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작가론] 박경리의 김약국의 딸들 작품분석

 1  [현대작가론] 박경리의 김약국의 딸들 작품분석-1
 2  [현대작가론] 박경리의 김약국의 딸들 작품분석-2
 3  [현대작가론] 박경리의 김약국의 딸들 작품분석-3
 4  [현대작가론] 박경리의 김약국의 딸들 작품분석-4
 5  [현대작가론] 박경리의 김약국의 딸들 작품분석-5
 6  [현대작가론] 박경리의 김약국의 딸들 작품분석-6
 7  [현대작가론] 박경리의 김약국의 딸들 작품분석-7
 8  [현대작가론] 박경리의 김약국의 딸들 작품분석-8
 9  [현대작가론] 박경리의 김약국의 딸들 작품분석-9
 10  [현대작가론] 박경리의 김약국의 딸들 작품분석-10
 11  [현대작가론] 박경리의 김약국의 딸들 작품분석-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작가론] 박경리의 김약국의 딸들 작품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공간과 인물의 비극적 복합 양상
1-1. 공간의 비극성
1-2. 인물의 비극성
2. 비극적 세계와 여성의 운명
2-1. 존엄과 소외
2-2. 소외의 극복과 사랑
3. 경계에 선 여성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박경리의 문학관에 의하면, 소설은 끝없이 변화하는 세계 속에서, 불확실한 삶을 불특정한 방식으로 반영하는 문학 양식이다. 소설은 역동적인 세계와 삶에 무한한 가능성으로 대처하는 열려 있는 양식인 것이다. 세계와 삶을 담기 위해 작가에게 필요한 것은 고정된 지식이 아니라 끝없는 사고이다. 박경리의 작품을, 전쟁체험이 주관적으로 투영된 1950년대 작품들, 객관적 시점에서 전쟁과 사회 문제를 다룬 1960년대 소설들, 토지와 그 이후 작품들로 나눠보면 그 끝없는 사고를 볼 수 있다. 김치수는 초기의 개인적 불행에서 출발한 작가 세계가 김약국의 딸들에서는 한 가정 문제로 확대되고, 파시에서는 사회의 불행으로 진전되었다가, 시장과 전장에서는 민족의 문제로 발전되었다고 평한다.
본고에서 중점적으로 다루고자 하는 작품은 김약국의 딸들로, 이전의 전쟁 미망인을 즐겨 등장시킨 자서전적 소설에서 벗어나 좀더 객관적인 서술을 보여준다. 작품 세계의 전환을 이룬 김약국의 딸들에서 박경리는 완전히 타자와의 대화를 지향하는 객관적인 서사의 언어로 나아가게 된 것이다. 구한말에서 일제 강점기에 이르는 우리 근대사의 변화가 담겨있는 김약국의 딸들은 사회 현실에 대한 직접적인 묘사보다는 그 사회 속에 살아가는 한 개인의 삶을 통해 간접적으로 제시되고 있다.
특히 김약국의 딸들을 비롯한 박경리의 작품은 여인의 비극적 운명을 주요 테마로 함은 물론이고 주요 인물들이 여성으로서, 여러 사건들의 중심에 여성이 언제나 자리를 잡고 있다. 이 점에 비추어 볼 때 여성의 중요성은 간과할 수 없다.
참고문헌
김만수, 자신의 운명을 찾아가기 -『김약국의 딸들』을 읽고-, 『작가세계 22』, 세계사, 1994.
김치수, 不幸한 女人像,『朴景利와 李淸俊』, 民音社, 1982.
김치수, 悲劇의 미학과 개인의 恨,『朴景利와 李淸俊』, 民音社, 1982.
박경리,『김약국의 딸들』, 나남, 1995.
이덕화,『박경리와 최명희, 두 여성적 글쓰기』, 태학사, 2000.
최유찬,『박경리』, 새미, 1998.
문숙원, 박경리 소설에 나타난 소외 양상 고찰 - 1960년대 작품을 중심으로, 2000.
양순옥, 박경리 소설의 공간적 상상력에 대한 연구, 2005.
이경란, 김약국 딸들의 인물연구, 2000.
이인복, 박경리 문학 연구, 2001.