 없어짐에 따라 사회복지는 깊은 수렁 속으로 빠져들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불과 2년 뒤인 1950년에 전쟁이 일어나게 되어 국가적 혼란은 극에 달하게 된다. 그러한 상황에서 사회복지실천은 그 명맥조차 이어가는 것이 어려웠던 것으로 보인다.
미군정시기에는 정치적인 갈등과 경제적 어려움, 사회적 혼란 등으로 사회복지실천은 정부에 의한 구호준칙으로 빈민구호사업이 거의 전부였었다. 하지만 그러한 와중에도 부분적으로는 미군정 당국이 "아동노동법규", "미성년자 노동보호법"을 제정, 시행함으로써 아동복지 분야에 기여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에 있어서 사회복지실천이 하나의 전문직으로 발달하기 시작한 시기를 1950년 전후로 보고 있는 입장(전재일 외, 1996 : 61)에서는 대체로 두 가지 내용을 기준으로 접근한다. 그 하나는 실천현장에서 보다 전문성을 띤 사회복지사와 그들의 실천내용에 관심을 가지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대학의 수준에서 사회복지실천이 하나의 학문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6. 25 이후 국가적인 안정이 서서히 회복되어 가면서 전쟁으로 인해 발생하였던 여러 가지 후유증들이 하나 둘씩 치유되고 있었다. 당시의 여러 문제들 중에서도 사회 전반에 만연해 있었던 빈곤문제, 아동문제, 가족문제 등은 매우 심각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에 적절하게 대응하려는 노력은 정부 차원이나, 민간 차원에서 모두 부적절하였다. 왜냐하면 절대적 빈곤이 심하였을 뿐 아니라 전쟁으로 인해 정상적인 경제구조가 파괴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이 당시의 사회적 참혹상은 말로 표현이 어려울 만큼 비참하였으며 거기에 대응하려는 노력은 절대자원의 부족현상으로 매우 미미하였다.
전쟁이 아직 진행 증이었던 1952년 4월에 정부는 사회부장관 통첩으로 사회사업을 목적으로 하는 법인 설립 허가신청에 관한 건을 발표하여 재랄법인을 설립하여 사회복지사업을 실시하는 데 필요한 설립기준을 마련하였다. 같은 해 10월에는 각종 시설들을 합리적으로 지도 감독하기 위하여 사회부장관 훈령으로 후생시설 운영요령을 지방행정기관에 하달하였는데 이는 당시에 사회복지시설을 설치, 운영하는 규준이 되었다.
1953년 휴전 직후 전국적으로 전쟁으로 인한 요보호아동을 수용하는 시설은 440개소에, 수용인원은 53, 964명이었다. 1950년 이후에는 많은 외국 원조단체나 기관들이 들어와서 활발한 구호사업과 자선사업을 전개하였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사회복지를 전공한 사람들도 유입되었다. 세계기독교봉사회(christian World Service)는 대표적 단체의 하나로서 사회복지를 전공한 Elizabeth Hayes에 의해서 사회복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가족 중심의 사회복지실천을 도입하였다. 메노나이트 한국지부(Mennonite Central Committee, Korea Relief Unit)는 1962년 사회복지를 전공한 Andrew Leatherman의 주도로 우리나라 최초로 가족아동복지사업부를 설치하고 전문적인 프로그램을 전개하였다.
이들 외원기관들은 외원단체연합회(KAVA)를 결성하였으며 1960년대에는 무려 130여 개 단체가 가입하고 있었다.
또한 사회복지를 전공하고 우리나라 초기 사회복지실천에 관여한 사람으로는 당시 보건사회부 사회복지 자문관이었던 charles G. Chakerian과 Ronee Gerard, 기독교양자회의 슈퍼바이저였던 Elvinah Spoelstra, 한노병원에서 근무하였던 Diakon Gotfred Rekkebo 등이 있다(전재일 외, 1984 : 63).
1948년에는 선교사 Helen Boyles가 인천에서 기독교사회관을 사택에서 설치하였으며 1952년에는 Esther Laird가 대전에서 기독교사회관을 설립하여 탁아소 등을 운영하게 된다. 1954년에는 서울 마포에서 유린관(the Neighbourly House, 이덕주, 태화기독교사회복지관의 역사, 태화기독교사회복지관, 1993 : 410)이 세워지는데 이 기관은 일제시대부터 J. Marker가 설치하여 고아원사업을 하던 곳으로서 Eulin S. Weems가 1954년부터 사회복지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기 시작하였다.
참고문헌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하고 싶은 말
중요내용을 자세하게 정리한 A+ 과제물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